|
가. 산업 특성
□ 산업 정책 및 규제
○ 식품 제조 공장 면허 (Food Factory License)
- 홍콩에서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식품 공장 외 판매용), 홍콩식품환경위생처 (Food and Environmental Hygiene Department)에서 식품제조공장 면허를 받아야 함. 예를 들면, 원재료를 가공해서 만든 통조림; 간장, 김치, 소스; 디저트; 콩류 가공; 곡물 가공 등의 공장이 포함됨.
- 우유 제조, 소독, 가공, 포장 등의 작업을 위해 우유제조공장 면허(Milk Factory License)가 필요하며 아이스크림 같은 경우에는 냉동컨펙션 제조공장 면허(Frozen Confection Factory License) 그리고 제빵 및 베이커리는 베이커리 면허(Bakery License)가 필요함.
○ 재공업화 ((Re-industrialization) 추진
- 홍콩 행정장관 캐리 람은 2018년 시정연설(Policy Address)에서 제조업계를 대상으로 재공업화 지원계획(再工業化資助計劃)을 제안했음. 이는 제조업체들이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생산(智能生産) 라인을 설치할 수 있도록 약 20억 홍콩달러(약 2.56억 미달러)를 지원하는 것임. 신청 조건, 심사체계 등 상세한 정책은 홍콩창신과기서 (Innovation and Technology Bureau)에서 수립할 예정임.
□ 최신 기술 동향
○ 식품 고압 처리 시스템 (High Pressure Food Processing System)
- 생산력국에서 식품 고압 처리 시스템을 연구개발한 상온에서 초고압 살균 방법을 통해 식품의 영양과 안전을 보장하였음.
*홍콩 생산력 촉진국(생산력국, Hong Kong Productivity Council)은 1967년에 설립된 법정 기관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해서 홍콩 기업들이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목표임. 홍콩의 생산력을 높이기 위해 첨단 과학기술,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스마트 기술 등을 연구개발함.
- 고압 처리 기술은 포장식품에 해당되며 상온에서 초고압 (300-600Mpa)으로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식품 안에 세균을 죽이거나 활성을 떨어뜨리며, 살균효과가 있음. 고압 처리로 인해 단백질을 퇴화시키고 식품 부패 속도를 늦춰 유통 시한이 늘어남. 또한, 고압 처리 과정에서 가열하지 않기 때문에 식품의 품질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 즉석 육식 제품 같은 경우는 고온 가열 시 유통기한이 4주인 반면, 고압 처리된 제품은 10주 동안 보존이 가능함.
- 고압 처리된 식품은 저온저장이 필요없어 냉동 물류와 보관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량이 감축되어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임. 유통기한이 연장되어 방부제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현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건강식품이라고 할 수 있음. 고압 처리 시스템은 즉석 육식 제품, 냉동 생선, 소스, 국, 주스 등의 식품에 사용 가능함.
□ 주요 이슈 및 현황
○ 홍콩 가공식품 및 음료 산업 (단위: 개사, 명)
| 제조업 (2019.3월 기준) | 수출입 무역 (2018년 기준) |
기업수 | 1,491 | 7,440 |
취업자 | 30,637 | 35,740 |
자료: 홍콩무역발전국
○ 홍콩 식품 및 음료 공장 현황
- 홍콩 과기원 (Hong Kong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Corporation)은 홍콩 정부가 설립한 법정 기관으로, 과학기술 기업 700개가 모여있는 디지털 과학기술 단지이며, 다푸 (Tai Po), 정관오 (Tsuen Kwan O), 위안랑 (Yuen Long)에 위치한 공업 단지를 관리하고 있음.
- 과기원은 제조업체들이 홍콩에 생산기지 설치하는것을 장려하기 위해 원스톤 기초 시설과 지원 서비스를 제고하고있음.
- 2018년 4월까지 홍콩 공업단지에서 운영되는 공장은 총 159개이며, 그중 식품 및 음료 공장은 19.5%인 31개를 기록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과기원은 정관오지역에 데이터 기술 센터와 첨단 제조업 센터를 지을 예정이며, 각각 2020년, 2022년에 완공될 예정임. 이곳에서는 스마트 생산, 첨단 조립 등의 기술을 추진할 예정임.
○ 홍콩 식품 및 음료 공장 부가가치
- 홍콩 통계청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식품분류에 따라 2017년 식음료 및 담배 산업 (Food, Beverages and Tobacco Industry)의 부가가치는 전체 제조 산업 부가가치의 31.9% (11억 홍콩 달러, 약 14.1억 미달러)로, 전년대비 5% 상승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식음료 및 담배산업의 총수익은 전년대비 2.8% 상승한 430억 홍콩 달러 (약 55.1억 미달러)를 기록함.
○ 홍콩 생산력 촉진국의 식품 수명 주기 관리 시스템 서비스
- 생산력국에서는 식품 관리 부실로 인한 제품 회수를 방지하기 위해 식품 수명 주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 이는 국제적인 식품 안전 표준인 ISO 22000에 따라 원재료 구매, 가공 처리, 포장, 식품 표지, 품질 관리, 배송등의 절차까지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연구하여 업계에게 제공함.
□ 주요 홍콩 기업 현황
○ 가던 (嘉頓Garden)
- 제빵 제품을 위주로하는1926년에 설립되어 현재 홍콩에서 가장 큰 식품 기업 중의 하나임. 가던은 홍콩에 위치한 심정(深井) 공장에서 빵, 케이크, 과자, 사탕 등의 식품을 생산함. 이는 1997년에 ISO 9001품질 보증 인증서를 받았으며, 그 외에도 가던은 2001년에 홍콩 브랜드 발전국 (香港品牌發展局)에서 ‘홍콩 브랜드’로서 인증을 받아 홍콩 소비자들의 신뢰도도 높아졌음.
웨이퍼 과자 | 식빵 | 카스텔라 |
자료: 가던 홈페이지
○ 웨이타나이 (維他奶 Vitasoy)
- 웨이타나이는 1940년부터 홍콩에서 두유를 생산해서 홍콩 튄문(屯門)에 34,000 평방 미터인 공장을 설립하여 ISO 9001품질 보증 인증서를 받았음. 1975년에 최초로 무균 포장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을 했으며, 2011년에 독일 회사 크론스 (Krones)에서 신기술을 도입해, 음료를 상온에서 패킹하고 포장 재료를 줄이는 방식으로 원가를 통제했음.
- 현재 두유 외에는 주스, 우유, 차 등 다양한 음료와 연두부 같은 콩류 제품을 출시함.
두유 | 우유 | 레몬티 | 연두부 |
자료: 웨이타나이 홈페이지
○ 이금기 (李錦記 Lee Kum Kee)
- 131년 역사를 가진 이금기는 1888년에 설립되어 현지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소스 제조기업으로 알려져 있음. 현재 전 세계 100개 지역 및 국가에서 굴소스, 간장, 고추장, 조미료 등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본사 소재지는 홍콩이며, 중국 광동, 미국 로스앤젤레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생산 기지가 있음. 이금기(Lee Kum Kee)는 엄격한 품질관리, 식품안전 검증, 맛의 요건을 갖췄고 우주 항공 사업을 준비하게 위해 발사한 유인우주선 신주 9호, 10호, 11호에 소스를 제공하였음.
굴소스 | 간장 | 고추소스 | 조미료 |
자료: 이금기 홈페이지
나. 산업의 수급 현황
○ 홍콩 가공 식품 및 음료 수출 (단위: 억 홍콩 달러, %)
| 2017년 | 2018년 | 2019년 1-5월 | |||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홍콩산 | 46.19 | +18 | 53.92 | +17 | 17.37 | +15 |
재수출 | 641.62 | +13 | 639.39 | * | 218.46 | -29 |
- 중국에서 수입한 제품 | 85.62 | +13 | 85.01 | -1 | 27.85 | -18 |
총 수출 | 687.82 | +13 | 693.31 | +1 | 235.83 | -27 |
자료: 홍콩무역발전국, 홍콩 통계청
- 홍콩 대부분의 가공식품 및 음료 수출은 재수출임. 2018년 기준 홍콩산 제품은 53.92억 규모의 홍콩달러(약 6.9억 미달러)로 전체 수출의8%를 차지하며, 총 수출액은 693.31억 홍콩 달러(약 88.9억 미달러)로 전년대비 1% 상승함.
(단위: %)
| 2017년 | 2018년 | 2019년 1-5월 | |||
제품 종류별 | 비중 | 증감률 | 비중 | 증감률 | 비중 | 증감률 |
가공 식품 | 86.2 | +18 | 86.2 | +1 | 87.7 | -27 |
우유/크림, 압축/가당, 고체 형태, 지방량 1.5% 초과 | 8.3 | +62 | 11.2 | +36 | 15.8 | +3 |
냉동 가금류 및 내장 (간장 제외) | 12.9 | +27 | 11.3 | -12 | 7.3 | -64 |
기타 가공 식품 | 5.2 | +50 | 6.6 | +28 | 6.7 | -16 |
신선/ 말린 피스타치오* | 3.4 | -23 | 4.2 | +23 | 6.6 | +46 |
냉동 소고기 | 1.0 | -51 | 2.4 | +141 | 4.1 | +137 |
음료 | 13.8 | -9 | 13.8 | +1 | 12.3 | -30 |
자료: 홍콩무역발전국, 홍콩 통계청
- 제품의 종류별로 보면, 수출된 제품은 가공식품 위주이며, 우유/크림 등의 제품은 15.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전년 동기 대비 3% 상승함. 2위는 7.3%를 차지한 냉동 가금류 식품이며, 전년 동기 대비 64% 하락했음. 기타 가공식품, 피스타치오는 각각 6.7%, 6.6% 차지했음.
*피스타치오: 일종의 견과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기능을 하여 심혈관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해줌.
○ 가공 식품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우유, 크림 제품 수급 현황
2016-2018년 홍콩의 주요 우유 및 유제품, 크림; 버터, 치즈 제외(SITC 022기준) 수입국
(단위: 천 홍콩 달러, %)
순위 | 국명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
| 수입 총액 | 13,114,514 | +4 | 11,757,732 | -10 | 13,603,280 | +16 |
1 | 네덜란드 | 6,864,093 | -7 | 5,509,269 | -20 | 5,617,493 | +2 |
2 | 뉴질랜드 | 1,022,699 | +20 | 1,572,403 | +54 | 2,107,697 | +34 |
3 | 아일랜드 | 1,246,949 | +83 | 717,849 | -42 | 1,270,163 | +77 |
4 | 호주 | 1,229,996 | +74 | 1,069,800 | -13 | 1,078,279 | +1 |
5 | 독일 | 391,455 | +43 | 621,230 | +59 | 989,420 | +59 |
6 | 중국 | 351,655 | +22 | 352,797 | +0.3 | 430,685 | +22 |
7 | 프랑스 | 270,534 | -6 | 272,995 | +0.9 | 311,192 | +14 |
8 | 말레이시아 | 229,094 | +4 | 231,051 | +0.9 | 227,936 | -1 |
9 | 미국 | 210,725 | -10 | 219,356 | +4.1 | 214,958 | -2 |
10 | 일본 | 222,543 | +48 | 176,834 | -21 | 210,387 | +19 |
- | 한국 | 41,967 | +33 | 48,845 | +16 | 51,440 | +5.3 |
2016-2018년 홍콩의 주요 우유 및 유제품, 크림; 버터, 치즈 제외(SITC 022기준) 수출국
(단위: 천 홍콩 달러, %)
순위 | 국명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
| 수출 총액 | 3,989,714 | +18 | 6,162,748 | +54 | 8,207,490 | +33 |
1 | 중국 | 1,559,693 | +126 | 3,694,719 | +137 | 5,918,667 | +60 |
2 | 마카오 | 2,410,474 | -10 | 2,438,706 | +1 | 2,263,490 | -7 |
3 | 베트남 | 8,344 | -49 | 2,101 | -75 | 15,867 | +655 |
4 | 싱가포르 | 5,106 | 33 | 2,781 | -46 | 3,054 | +10 |
5 | 남아프리카 | - | - | - | - | 1,210 | - |
6 | 대만 | 1,755 | +100% | 1,278 | -27 | 1,055 | -17 |
7 | 한국 | 85 | -75% | - | - | 651 | - |
8 | 태국 | - | - | 789 | - | 541 | -31 |
9 | 뉴질랜드 | 250 | -50% | 6,154 | ** | 540 | -91 |
10 | 미얀마 | - | - | - | - | 431 | - |
주: ** 증감률 999.9% 이상
- 제공 숫자 없음
자료: 홍콩 통계청
- 홍콩 우유 및 유제품, 크림의 수출입 시장은 2016년부터 계속 상승세를 보였음. 2018년에 수출 총액은 전년대비 33%를 상승하여 82억 홍콩 달러 (약 10.5미달러)를 달성했고, 수입액은 16% 증가하여 136억 홍콩 달러 (약 미달러17.4억)를 기록함.
- 2018년 국가별 수입동향을 보면 네덜란드가 56억 홍콩 달러 (약 7.2억 미달러)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2위는21억 홍콩 달러 (약 2.7억 미달러)로 뉴질랜드가 차지함. 이어서 아일랜드는 12억 홍콩 달러 (약 1.5억 미달러)로 3위임. 중국 분유의 품질 및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낮아서 글로벌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더 찾는 경향이 있음.
- 홍콩의 우유 및 유제품, 크림 수출의 98%가 재수출이며, 그 중 72%는 중국으로 보냄. 대 중국 수출은 2016년보다 3.7배 상승하여 59억 홍콩 달러 (약 7.5억 미달러)를 달성함. 2위는 22억 홍콩 달러 (약 2.8억 미달러) 규모인 마카오, 3위는 1,586만 홍콩 달러 (약 203만 미달러)의 규모인 베트남임.
다. 진출전략
□ SWOT분석
Strength (장점) | Weakness (약점) |
- 소비자들이 홍콩산 식품에 대한 신뢰 - 국제적인 무역 센터로 해외시장 진출 유리 - 간단한 세금제도 - 자유무역항이라 원재료, 제품 수출입 절차 간단함 | - 중국, 베트남 등 국가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인건비, 월세 - 부족한 공장 기지 - 전문 인력 부족
|
Opportunity (기회) | Threat (위협) |
- 정부에서 스마트 생산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 - 홍콩 과기원 및 생산력국에서 다양한 기술 지원 - 홍콩에서 개최한 전시회를 참가하여 업계 인사들과의 협업 기회가 많음
| - 각국에서 엄격해진 식품 안전 요구 - 중국 수출 시장의 대한 의존
|
□ 유망분야
○ 주문자 상표부착생산* 공장 협력
- 홍콩무역발전국 조사에 따르면, 외국 소비자들이 홍콩 식품, 조미료와 중국식 다과에 대한 관심도가 상승하면서 몇 년 전부터 홍콩 브랜드들이 해외 진출을 시작했음. 단, 홍콩에서 공장을 설립하려면 초기비용이 높아서 다수의 기업들이 해외에 공장을 세우려고 함. 중국, 동남아 등 지역은 생산비가 상대적으로 적게들지만 이 지역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낮음. 이에 한국 기업들은 홍콩 브랜드와 협력해서 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음.
*주문자 상표부착생산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가 요구하는 제품과 상표명으로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
○ 원재료 수출
- 중국과 홍콩 현지의 소비자들이 대부분 홍콩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만, 홍콩에서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음. 홍콩 정부 통계의 따르면, 2018년 홍콩 농장에서 생산하는 채소는 홍콩 내수시장의 2%만 제공함.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홍콩 식품제조업 대상으로 다양한 농산품 및 원재료를 수출할 수 있음.
자료: Food and Environmental Hygiene Department, Policy Address 2018, Hong Kong Government Press Releases, Hong Kong Productivity Council, Vitasoy, Lee Kum Ki, Garden, Wikipedia, 홍콩 무역관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