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정치' 실종된 21대 국회, 22대 어게인(Again) 강대강 대치 예고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21대 국회가 막을 내렸답니다.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21대 국회는 여야의 특검법 공방과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이 반복됐습니다.
지난 28일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도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돌아온
채상병 특검법은 재석의원 294명 중 찬성 179명,
반대 111명, 무효 4명으로 부결돼 폐기됐는데요.
이 과정에서 여당 내에서
공개적으로 찬성표를 행사하겠다는 이들이 있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이탈표는 적었답니다.
이를 통해 윤 대통령의 여당 장악력이
아직도 건재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됐습니다.
그 배경에는 22대 국회에 입성하지 못한
낙선·낙천자들이 있는데요.
이들은 찬성표를 던져
윤 대통령과 대립할 이유가 없었답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공공기관장 등
공석인 공공기관 자리가 많이 남아 있는 만큼,
그 자리를 꿰차기 위해서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22대 국회에서도 민주당이 입법 권력을
더욱 강력하게 행사하겠다고 밝힌 만큼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더욱 잦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강대강 대치의 악순환 속에
민생법안의 백지화 현상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22대 국회에서 채상병 특검법을 당론으로 발의해서
신속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알면서도
민주당이 쟁점 법안 처리를 밀어붙이는 것은
탄핵의 빌미를 만들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윤 대통령의 잇따른 거부권 행사를
‘입법권 통제’로 부각시키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이같은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민의힘은 108석만으로
야당의 입법 독주를 방어해야 합니다.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이
국회에서 재표결될 시 22대 국회에선
국민의힘 이탈표가 8표(21대 17표)만 있어도
법안이 통과돼, 거부권은 무력화됩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거대 야당의 일방 독주가 없다면
재의요구권 행사도 없다”며
“여야 간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강행 처리하는 법안에 대해선
대통령의 재의요구를 강력히 건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답니다.
윤 대통령도 당정 간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
초선 당선인들과 연일 만찬을 하는가 하면,
30일 진행된 국민의힘 연찬회에 참석해
당정 결속 강화 행보를 이어갔는데요.
일련의 과정을 봤을 때
여당이라는 이점이 있는 만큼,
22대 국회에서 채상병 특검법과 같이
이탈표가 나오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여권 한 관계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면서
보수정당이 궤멸됐고,
이를 누구보다 잘 아는 것이 여권”이라며
“정권 재창출을 노리는 여권으로선
탄핵이라는 아픔을
또 다시 겪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다만 채상병 사건과 관련해
윤 대통령이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한 사실이 드러나는 등
윤 대통령에 대한 수사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야당의 여권을 향한 공세 수위는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에 국민의힘은 김건희 특검법을 받는 대신
김혜경-김정숙 여사 동시 특검을 주장하는 등
방어에 안간힘을 쓰고 있답니다.
이 가운데 여권이 단일대오를
형성할 수 있을 지도 미지수입니다.
여권 내에서 돌출발언이 나오는 등
내부 교통정리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답니다.
나 의원은 지난달 27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 포럼에서
“22대 국회에서 선거제 개편뿐 아니라
개헌 논의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통령의 임기 단축도
전향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는 “논의에 따라서 이런 부분도
이어갈 수는 있다고 본다”고 했답니다.
그간 야권을 중심으로 제기되던
대통령 임기 단축을 전제로 한 개헌 논의가
여당 중진 입에서 처음으로 나온 것입니다.
이에 당 지도부는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고,
나 의원도 한발 물러나
“5년 임기는 원칙이고 기본이며
국민 공동체의 약속”이라며
“탄핵 야욕을 개헌으로 교묘하게 포장하는
일부 야당 주장은 단호히 거부한다”고 했답니다.
실제 유승민 전 의원은
정부의 해외직구 규제를 비판했는데요.
유 전 의원은
윤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두고
“답답했다”고 비판했고,
김건희 여사 수사를 담당하는 검찰 인사를 두고
“수사를 덮는다고 영원히 덮을 수 없다”고 하는 등
정부와 날을 세우고 있답니다.
여권의 비판에
정부가 해외직구 규제를 사실상 철회하자
오세훈 서울시장도 가담했답니다.
오 시장은 정부의 해외직구 규제를 향한
여권 내 비판에 대해 안전에 방점을 둔 정책이라고
정부를 옹호하며
“정책 전체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지적하는 것은
여당 중진의원으로서의 ‘처신’에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답니다.
이에 유 전 의원은 오 시장을 향해
“정부와 대통령실을 향해 해외직구를
다시 금지하라고 얘기할 배짱은 없는가”라며 비판했고,
한동훈 전 위원장도 “서울시장께서
저의 의견 제시를 잘못된 처신이라고 하셨다”며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건설적인 의견 제시를
‘처신’ 차원에서 다루는 것에
공감할 분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답니다.
윤 대통령 임기가 3년이나 남아 있는 시점에서
잠룡들의 경쟁은
여권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불거진 것으로 보입니다.
‘정권심판’으로 치러진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하면서
윤 대통령의 여권 장악력이 약해졌고,
이에 차기 대권을 노리는 인사들이
본격적인 몸풀기를 시작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과
친윤계의 탈당설이 흘러나오고 있는데요.
친윤계는 손사래를 치고 있지만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통령이 중대 결심’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탈당설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답니다.
홍 시장은 지난달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여당으로서 국민의힘이 윤 대통령과 한 몸이 되어
윤 대통령을 보호하지 못하고
중구난방으로 제각각일 때 윤 대통령은
중대결심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정치권에서는 그 가능성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는 시각이 있는데요.
윤 대통령이 총선 후
가장 먼저 독대를 한 사람이 홍 시장이고,
그런 그가 탈당 시사 발언을 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앞서 ‘대통령이 최근 참모들에게
자주 탈당 얘기를 한다’ 등의 보도도 있답니다.
이 같은 탈당설은 한 전 위원장 견제용 메시지로,
윤 대통령과 각을 세워 온 한 전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되면
대통령과 당 주류가 떠날 수 있다는 경고라는 해석입니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의원들 사이에선 총선 패배의 원인으로
윤 대통령을 지목하는 목소리가 꽤 있는 편”이라며
“다음 선거가 다가올수록 윤 대통령과
분리해서 가려는 의원들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