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코로나19 켄타우로스 변이와 위중증 환자 관리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10∼11월 대규모 재유행이 다시 발생했을 때 켄타우로스가 주도종이 될 수 있기 때문. 코로나19 중증병상의 가동률이 45.8%까지 높아진 것에 따른 중증병상 효율화 방안도 제시됐다.
질병관리청은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켄타우로스 변이’로 불리는 BA.2.75 변이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시행한다고 밝혔다.
켄타우로스는 7월17일 국내 첫 확인 후 22일까지 76건이 검출된데 그쳐 우세화 가능성은 아직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켄타우로스가 한국의 코로나19 재유행을 주도하는 BA.5 변이보다 3.24배 빠르게 전파됐고 면역회피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죄근 재유행 주도종인 BA.5 변이는 앞서 대유행을 주도한 오미크론(BA.1)과 스텔스 오미크론(BA.2) 감염에 따른 면역과 백신으로 생성된 면역을 회피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이에 따라 방역 전문가들은 오미크론(BA.1)의 하위종인 BA.5 변이의 면역회피 성질과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전파력을 모두 가진 켄타우로스가 10∼11월 재유행에서 주도종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상호 중대본 제2총괄조정관은 회의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재유행이 반복되고 있다”며 “켄타우로스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변이 분석법을 개발해 9월초에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신종 변이 바이러스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최근 검사 참여 의료기관을 150개소로 확대하고 주당 약 1600건 이상의 유전체 분석을 하는 등 강화된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위중증 환자 관리도 강화한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9일부터 코로나19 중증병상 재원적정성 평가 주기를 ‘주 1회’에서 ‘매일’로 재원 부적합자의 퇴실 이행 기간을 ‘2일 이내’에서 ‘1일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중증병상 입원 환자는 입원이 적절한지 판단하는 ‘재원 적정성 평가’를 통해 전원(병원이동), 전실(병실이동)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평가는 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 제시한 기준을 근거로 민간 전문 의사들이 중증병상 입원 신규 환자 중심으로 실시한다.
중수본은 “코로나19 중증병상의 가동률이 7월1일 5.3%에서 24일 45.8%까지 높아져 병상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설명했다.
다만 퇴실 결정 후에도 환자 상태 악화 등으로 중증병상 재원이 필요한 경우 의료기관이 제출한 소명자료 심사를 통해 계속 입원이 가능하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6일 브리핑에서 “과거에는 중앙에서 코로나19 중증전담병상 입원 허가를 판단했지만 지금은 각 병원이 임의로 판단할 수 있게 허용돼 있다”며 “중증병상에 해당하지 않는 중증도를 가진 환자들이 입원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관리하기 위해 제도를 강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자원의 적절한 효율성을 위해 (중증병상을) 꼭 필요한 중증환자에게 집중해서 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