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OJtH3EODMnk?si=C-p1fKydCudcl8IL
O. Respighi - Ancient Airs and Dances (Antiche arie e danze)-Suite no. 3
작품 개요
20세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최대 작곡가인 레스피기는 인상파적인 수법과 이탈리아적인 회고주의, 거기에다 유럽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는 작곡가다. 현대적인 작품뿐 아니라 고대 작품에도 남다른 관심을 쏟았기 때문에, 그가 남기고 있는 작품이나 편곡들은 레스피기 특유의 색감과 스타일을 지니고 있다.
레스피기(Respighi, Ottorino : 1879∼1836)는 이탈리아 볼로냐 출생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왕립 오페라 극장의 비올라 연주자로 재직하였고, 림스키코르사코프, 브루흐의 영향을 받아 작곡을 계속하였다. 당시 오페라 작곡이 성행하던 이탈리아에서 전통과 근대적 관현악법에 알맞은 기악 분야의 부흥에 많은 공헌을 한 그의 대표작으로는 교향시<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로마의 축제>의 3부작, <새>, <그레고리오풍의 협주곡> 등이 있다.
작품 구성
교향시 '로마의 소나무(Pine di Roma)'는 1924년에 작곡되었다. '로마의 분수(1927)' '로마의 축제(1929)'와 더불어 로마를 소재로 삼은 교향시 3부작을 이룬다. 교회선법과 그레고리오 성가 등의 선율을 도입, 인상파적 수법과 뛰어난 관현악법으로 로마 근처에 있는 4곳의 소나무 숲을 풍부한 색채감을 살려 잘 묘사하고 있다. 소나무가 중심이고, 마치 풍경화 같은 작품이어서 관현악 색채에 중점을 두어 각 악기의 소리가 만들어 내는 음색을 따라가면서 감상하면 효과적이다.
로마 명승지의 소나무에 얽힌 4개의 이야기
‘오페라의 나라’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레스피기가 관현악에 뜻을 둔 데에는 스승들의 영향이 컸다. 우선 볼로냐 음악원에서 그를 가르쳤던 루이지 토르토와 주제페 마르투치는 19세기 말 이탈리아에 독일 교향악 기법을 도입하여 소기의 성과를 거둔 인물들이었다. 나아가 레스피기는 1900년에서 1903년 사이에 러시아에 체류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세헤라자데>의 작곡가로 유명한 ‘관현악의 마술사’에게서 전수받은 관현악 기법이야말로 그가 관현악 작곡가로서 대성할 수 있는 굳건한 토대가 되어주었다. 또한 그는 베를린에서 막스 브루흐의 가르침을 받기도 했다.
그런 레스피기의 역량이 최고조로 발휘된 <로마의 소나무>는 ‘로마 3부작’ 가운데 두 번째 작품이자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다. 전작인 <로마의 분수>가 현실세계에서의 환상을 다루고 있는 데 비해, 그로부터 8년 뒤에 발표된 이 작품은 현재를 바탕으로 과거에까지 눈길을 던지고 있다. 아울러 이 곡은 전작에 비해 한층 깊어진 정신세계와 한결 세련된 관현악 기법을 보여주는 수작이라 하겠다. 전곡은 4부로 나뉘는데, 네 부분은 쉬지 않고 계속해서 연주된다. 각곡은 로마의 명승지에 서 있는 소나무들을 모티브로 삼아, 그 주변의 정경을 그리기도 하고 그와 관련된 고대 로마의 환영을 좇기도 한다.
글출처: 웹사이트
https://youtu.be/0iwOmhZAaMg?si=wHr49Iiq8TpySxCQ
Respighi "Concerto gregoriano" Vadim Brods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