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 시설관리공단 출범 ‘제동’
시의회, “경제효과 등 미흡”…위탁·운영 동의안 보류
포항시에 산재한 체육, 문화, 복지시설 등 15개소 사업 대상을 통합 관리하게 되는 포항시 시설관리공단이 시의회 제동에 가로막히며 설립 단계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4월 ‘포항시 시설관리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포항시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시는 시설관리공단설립준비팀을 꾸려 공단 설립을 서두르고 있다.
시는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9일까지 열린 제 168회 임시회에서 종합운동장, 포항실내체육관, 노인복지회관, 청소년수련관, 근로자 종합복지관 등 15개 대상 시설을 시설관리공단에서 위탁·운영하도록 시의회 건설도시위원회, 총무경제위원회, 보사산업위원 등 3개 위원회에 각각 동의안을 상정했다.
그러나 15개 시설 중 보사위원회에서 노인복지회관, 포항시청소년수련관, 구룡포청소년수련원 등 3개 시설에 대한 위탁·운영 동의안을 통과시켰을 뿐 나머지 12개 시설에 대한 운영 동의안 결정은 보류했다.
특히 11개 시설의 위탁·운영 동의안 결정을 가진 총무경제위는 지난 6일 “경제적 효과와 인력 활용 방안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동의안을 보류했다.
이날 총무경제위는 종합운동장, 포항실내체육관 등 9개 시설에 대하여는 사실상 동의하고 일부 시설에 대해서는 위탁 운영을 반대했다.
반면 시는 11개 시설 전부에 대해 동의를 해줄 것을 요구하는 등 팽팽히 맞서, 결국 11개 시설 모두 보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시 총무경제위는 시설관리공단 위탁 설립과 운영에 따른 연구용역 결과에 신빙성을 떨어지고, 경제성이 없어 반대를 주장하고 있으나 이면에는 공단으로 시설 위탁 운영권이 넘어가는 모 단체와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일부 시의원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 4월 시설관리공단 설립 조례안이 통과된 가운데 ‘위탁·운영 동의안’을 처리하지 않는 것은 전형적인 집행부 발목잡기라고 맞서고 있다.
한 관계자는 “시설관리공단으로 포함되는 15개소 중 일부가 제외될 경우 설립 취지 맞지 않고, 타 시설과 형성성에도 어긋난다”면서 “특히 총무경제위가 반대하고 있는 일부 시설은 현재 운영비 집행 등 회계 투명성 문제와 운영비 중복 지출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의회가 두둔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그는 “공단으로 이관되는 단체의 이해 당사자인 시의원이 상임위에 있는 한 공단시설 위탁·운영 동의안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할 것이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