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0- 신살 3
木은 土金과 陰陽의 짝을 이루고
火는 金水와 陰陽의 짝을 이루고
土는 水木과 陰陽의 짝을 이루고
金은 木火와 陰陽의 짝을 이루고
水는 火土와 陰陽의 짝을 이룬다.
결국 인생은 재관 속에서 계속 음양 운동을 하며 짝지으려고 하는 것.
:편관(庚.申)
-나를 완벽하게 무기로 제압하는 것으로 호랑이 또는 武官임.
-武官, 경찰, 검찰, 특수기관, 힘든 조직으로 주로 사법과 관련.
-투쟁성과 권력욕이 강함.
-남자에겐 아들, 여자에겐 기둥서방이나 애인.
:정관(辛,酉)
-남자에겐 딸, 여자에겐 남편.
-주로 행정과 관련된 것으로 공평무사, 질서, 보수, 정의 사회, 차관급.
-이미 정해져 있어 바꿀 수 없는 규칙 같은 것.
:편인(壬.亥)
-식신을 완전 제압함.(콩쥐의 눈물)
-보통 남들이 갖지 못한 특별한 기술과 기능으로 예술적 재능, 의약, 순발력,
임기응변에 강하고 단판에 승부를 냄(신데렐라 기질). 한방에 인생역전.
-편고성으로 한 방향으로 폭발성을 가지고 전문분야의 자격증
-일에 있어서는 더디게 가며 답답함.
-부동산의 재산을 의미하는데 팔기 어려운 땅으로 한번 뛰면 엄청나게 뛸 수 있는 땅.
:정인(癸,子)
-식신을 억제하는 기능이 강하지 않음.
-엄마를 두고 있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믿는 구석이 있어 인생을 열심히 살지
않을 수도 있음.
-적당한 제어와 조절력으로 육친적으로 모친을 의미.
-학자, 선비적인 기질, 보수성, 글과 학문
-현금화가 높은 부동산(문서)
*比肩.劫財가 오면 財星을 극함을 알고
:財星을 극한다는 것은 현금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는 것으로 이 경우는
印星이 財星의 약화로 강화됨으로 문서의 형태로 재산을 보존하는 것이 좋음.
*食神.傷官이 오면 관성을 극함을 알고
:食傷이 오면 관성을 극하여 관재, 구설, 시비요소를 수시로 안고 있는데
官을 극하면서 財星을 生하는 작용을 하니 돈 되는 일에 官災 口舌
是非가 오고 여자의 경우는 남편의 덕을 傷하게 함.
*財星이 오면 인성을 극함을 알고
:財星은 현금화로 인성의 문서 형태의 재산을 자꾸 현금화 시키고
재성이 강해지면 인성의 성품인 신뢰와 신용이 무너짐.
소년기의 재성은 돈과 여자에 해당해서 인성인 공부할 수 있는 힘을 빼앗는다.
또 財星은 官星을 生하는데 官은 폼을 잡게 하기도 하지만 재물의 洩氣處 임.
*官星이 오면 비견,겁재를 극함을 알고
:官은 큰 조직과의 관계발전이나 이권을 다루게 되는데
이 경우 比肩,劫財인 경쟁자를 음해하던지 뒤통수를 쳐서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데 官은 자존심이나 명예의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횡적관계인 동창이나 친구를 희생시키기도 함.
*印星이 오면 食神,傷官을 극함을 알라
:印星이란 인내의 과정을 동반한다. 그래서 조직사회에선 긍정적으로
작용을 하지만 平人이나 商人은 행동의 제약을 받는 상태이므로
食傷을 극한다는 것은 일종의 휴직상태라고 알 수 있다.
또한 印星을 잘 쓰는 사람은 고상한 가치를 두고 공부를 하거나 道를 닦는다.
印綬는 동작정지 상태를 만들어 내기 쉬운 인자임.
印綬 대운에 할 수 있는 것은 인허가나 자격증.
대운에서의 육친도 기본적인 환경을 많이 만들므로 고려해야 함.
*남자의 경우
木(我)
水(인) 母 火(식) 丈母
金(관) 子 土(재) 父, 婦
木(비,겁)兄弟姊妹
*여자의 경우
木(我)
水(인) 親母 火(식) 子
金(관) 夫 土(재) 親父
木(비,겁)
시간적인 변화에 따라서 육친의 작용도 긍정적인 작용에서 부정적인 작용으로
또는 그 반대의 작용으로도 나타난다.
나이에 따른 육친의 변용법.
소년기:1-20세
청년기:21-40세
장년기:41-60세
만년기:61-80세
비견:
소년기-형제로 성장에 도움
청년기-형제 친구 경쟁자
장년기-손재를 가져다주는 존재
만년기-친구
겁재:
소년기-손재이므로 부친인연이 박하고 금전 환경이 부족
청년기-형제 친구 경쟁자
장년기-손재를 가져다주는 존재
만년기-친구, 금전소모와 지출
식신:
소년기-성장성, 표현력의 강화, 유흥성
청년기-편관을 두려워 하지 않는 자유 분방함, 예술성
장년기-재를 만드는 부동산. 새로운 사업이나 농사를 위한 투자
만년기-편안한 노후인 레저 여행 수명 건강.
상관:
소년기-재능을 강화, 천재성, 부모말을 잘 안 들음.
청년기-유흥성, 가출행위, 예술적 재능의 발휘
장년기-관재 구설 여자에겐 남편의 덕이 부족.
만년기-정력의 소모, 재산의 소모, 긍적적으로 봉사성 감투, 선출직 감투
사회를 위한 재물의 기부.
편재:
소년기-인성을 파괴하는 학마, 모친과의 인연이 약함, 모친과의 불화.
청년기-여자 풍류 금전관심 금전활동의 강화
장년기-금전융통 금융활동.
만년기-질병이나 재물을 좇는 활동.
정재:
소년기-부모로 부터의 경제적 혜택, 공부는 적당히.
청년기-여자, 애인, 금전 환경.
장년기-상속, 혜택.
만년기-금전 활동의 원활과 긴병.
편관:
소년기-갑작스런 사고, 세균성 질환.
청년기-조직사회, 여자에겐 배필로 삼기엔 어려운 남자친구.
장년기-관재 또는 기운을 잘 쓰면 큰 명예
만년기-행동의 제약, 갑작스런 질병, 마비성 질환.
정관:
소년기-자기를 잘 보호해 주고 길러주는 환경
청년기-남자에겐 조직성 여자에겐 남편인연
장년기-명예 발전
말년기-남자에겐 자식의 번영 여자에겐 남편의 번영.
편인:
소년기-젖이 부족함, 성장이 떨어지고 건강이 약화, 이공계 공부
청년기-일의 지연, 가벼운 병고, 활동의 둔화인자
장년기-질병요소나 부동산이나 문서 재산
말년기-질병요소
정인:
소년기-성장 방해나 표현력의 부족이나 편인보단 약함, 글공부는 인문 사회중심의 공부
청년기-자격, 문서, 학위
장년기-부동산 이권 문서 인허가나 자격증
만년기-자식의 활동이 강화되어 있는 모양 또는 자식 때문에 불편한 상태.
자식이 알아서 다 해줌.
*대운의 순서를 보면
비견과 겁재를 먼저 만나고 인성 관성 재성 식상의 순서의 배열이 좋다.
*사물로의 변용법
비견: 배기량과 같아서 식신이나 상관을 돕는 작용으로 성냥개비 하나를 더붙이는
결과로 불이 커짐.
겁재: 맞은편에서 오는 자동차, 동일 차선의 극심한 경쟁자
식신: 액셀레이터, 자연스런 가속으로 활동성을 열어줌.
상관: 터보로 기름의 소모가 많은 대신에 가속이 붙음. 한방이 있다.
편재: 차의 짐
정재: 연료나 적당한 짐, 배터리
편관: 도로위의 경찰관.
정관: 도로위의 신호등.
편인: 사이드 브레이크, 로또복권
정인: 브레이크.
육친 중 재성을 나누기 위해서
時 | 日 | 月 | 年 |
他家 | 我家 | 我家 | 我家 |
他家 | 他家 | 我家 | 我家 |
즉 他家의 財星은 妻이고 我家의 財星은 父親이다
*고독지명
고독지명 ,,조후 안 맞는 사주는 항상 마음이 불편하다.
반대로 조후 맞는 사주는 마음이 편안한 것이다.
조후 맞아서 마음 편하면 어느 정도 이루면 만족한다.
박청화왈 어떤 조후는 일하는 조후이고(활동성을 보장해 주는 조후)
어떤 조후는 부모 재산이나 마누라나 남편 돈 받아먹고 편안히 발 뻗고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라고 한다.
물론 나는 사주를 봐도 어느 게 활동력을 주는 조후인지 어느 것이 그냥 소파에서
뒹굴하는 조후인지 모른다..
적어도 조후 부족하면..남 삥뜯고 살 그런 팔자는 아니라고 보며..
특히 고시 패스하는 사주 중에 상당수가 편중된(조후 안 된) 사주가 많다한다.
..일전에 역갤에서 조후가 안 되어서 사시 패스 못할 사주라고 평하는 걸 봤는데..
당시 나는 아무 말 안함..오늘에서야 말하는데..
박청화 강의노트 보면 박청화는 반대로 말함..맘 편하고 낙천적인 사람은 사법고시
같은 거 쉽지 않다고..뭔가 편중되고 그런 사주가 더 잘 한다고...
물론 활동력을 증가시켜주는 조후는 사법고시 해도 잘 하겠고..
*조후가 다가 아니란 말..
조후 안 되는 사람 안심하라고 하는 말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조후 안 되어서 망했다고
생각하지는 말하는 의미에서..
뭔가 편중되고 같은 성향끼리 한쪽에 왕창 뭉쳐있는 그런 사주는 거지가 되거나
잘되거나 확실하다..
財는 財끼리.. 官은 官끼리
유정한 것끼리 그룹이 이루거나
食傷과 財가 그룹으로 뭉쳐있거나
이런 것들..
흥하거나 망하거나 모 아니면 도...
물론 인생 안전하게 올망졸망 사방에 흩어져서 중화를 이루면 평탄하게 살 것이고..
丑寅卯가 新三合이라는 것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丑寅卯에 대해 특별한 의미가 있다는 것은 박청화 강의노트에서 처음 봤는데요.
같은 케이스로 未申酉도 이야기 합니다.
이게 각회지의 끝자리 土에서 부터 다음 회지 두 글자로 이어지는 것인데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보면 辰戌丑未 기준해서 다음 두 지지인데
辰巳午와 戌亥子는 포함하지 않더라고요.
왜 그런 것인지 박청화는 설명은 안하는데
일전에 뫼비우스님하고 대화해본 결과
辰巳와 술亥는 천라지망이라 글자가 서로 묶입니다.
그런데 丑寅卯와 未申酉는 해당 안됨.
丑은 金의 墓地이므로 金운동을 갈무리하고
金을 보관 하는 일을 하고
이어지는 寅卯는 木운동의 建祿과 帝王地입니다.
즉 金운동 종결하고 木운동 한창 벌인다는 의미이니
木의 운동을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고
丑寅卯가 未申酉보다 좀더 좋은 의미로 쓰이는데
丑寅卯는 뭘 해도 一流를 지향한다고 하죠.
원래 木이 성장 뻗어나감
1등
일류를
의미하니
丑寅卯를 지지에 두면 정상을 차지하려는 성향을 나타낸다고 보네요.
未申酉는
반대로 未는 木운동의 종결점이고
申酉는 金운동의 建祿과 帝旺이니
金운동을 한창 벌리는 것
일의 끝마무리를 의미
하나는 시작 하나는 마무리를 의미하는데
굉장히 좋다고 하는데
충분한 답변이 되었나 모르겠네요
丑寅卯는 깃발 선수 심판이라고 다르게 말하는데
저는 깃발이 丑인 줄 알았으나
甲이 깃발이라고 하더군요.
甲은 지표를 나타낸다고
그래서 선수와 심판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모르나
깃발 선수 심판의 丑寅卯 구조에서
깃발에 해당하는 기준을 세우는 역할은 甲이라고 최근에 알았습니다.
김동화 선생 동영상으로부터,.....
========================================================
아래 샘플이 박청화식 사주풀이에 도움이 될 만해서 올려봅니다.
춘하추동 2004 전공의 선택에 있는 예제입니다.
壬 甲 庚 壬
申 午 戌 辰
午戌 : 食傷, 財星 소통
ⓐ 이 팔자에서 官星은 어디에 있느냐? 月干, 時支, 印星은 어디에 있느냐?
年干, 時干, 기본적으로 天干에 官印이 소통되어 있고, 地支에 官印이 소통되어 있다.
그 사람의 활동환경이 官星에 어떤 형태이든지 간섭받는 형태로 놓여 있을 것이다.
地支에 傷官과 財와 어울려 있다. 이 팔자는 다 있는데
ⓑ 이 팔자에 比,劫 인자가 없다. (比劫: 행동력 인자로 보라. 자신이 이끌어 가려는
주도권, 주도력의 인자로 보라. 독립심, 사업의 인자)
이 八字는 약하다. 이 경우는 傷官生財도 있고 官印 소통도 있다.
ⓒ 대세를 보자니(계절적 환경을 보자니) 戌은 三合으로 午와도 놀겠지만,
계절적으로 申戌方合의 인자인 金局에서 작용하겠다(申酉戌)
官 대세에 印綬 소통을 따른다.
ⓓ 年과 月에 天干적으로 庚壬 官印 소통이 드러났다는 것은
官印 소통의 환경이 강하다.
그런데 팔자에 庚이 戌에 세력이 있다 없다?
세력이 있으니깐 庚金, 즉 조직사회의 규모가 세력이 있겠다.
ⓔ 庚의 육친을 두는 인자를 보니 戌辰 편재의 인자에 무리지어 있다.
ⓕ 거기에 午 상관이 戌 재성을 돕는 인자로 놓여 있는데, 申戌에 뭐가 있다?
: 寅申巳戌 : 신통력 집단, 금융, 힘이 모여 있는 곳.
이 팔자는 재물을 다루는 조직인데 사람을 살리고 죽일 수 있는 에너지나
기운이 있는 곳이나 금융이다. (금융은 죽음에 이르게 한다)
ⓖ 결국 이 팔자는 금융조직이다.
또한 이런 모양에서 偏官이 편재위에 올라 있으니
큰 조직사회에서도 법무이거나 세무 속성의 조직으로 본다.
ⓗ A의 庚壬 관인 소통만으로도 관리자로써 상당한 성공 발전 이룩,
남들 눈에 잘 뛰는 明, 중앙, 본부.
ⓘ A를 거치고 자리 변동을 통하여 B의 壬申 관인소통은 지방,
즉 A와 B의 운동이 틀리다(궤도가 다르다).
지방으로 움직여서 조직사회 중심의 활동이 따르게 될 것이다.
ⓙ A에서는 크게 성공, B로 움직여도 중심적 위치에 있다.
ⓚ 午戌 상관생재는 무엇인가?
午戌이 어느 자리에 있나, 좌표를 보니 처의 자리에 있다.
㉠ 자신이 주도력이 약하다. 그럼 누가 주도 할 것이냐? 처.
㉡ 본인은 조직사회 관리자로 발전하고
㉢ 妻는 자기에게 부업처의 주업형태로 금전 활동을 할 것이다.
Q)팔자에 辰中 癸水와 壬水中 누구를 취하나?
A)팔자에 드러나 있는 壬水를 먼저 취한다.
①년에 壬水를 먼저 취한다.
㉠엄마 역할을 충실히 못하였으니 母德이 부족하거나
인연이 짧을 것이다? 정신적인 뜻은 고상할 것이다.
현실적인 엄마로서 德은 못 줄 것이다.
Q)부모의 인연법?
A) 辰戌이 이렇게 벌어져 있다.
ⓜ 父母인연법(이런 것 맞춰보아야 별 의미가 없다)
㉠甲이 戌을 봐서 偏財를 이루고 있다.
월에 있는 偏財는 아버지 역할인데
戌土는 財星으로 기운이 강한 것이다. 허약한 것이다? 허약한 것이다.
偏財란 한때 번영했다가 쉽게 사그라질 수 있는 인자이다.
결국 偏財가 부모자리에 있는 경우에는, 아버지의 자리에 드러나 있다.
특히 땅에 있는 戌은 경제적 실속은 구했을 것이다.
결국 조직 사회활동은 하지 않고, 자기 사업을 구했는데,
한때 잘 나가다가 크게 쇠퇴함을 만나서 “잘 나갈 때 줄 섰으면
돈 받는데 그래도 절반 날아간다. 偏財라 짝이 안 돼서”
㉡辰에 편재가 거듭하였음은
조부자리에 偏財가 있음은 속성이 다른 편재가 있음이요.
할아버지(辰)가 작은 부인을 두어 아버지(戌)와 다른 형제를 둔 탓
즉, 아버지는 할아버지와 뜻이 잘 통하지 못하였다.
결국 아버지는 할아버지를 떠나 객지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렇지 않으면 義絶(작은 부인을 둔 할아버지와 의절했다.)
壬 甲 庚 壬
申 午 戌 辰
Q)財印이 거듭함은 부모가 재혼을 한다던가?
A)
ⓝ財 거듭, 印 거듭함은
부모의 인연이 고르지 못한 기본환경을 가지는 것이다.
학문적으로 맞춰보는 차원에서 그런 것을 물어보면
대부분 거기에 조건부로 딱딱 부합된다.
조건부로, 만약 壬인연이 길다면 母德이 부족하고 (편인은 正印이 아니므로)
논리는 자기 개인(日柱) 근접하는 인자를 확장 해석해 가면 된다.
ⓞ마누라는 午색 마누라를 만나면 좋다.
午中에는 丙己丁 : 己가 있다.(正財)
*이 八字의 幼年까지 확장해서 연습해 보자!
ⓟ 조직을 움직이더라도 상당히 큰 조직사회로 간다.
㉠運의 유혹에 의해 寅卯를 만났을 때
친구가 찾아와 사업을 하자고 할 때 못하게 한다.
㉡하고 싶으면 妻 同業으로서 本人 副業, 妻 主業 형태의 사업.
㉢꼭 본인이 한다면 官과 손잡은 형태 유지하는 것이 좋다.
ⓠ丑寅년이 오게 되면 부득이한 자리전변이 오게 된다.
모든 게 힘들고 잘 안 된다.
즉 庚이 丑에 入庫하니 내가 어찌 할 수 없는 환경 : 외부적 환경
ⓡ流年해석 : 이 팔자는 언제 조직사회에서 자리변동이 다반 하겠구나?
㉠젊은 날의 직장은 庚戌에 세력을 가진.
: 辰年 冲에 의해 동료인자로 인한 변동인자 발생
: 運에서 乙(甲)이 왔을 때는 庚이 木(金이 깨짐)이 된다.
: 봄이 오면 껍질이 깨짐이다.
(*乙이 運에서 왔을 때는 乙庚金이 되지 않고 木이 대세가 되니깐
庚이 오히려 손모된다. 乙庚 끝부분에 결국 庚으로 따라가지만,
초봄 즉 甲의 초반에는 아직 어려 庚을 어찌 못하지만 甲이 무르익으면
乙이 되고 甲運의 중반쯤 되면 庚을 동요케 하고, 晩春에 庚이 씨앗으로
에워싸지 못한다.)
직장 조직의 속성이나 감투의 속성이 변할 것이다.
運에 甲乙은 동료 : 저놈 때문에 일이 안되니 때려 쳐 볼까한다.
하지만 甲乙運이 지나면 그나마 안 보이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는
식으로 그런 환경이 없어진다.
:天干에 丁이 왔을 때 壬의 결재 인자를 傷官이 와서 막 유혹하는 꼴이다.
丁壬짝을 이루려니 도장이 흔들린다. 즉, 傷官은 財星을 만들어 내는 인자이니
찍으면 돈은 준다는데... 傷官은 官星을 깨니 조직을 엎어 볼까?
윗사람과 싸움 등. 즉 불안한 인자 辰甲乙丁 글자 등에서 온다.
그 외의 運에는 어제 같은 오늘, 오늘 같은 내일...
壬 甲 庚 壬
申 午 戌 辰
ⓢ流年 해석 : 진급 인자는?
㉠巳申酉子
子: 인수소통
이런 運에 진급할 것이다.
감투가 새로워지는 것이다.
대운에 놓이면 상당기간 그리 되겠다...
대운에 申酉 만나면 특진 두 번씩 한다.
申酉 : 조직생활은 매우 피곤, 하지만 이런 運에 진급을 두 번씩 한다.?
인격과 벼슬은 오행속성 육친속성 육친인자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인간이 과장인가? 계급장이 과장이지. 인격과 벼슬은 다르다.
벼슬이 높으니 힘이 생기고, 벼슬이 낮으니 힘이 빠지는
결국 사람이 財官에 미혹되어서 자기 삶을 가져가는 것이다.
이런 것에 초연한 사람이 선비 士, 왕 옆에는 士가 있어야 한다.
장기판 보면 왕 옆에 士가 있듯...
인생은 진급되면 웃고, 벼슬에 미혼되어 財官의 움직임 따라
결국 음양운동을 할 수 밖에 없으니 세속의 삶이란 것이
결국 음양운동의 흔들림 속에서 결국은 삶을 이루게 되더라.
*이 팔자를 보며 雜氣財官에 偏官이 득세하니 인수가 용신이다 하면
꽝이고 人生 잡는 것이다. 근데 巳運에 진급하더라.
왜? 巳申이 땅바닥서 結局하고, 庚金이 長生한다.
이 팔자는 조직을 움직이더라도 큰 조직사회로 간다.
가끔 寅卯년을 만나 친구가 찾아와 사업을 하자고 할 때
이때 못하라고 한다. 한다면 하면? 妻의 동업으로 하라고 한다?
자기 사업을 꼭 한다면? 손과 손을 잡고 유지 할 수 있는 형태로 하라고 한다.
Q) 丑年이나 寅年이 오면는?
A)丑寅 이때에 자리, 조직 전변의 부득이한 환경이 오겠다.
庚金이 丑에 入庫하니 즉 내 개인적인 운세에 의한 것이 아니고
큰 환경이 큰 조직사회가 구조 조정되어 버렸다. 책상이 빠져 버렸다.
식으로 부득이한 외부적 환경에 의해서 자리변동 인자가 발생한다.
자발이 아닌 庚-이 글자가 丑에 쇠퇴하게 되니
그런 환경이 쉽게 주어진다. 이때는 수그리고 있어야 된다.
Q)이때 妻 동업해서 한다면?
A)요때는 대충 잘 안 된다. 旺者가 入庫,
旺者가 絶地에 이르렀을 때는 팔자의 무기가 사라졌으니
세속의 일을 구하면 대부분 자기가 주동하기 어렵고
주변 환경도 잘 맞춰지지 않는다. 이 때 사람의 길을 가지 말고
鬼谷의 길을 가라. 도사의 길. 丑寅卯의 길은 自我의 길이다.
自我의 길로 봐도 좋고 旺者가 入墓하여 나머지를 쓰자니 구차하고
차라리 사람의 길을 버리고 鬼神의 길을 따르겠으니
鬼谷에 머무는 도사로 살겠다.
*실제로 凶을 피하는 방법 중에서 死中生法.
死中生 : 팔목에 쇠고랑 차거나 발목에 쇠고랑을 차고 병원에 누워있는
谷자 지명이 있는 곳. (가장 일반적 방법) 저승사자가 피한다.
이 세상에 제일 무서운 사람은 바라는 것이 없는 놈. 안 먹는다는 놈.
※死中生法-죽을 운을 피하는 법
1. 교도소에 수감된다.
: 고의로 죄를 지어 교도소에 들어가면 총과 칼을 찬 교도관이 지키고 있으니
저승사자가 잡아가지 못한다.
2. 병원에 입원한다.
: 아파서 살기가 힘이 들면 병원에 입원하면 의사가 칼을 들고 지키고 있으니
저승사자가 잡아가지 못한다.
3. 절에 가서 기도하며 생활한다. (교회도 됨)
: 죽을 운을 만나면 절에 가서 기도하면 저승사자가 아무리 찾아도 부처님 품에
있으니 찾지를 못하고 돌아간다.
4. 3일 이상 금식한다.
: 3일 이상 금식하면 내 몸에 귀거하는 귀신이 먹을 것이 없어서 떠난다.
웬만하면 병은 이 방법으로 다 낮는다.
*금식기도를 3일 이상 하면 산천의 신들이 나를 가엽게 여기고 소원을
들어준다. 마하트마 간디가 금식으로 투쟁해서 인도를 독립시켰다.
<無財七施(돈이 없이도 배풀는 7가지 방법>
자안시(慈眼施): 부드럽고 자비로운 눈빛으로 사람을 편안하게
대하는 것
화안시(和眼施): 자비롭고 미소 띈 얼굴로 사람을 대하는 것
언사시(言辭施): 아름답고 공손한 말로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것
사신시(捨身施): 몸소 행동으로 사람들을 돕는 것
심려시(心慮施): 따뜻한 마음으로 사람들을 배려하는 것
상좌시(床座施):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
방사시(房舍施): 잠자리, 거처, 숙소 등을 마련해 주는 것
《 사주분석의 요체(12운성) 》
각 일주의 12운성을 돌린다.
처자 인연법에서도 적용하면 배우자의 특성이 드러난다.
예) 甲일주
- 子 : 편재가 잉태되나 육친상 편인이니 현실은 나를 갑갑하게 하는 妻
- 丑
- 寅
- 卯 : 비겁을 조성하니 卯生 妻는 나에게 악연이다.
- 辰 : 육친상 편재이면서 식상이 관대이니 식상이 활동하여 편재를 생산한다.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육친상 편재이나 식상이 入庫하니, 食傷이 활동하지 못하고 담판승부를
통해 편재를 생산한다.(cf. 따라서 辰生 妻보다는 영양가가 덜한 처)
- 亥 : 비겁을 조성하니 亥生 妻는 나에게 악연이다.
- 子
- 丑
예) 壬일주
- 未年 : 육친상 正官이면서 食神이 입고하니 반드시 결혼하게 된다.
- 戌年 : 육친상 正官이나 食神이 養하여 아직 기운이 있으니
결혼은 선택형이다.
※腸腑 중에는 木火土 腸腑가 육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건강 - 인간이 순수할 때 무자론 오행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인간이 조잡하여져서 육친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사주에서 먼저 五行적 多小(계절, 간지의 多小)를 살핀 다음
육친을 살핀다.
- 건강을 분석하기 위한 격국 용신설 -
<오행의 多字와 無字에 의한 해석>
木弱 - 火多木弱 : 간염, 金弱, 두통, 안질환
土多木弱 : 간경화 간암 등 심각한 간병, 과로에 의한 질병
金多木弱 : 肝弱, 수술 또는 상처에 의해 훼손됨, 신경 , 근골
火弱 - 土多火弱 : 심장병, 당뇨
金多火弱 : 만신이 다 아프다(ex 무당들), 스트래스
水多火弱 : 시력약함, 급성질환, 풍병, 사고에 의한 신체훼손
土弱 - 金多土弱 : 비위허약, 위천공, 위궤양, 여자들의 위암 자궁암
水多土弱 : 위하수, 비위허약
木多土弱 : 위산과다, 위기능위축, 위암
金弱 - 水多金弱 : 생리통, 대장, 아랫배가 찹다
木多金弱 : 치질, 대장질환
火多金弱 : 피부질환
水弱 - 木多水弱 : 만성질병, 신부전증, 당뇨
火多水弱 : 성병, 피부병, 당뇨
土多水弱 : 혈액관계질병, 당뇨
木旺 - 水多木旺 : 시력부족(木이 火를 펼쳐주지 못하여) 간 기능저해, 심장기능약화
木多木旺 : 풍병
火旺 - 木多火旺 : 풍병, 고혈압, 스트래스, 신경질 조우울증 등의 정신병
火多火旺 : 심장병, 혈압, 스트래스, 신경질 조우울증 등의 정신병
土旺 - 火多土旺 : 열로 인한 소화불량, 소식이 좋다,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찜.
土多土旺 : 소화불량, 살이 찐다. 土多水弱의 해와 비슷하게 드러난다.
金旺 - 土多金旺 : 난치성질병
종양질환(木火가 튀어나가는 것을 土가 잡아 金이 수렴시키므로
金多水弱 또는 土多木弱의 해와 비슷하게 드러난다.
金多金旺 : 건강체질, 다쳐서 성처가 생김, 金多木弱의 해와 비슷함
水旺 - 金多水旺 : 종양질환, 차가워서 생긴 질병
水多水旺 : 조후가 맞으면 건강체질이나 조후가 안맞으면 정신질환, 정신병
※신강 또는 신왕한 팔자는 기본적으로 평소에 건강하다.
단, 인수가 태과한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질병을 볼 때는 약한 것을 먼저 보는데, 그 약해진 원인에 따라서 병의
양상과 치료가 달라지게 된다.
예) 金多木弱格 - 金과 木을 소통시켜주는 水가 상승인자가 된다.
火多木弱格 - 水가 상승인자가 된다.
================================
甲 : 위장병, 심장병 - 木生火
위궤양 - 木旺土弱
혈액순환 - 木旺水弱
丙 : 인후염, 폐결핵, 늑막염 - 火多金弱
戊 : 간병 - 土旺木弱
알콜 중독 - 巳午未月의 戊己일주는 알콜 중독이 많다.
탈장 - 土弱金弱
壬 : 성병 - 火多水弱, 土多水弱, 木多水弱
<육친의 의미>
: 건강을 볼 때 오행요소 외에 육친요소도 살핀다.
육친은 곧 습관이니 습관이 누적되어 생기는 병을 알 수 있다.
- 木을 예로 들어보면
<木弱의 원인>
1) 火多木弱 - 간염, 간염이 심해져서 간이 타게 되면 간경화
2) 土多木弱 - 만성 간질환(재성을 감당하지 못하여 생기는 간병, 결국 염열로
간 후 간암이 된다. 요양시 妻와 떨어져 사는 것이 좋다)
→ 제일 어려운 간병
3) 金多木弱 - 원래 기질적으로 간이 약하며 술을 잘 못 마시나
자신이 잘 관리하므로 큰 손상은 입지 않는다.
<木强의 원인>
1) 水多木强 - 乙일주가 地支에 亥子丑이 많은 경우 → 火운동을 시켜주면 된다.
2) 木多木强 - 木强하면 화사(火寫),토보(土補),金補하는데,
火寫,土補는 자연스러운 방법이고,金補는 강제적인 방법이다.
<육친은 생활이요 직업이다>
○ 甲 ○ ○
○ 申 酉 ○ - 官이 득세한 官格이니 긴장 과로에 의한 질병이 생긴다.
이런 사람은 약의 양과 시간을 정해주면 잘 지켜 복용한다.
己 甲 ○ ○
巳 午 午 ○ - 상관격이니 절제없는 생활로 인한 질병이 생긴다.
이런 사람은 약의 양과 시간을 정해줘도 잘 따르지 않는다.
○ 辛 戊 ○
○ ○ 戌 ○ - 正印格이니 印綬에 의해 食傷이 억제되어 항상 위장이 긴장되어
있다.
○ 庚 戊 ○
○ 辰 戌 ○ - 偏印格이니 印綬에 의해 食傷이 억제되어 자기 표현을 못해서
병이 생긴다. 이런 사람은 노래 유흥, 운동 등을 통해서 자기표현을 하도록 한다.
- 육친은 행동을 만들고 병을 만든다. -
格이 잘 갖추어진 자(성공한 자)는 갖춰진 격 때문에 사고와 행동의 편집성이
있으며 그 편집성 때문에 질병이 발생하므로 병의 원인이 뚜렷하다.
<운에서 만난 육친법>
운에서 어떤 육친요소를 만났느냐?
甲 壬 乙 壬(乾)
辰 子 巳 辰
97년 丁丑年 己酉대운 辛亥月 甲子日에 뇌졸중이 왔다.
팔자에 財官이 많아 과로하기 쉬운데, 戊申 己酉의 官印대운을 지나면서
과로가 누적된 데다, 酉에 식신이 絶地에 들어가니 큰 병이 왔다.
甲 乙 甲 庚(坤)
申 丑 申 申 - 96년 丙子年에 몸이 아파 휴학인데 과외선생한테 빠져 있다.
年月에 多官하니 이성에 대한 관심은 빨리 생기나 팔자 내에
食傷(火)가 없으니 표현을 잘 하지 못한다.
또한 乙庚合金하여 庚을 짝으로 생각하나 둘을 소통시켜주는 인자가
없으므로 내 남편이 되지 못한다.
辛 辛 癸 己(乾) 戌亥 공망
卯 未 酉 丑 - 己巳대운 乙亥,甲戌年에 부도 정리 했다.
뇌종양수술, 巳午未대운을 지나면서 식신에 힘이 빠져 있으며
申酉戌 세운을 만나 財星이 약해져 있는데 乙亥 空亡年을 만나
누적되었던 것이 병으로 드러남.
辛 癸 壬 丁(乾)
酉 巳 寅 卯 - 97년 丁丑年 편재를 보아 집 매매로 신경을 쓰다가 중풍이 왔다.
노인은 偏財가 곧 짐이니 꺼리기 마련이다.
※ 사주에서 질병을 볼 때
1) 食傷의 흐름을 잘 체크해 본다.
:辰巳午未年에 壬癸를 식상으로 쓰는 庚일주 辛일주는 食傷이 入庫하니
마음이 아프던지 몸이 아프게 된다.
○ 戊 庚 ○
○ 辰 申 未 - 食神格이니 기본적으로 먹을 것이 주어지며 명랑하고
낙천적인 성격이어서 평생 안 아프고 잘 산다.
○ 戊 庚 ○
○ 辰 申 寅 - 食神格이라도 남편(寅)이 식신(申)을 沖하니
남편과의 부조화 때문에 몸이 아프다.
따라서 食傷이 드러나서 훼손된 것 보다는 숨어서 보전된 것이 낫다.
丙 乙 ○ ○
子 亥 丑 ○ - 地支의 印綬에 의해 식상(丙)이 위축되어 있다.
이런 모양은 처녀 때 빼빼하고 허약하나 자식을 놓으면 건강해진다
만약 膝下에 자식이 없다는 식상이 없다고 본다.
○ 乙 辛 ○
子 亥 亥 午 - 地支의 印綬에 의해 식상(午)이 위축되어 있으면서 官(辛)도
미약하니 시집도 못 가고 몸도 아픈데, 시집가서 아이를 낳게 되면 건강해진다.
그러나 食傷이 官에 의해 약해지는 모양의 사주는 시집가면 오히려 몸이 아프다.
2)격이 바른지 여부를 체크해 본다.
격이 뚜렷한 경우 - 격이 뚜렷한 사람은 사고와 행동의 방식이 잘 짜여져 있으니
세월이 흐르면 이것이 축적되어 병이 된다.
마산의 어느 역술인은 6번째 대운이 식상 또는 격을 충 할 때
10명중 6명이 죽는다 하였다.
격에 변화가 올 때 질병이 발생한다.
-반평생 도시생활을 하던 사람이 퇴직 후 갑자기 전원생활을 하면 오히려 壽命이
짧아지는데 이는 격에 너무 큰 변화를 주었기 때문이다.
<질병론>
: 일주는 내 삶의 주연이므로 많이 쓰니 일주가 강하거나 약하면 병이 크게
드러난다. 그 외 간지는 내 삶의 조연이므로 상하거나 약하면 병이 드러나나
일주만큼 크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1. 육친의 신체적 작용
: 팔자에 재성이 많으면 몸이 약한데 짐이 많은 격이라 신경통이나 관절에 관계된
질병이 발생한다. 재다함이 아니라도 운에 의하여 재가 가세하면 관절이나 몸을
움직이는데 방해를 주는 병이 온다.
또한 짐이 많으면 심장에도 무리를 주므로 심장에 관련된 질병을 가져다준다.
오랫동안 財 대운을 만났다면 간에도 무리가 있다고 본다.
-남자 팔자에 正財가 왕하고 감당하기 어려울 때 간 손상이 많다.
이럴 때 부인과 떨어져 있으면 빠른 개선이 된다.
○ 辛 壬 ○
○ 未 午 未
팔자에 官星이 거듭하여 있으면 食傷에 무리를 주므로 먼저 소화기계에 부담을
준다. 偏官이 가세하여 身이(일주)가 매우 약하면 食神은 성장의 별이 되는데
食神을 방해하므로 몸이 메마르고 성장이 不充分한 경우가 많다.
○ 乙 辛 ○
未 午 巳 午
팔자에 식신 상관이 거듭하면 印綬가 약화되고 身이 쇠약해지는데 이런 경우
정신질환이나 신경쇠약이 오게 된다. 지나친 방탕으로 생기는 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여자가 자식을 다산하고 나서 생기는 산후병들이 여기에 속한다.
○ ○ 庚 丁
丑 亥 子 亥
○ ○ 乙 丙
○ 亥 丑 子
- 印綬가 旺하여 食傷이 반가운 팔자는 자식을 낳고나면 건강해 진다.
2. 오행, 육친의 혼합 분석
오장 : 木 (肝藏), 火 (心藏), 土 (脾藏), 金 (肺藏), 水 (腎藏)
육부 : 木 (膽담), 火 (소장,삼초), 土 (위), 金 (대장), 水 (방광)
- 인체와 관련한 육친의 사용법
비견/겁재 : 식신의 밭이 되므로 원기에 해당하고
척추와 기본적인 원기에 해당한다.
祿을 沖하는 해에는 건강이 나빠진다.
食神/傷官 : 소화기관, 생식기관, 사지, 활동에 필요한 분야의 장기 및
신체부위에 해당한다. 식상은 건강성 전체를 총살하므로 식상이 약화
되면 건강이 약화된다.
偏財/正財 : 正財는 내장의 배터리와 같으니 간과 유사하고
偏財는 짊어지고 가는 짐과 같다. 따라서 財가 지나쳐 나와 조화롭지 못하면 모두 짐이다.
偏官/正官 : 인체의 제어기관이라 부르는 두부, 호르몬, 신경계의 역할을 한다.
偏印/正印 : 인체를 쉬고 다시 힘을 얻게 하는 것과 관련된 신체 장기가 된다.
예를 들어 丙丁火의 날에 태어난 여자의 경우 土가 식상이 되므로 土가 자궁의
장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자궁 및 신장, 방광은 水에 속하므로 土가
팔자 내에 많으면 子宮 外 妊娠이나 腎臟 膀胱에 病이 다발한다.
○ 丙 ○ ○
未 午 戌 ○
-건강을 볼 때 오행요소와 육친요소가 상반되는 경우에는 오행요소에 우위를 둔다.
운명을 볼 때는 육친요소를 우위에 둔다.
戊 己 庚 戊(坤)
辰 巳 申 申 - 월 상관이니 자기 마음대로 하고 살아야 되는데 시모한테
마음대로 하지 못하니 화병이 났다. 시모와 떨어져 살아야 병이 없다.
丁 丙 甲 丙(坤)
酉 辰 午 午 - 14살에 자궁을 적출했다.
食神이 세력이 있고 명랑하나 火기운(地支,대운)에 의해
水기운(자궁)이 약화 되었다.
甲 丁 戊 丙(坤)
辰 卯 戌 午 - 乙未대운 丁丑年에 자궁근종 수술을 했다.
地支에 午戌合 卯戌合으로 火局이 강화되어 있는데다가
辰戌沖하여 火局을 더욱 자극하니 水기운이 약화되었다.
丙 辛 丁 庚
申 酉 亥 辰 -
14세 야뇨증을 겪었다.(사주첩경 2권 101p)
金寒水冷으로 인하여 야뇨증이 생겼다.
12살 정도되어(사람의 대운을 크게 乙丁辛癸로 보았을 때 丁대운에
조후가 갖추어지면 낫는다)
그 외 사주는 庚辰 괴강살이 있으므로 마비성 또는 급작스러운 질병에
노출될 수 있고 일주가 申酉이니 잘라내고 끊어내는 수술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夜尿症>
金寒水冷의 해 - 방광이 작아서 소변이 흘러넘침.
성장하면서 火運이 들어와 조후가 갖추어지면 낫는다.
火多水弱의 해 - 방광은 크나 소변이 끓어서 넘침
오히려 나이가 들어 화기운이 약해지면 좋아진다.
甲 戊 甲 己
寅 寅 戌 酉
식상이 공망이면서 水기운이 없어서 자궁기능이 약한데
편관이 많으니 수술 등의 희생적 요소가 발생한다.
3. 좌표에 의한 부위의 분석
: 좌표란 年月日時의 위치에 따라 병을 쪼개어 보는 것인데,
년을 두부로 月을 어깨 및 흉부로 일을 내장으로 時를 생식기관 및
사지로 분석하여 보는 것이다. 또한 천간을 정신적인 요소로 地支를
몸과 피의 성향으로 지장간을 내장의 요소로 보는 것이다.
壬 丙 庚 辛
辰 申 寅 丑 - 디스크 수술, 늑막 수술을 받았다.(月日의 相冲)
寅申(月日)의 상충이니 허리에서 횡경막, 또는 호흡기 계통에
질환이 생겼다.
己 乙 己 庚(乾)
卯 巳 卯 子 - 결핵성 임파선으로 소년에 고생하였다.(년월의 상형)
년월의 상형으로 일주 木이 손상되니 腺질환이 생겼다.
腺질환은 구부렸다 펴졌다하는 木에 해당
甲 甲 丙 甲(坤)
子 辰 子 午
子午相沖하면 열병 또는 소아마비 등의 질환이 생긴다.
만약 子午相沖이 아니라 그냥 年月의 相沖이라면 목 디스크,
인후성 질환이 생겼을 것이다.
- 子午相沖 - 열병의 속성, 또는 소아마비
午가 子를 沖하면 午의 폭발성이 강화됨
예) 午를 子가 沖하면 폭발성이 극대화 된다.
子를 午가 沖하면 해가 그리 크지 않다.
예) 地支의 子亥子를 午가 沖하면 수압에 문제가 생기는데
특히 木의 소통요소가 없는 사람들은 血壓에 터지게 된다.
신살 3
辛 庚 庚 丙(乾)
巳 申 寅 午 -
소년에 머리에 큰 흉터를 남기는 수술을 했다.
年에 偏官이 득세하였으므로 이마 또는 머리를 크게 다쳤다.
이 소년은 커서는 편관이 있으면서 地支에 寅巳申 삼형이 있으니
사관학교 또는 검, 경찰 쪽으로 직업을 가질 것이다.
- 년월에 편관 또는 편인이 있는 경우 - 소년시절 수술사를 겪으면서 건강이
자리를 잡음
- 일시에 편관 또는 편인이 있는 경우 - 장년 말년에 수술사를 겪으면서
건강이 자리를 잡음
偏官 - 수술사, 세균성 질환
偏印 - 성장지연, 마비성 질환
예) 庚일주 - 辰(偏印): 12운성상 식신의 입고지이니 偏印의 害가 크다.
戌(偏印): 12운성 상 식신이 관대이니 편인의 해가 크지 않다.
- 日時에 드러난 병 - 年月日과의 관계 속에서 누적된 병
따라서 45세 이후에 나타난 병은 자기 자신의 행위, 습관의
누적으로 나타난 질병
※ 마비성 질환<中風(陽的), 癌(陰的)>
편인 또는 마비성 인자(沖, 괴강살, 백호대살, 조후실조)가 있는 경우 발생
※ 괴강살 - 年에 있는 경우 뇌종양, 뇌질환
月 또는 日에 있는 경우 흉, 복부의 종양이나 질환
4. 沖, 合, 刑에 의한 질병의 분석
: 沖은 충전의 작용이면서 파괴와 투쟁의 논리가 된다. 고로 冲이 있으면 각 장부의
발달을 유도하다가 결국은 한쪽의 장부가 약화되는 아픔을 겪게 됨을 의미한다.
충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그 작용력이 크다.
예) 子午 - 滅共
子○午 - 反共
子○○午 - 선린우호와 반공의 중간단계
합은 각 장부의 기능이 상호의 연관성 속에서 이루어지지만 결국은 合이 지향하는
방향에 의해서 손상되는 육친에 병이 옴을 의미한다.
예) 地支에 亥卯가 있는 경우 亥가 서서히 卯에 이끌려가서 희생되는데
合의 害는 시간이 걸리므로 장년기 이후에 드러나게 된다.
예) 천간에 丙辛이 있는 경우 丙辛合水되어 丙이 희생됨이 큰 데 天干合은 地支의
合보다 작용이 더욱 빠르다. 특히 地支에 天干合을 조절하여 주는 인자가 없는
경우에는 더욱 빠르다.
刑도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는 데 대체로 沖의 작용력보다는 약하지만 질병에는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다.
刑이 외부적 犧牲을 의미한다면 破는 내부적 犧牲을 의미한다.
甲 乙 己 庚(乾)
申 未 丑 戌 - 소년 건강에 다리가 불편하다(한의사)
겨울에 乙木으로 태어났으면서 火(식상)가 없어서 조후를
상실하였다. 게다가 地支에 丑戌未가 삼형을 맞으면서
戌 속의 丁火마저도 형을 맞았다. 또한 년에 괴강살이 있다.
만약 몸이 불편하지 않았다면 형을 직업으로 삼아 검,경 특수조직등에 몸 담았을 것이다.
己 庚 壬 甲(乾)
卯 子 申 辰 - 日時의 상형이니 손가락에 흉터가 있다.
戊 癸 癸 壬
午 亥 卯 午 - 亥卯合에 의해 亥가 희생되어 地支에 水기운 부족의 해로
인하여 당뇨가 발생한다.
戊 乙 甲 辛(坤)
寅 巳 午 酉 - 나팔관 임신을 해 보았다(사주첩경 권3,103p)
地支에 水기운이 부족하면서 日時相刑이니 자식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5. 氣血精神의 분석
: 1,2,3,月은 계절적으로 보아 봄이요 木의 계절에 속한다.
고로 血이 왕성한 계절이라 氣가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가 사주속에
그대로 적용됨을 의미한다. 1,2,3월의 기운을 血로 4,5,6월을 神으로 7,8,9월을
氣로 10,11,12월을 精으로 보아 계절적으로 강함을 얻음을 통해 약한 요소가
병이 됨을 의미한다.
그것을 체질에 가깝게 적용하여 治病의 수단으로 삼음을 의미한다.
寅卯辰月生 - 血旺氣衰
巳午未月生 - 神旺精衰
申酉戌月生 - 氣旺血衰
亥子丑月生 - 精旺神衰
특히 월지에 다른 간지까지 비슷하게 몰리면 특성이 강화된다.
○ ○ ○ ○
○ 寅 卯 ○ - 혈왕기쇠, 간담기능 실하고 폐 대장기능이 허하다.
약한 것이 병이니 치료는 補氣,補肺 大腸하여 상대방 것을 보해준다.
치료는 반대편의 것을 도와주어 조후적 음양을 맞추어 준다.
寅卯辰月生 - 血旺氣 衰, 간담기능실하니 치료는 補氣, 補肺 대장한다.
巳午未月生 - 神旺精衰, 비위장기능실하니 치료는 補氣, 補神 방광한다.
申酉戌月生 - 氣旺血衰, 폐 대장기능실하니 치료는 補血, 補간담한다.
亥子丑月生 - 精旺神衰, 신 방광기능실하니 치료는 補胃, 補심 비위한다.
壬 甲 庚 己
申 寅 午 巳 - 火旺水弱하니 신 방광기능이 저해되어 혈액이상
당뇨, 암등이 올 수 있다.
乙 乙 丁 壬(坤)
酉 丑 未 辰 - 혈액에 이상이 있다.
地支에 土多하여 일주 乙이 약화되어 혈액에 이상이 생겼다.
甲 戊 乙 壬(乾)
寅 辰 巳 午 - 97년 丁丑年에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木火土가 旺성하고 水가 부족한데 97년 庚戌대운에
寅午戌 삼합으로 火旺水弱의 害가 극대화되어 백혈병으로 사망
※ 우리 몸의 70%는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건강은 운세와 달리 운의 영향을
바로 받는 것이 아니라,그 운의 중간 또는 끝부분에서부터 증상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마른자는 수분 함유가 작으므로 간지에 대한 반응이 보다 빠르고
뚱뚱한 자는 수분 함유가 많으므로 간지에 대한 반응이 좀 더 느리다.
戊 壬 壬 壬(乾)
申 寅 寅 寅 -
31세 壬申年에 중풍이 와서 수족이 불편하다.
木旺한데 寅申沖하여 寅을 자꾸 자극하니 木이 더욱
왕성해져 있는데 壬申年에 다시 申이 寅을 沖하니 폭발하여
중풍이 왔다. 만약 세운에서 酉가 왔더라면 같은 金이라도
寅의 입장에서는 酉가 正官, 酉의 입장에서는 寅이 정재가 되니
완화가 된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申年이 오면 세속생활을 끓던지
寅申沖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가야 큰 병을 막을 수 있다.
※死中生法 - 죽을 운을 면하는 방법
교도소에 수감된다.
병원에 입원한다.
절에 들어가서 생활한다.
3일 이상 음식을 끓는다.(귀신들이 먹을 것이 없어서 내 몸에서 떠나니
웬만한 병은 이 방법으로 나을 수 있다)
절실한 신앙을 갖는다.
己 己 庚 癸(乾)
巳 酉 申 酉 - 金旺木弱하여 간암 발생
이 팔자가 만일 木 대운을 지나면서 발병하였다면
弱한 것을 너무 써먹어서 생긴 병이니 治癒가 불가능하다.
辛 癸 壬 丁(乾)
酉 巳 寅 卯 - 71세 丁丑年에 스트레스 받은 뒤 중풍이 왔다.
地支에 木이 강화되어 풍병이 우려가 있는데다가
노인이 편재운(丁)을 만나 병이 왔다.
丙 乙 辛 癸(坤)
子 酉 酉 酉 - 두통, 편도선에 간이 약하다.
金旺하여 일주 乙木이 약화되므로 두부(頭部) 선(線) 간(肝)
계통에 병이 왔다.
※ 요즘은 신체 발달이 왕성해지면서 세균성 질환(病:외적인 질병)에는 강해 졌으나
당뇨, 중풍, 암등(病: 내적인 질병)에는 오히려 약해지고 있다.
6. 대운,세운에 따른 변화
: 대운은 크게 보아 주거지요, 계절과 같은 것이다. 고로 대운의 글자를 주거 환경과
계절적인 요소로 보아 다발하는 질병으로 보고,
세운의 변화는 하루의 일기로 보아 생길 수 있는 병으로 본다.
예를 들어 巳午未대운에 있다면 巳午未는 중심가나 번화가를 의미하므로
그런 주거나 생활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병으로 보고 여름에 생기는 질환이
다발한다고 보는 것이다.
※ 巳午未대운 - 水弱의 해가 질병으로 드러나는데 巳午未 대운에 들어서면서부터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巳午未대운의 중간 쯤부터 질병이 드러난다.
대운에 병이 있으면 만성적인 질병이 있는데 세운에 의하여 가세되었다고 보고
대운에 병이 없는데 세운에서 왔다면 급성의 질환으로 본다.
참고적으로 건강, 대운,세운의 관계를 설명하면 운세는 대운이 지배적인데 반해,
건강은 세운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보면 된다.
比肩 - 비견은 경쟁력을 이루고 오행상 같은 기운을 의미하므로 건강은 상당히
좋은 발전을 가져다준다. 오랜 병고로 시달리던 사람도 비견을 만나면
자연히 회복하고 왕성한 활동을 이룰 만큼 호전이 된다. 그러나 다른
사회적인 성취가 부족하므로 심리적으로 스트래스를 받는 경우가 많다.
劫財 - 劫財는 건강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일이나 매사에 실수를 가져다
주므로 사고나 낙상으로 인한 손재나 입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금전 손상이 안 오면 낙상이나 사고가 발생한다.
食神 - 食神을 다른 말로 壽星이라고 하는데 七殺이 되는 偏官이 다가오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편관은 수술과 사고 등을 일으키는 별인데 이것이
생기지 못하도록 하므로 대체로 원만하고 건강한 삶을 이룩한다.
건강이 좋지 못하던 사람도 이런 운을 만나면 좋아지고 활동력도
왕성하여 진다. 노인의 경우 남녀 공히 만성적인 질환이 따르더라도 관리만
잘하면 건강을 이룰 수 있다.
※ 신약 하더라도 그대로 적용 된다.
傷官 - 상관은 법을 흐리므로 행동에는 자유 분망함이 오게 된다.
고로 유흥, 음주, 가무 등으로 보내는 세월이 되므로 몸을 여러 가지로 망치는
운이라 만성적인 질환이나 흥청망청 몸을 다루어서 오는 고통을 겪을 운이다.
또한 사고를 자주 일으키는 때가 되니 교통사고 등으로 입원의
세월을 보내기도 한다.
傷官 - 내가 질서나 규칙을 어김으로써 다침
偏官 - 외부요소에 의해 다침
偏財 - 일주가 약하여 큰 재물을 감당하기 힘든 경우는 만성적인 병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관리를 해야 하는 운이다. 편재는 인수를 파괴하므로
도덕성에 방해를 받는 일에도 많이 관계하게 되는데 이것은 큰 스트래스가 된다.
고로 만성적인 피로나 스트레스가 오게 되고 편재는 큰 짐에 비유되므로
무거워서 걸리는 신경통이나 협심증 등이 오게 된다.
正財 - 팔자가 지극히 신약하여 재관을 쓰지 못하는 경우 외에는 건강도 별 무리가
없음을 의미한다. 팔자에 재성이 많으면 재성이 오는 것을 꺼리는데 무거운
짐을 지고 가는 격이라 신경통 관절염 팔 다리에 병고 등이 오게 된다.
偏官 - 편관은 식신과 반대편의 별이 되므로 건강에 여러 가지의 고통을 준다.
편관은 호랑이와 함께 살아가는 모양이라 신경성 질환이 발생하고
소화기계와 성장에 방해를 준다.
또한 몸에 살이 찌지 않는 질병이 따를 수 있다. 대체로 몸에 살이 찌면
병고가 온다. 만성적인 질병을 관리하면서 지내는 것이 오히려 좋다.
예를 들면 신경통, 신경쇠약, 성장장애 만성질환 등이 오기 쉽고
관리를 요한다.
正官 - 正官의 運은 陰陽이 짝을 이룬 運이 되므로 건강이나 일에도
큰 무리가 없다. 간혹 正官이 印綬를 도와주는 역할이나 食傷과
相冲되는 역할로 인하여 갈등이 생기거나 애로가 따를 수 있다.
대체로 만성적인 피로나 신경 쇠약 등이 올 수 있으나 발병은 거의 없다.
偏印 - 偏印은 원래 食神을 방해하니 자연스러운 행동이나 衣食住에 방해를 주므로
건강도 발병하면 가장 낫지 않는 별이다. 고로 보통 이런 大運이 오면
만성적인 질환이나 수명을 마감하는 경우가 많다. 각별히 건강에 신경을
쓰면서 지내야 한다. 보통 팔 다리에 불편한 병고가 오므로 중풍, 소화기계,
수족, 생식기 계등에 관리가 요한다.
正印 - 印綬는 적절한 노력과 인내를 하므로 건강에도 좋은 運은 아니라도
무난함을 의미한다. 食神을 방해하므로 만성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는
병고는 올 수 있으나 지속적인 인내와 노력을 하므로 건강에
큰 무리가 없다.
=====================================================
박청화선생 강의 내용 일부 대, 세운 관련입니다.
*天干은 현실적인 관심사고 地支는 실제상황이다.
대운은 바꿀 수 없는 계절이다.
*대 세운 해석하기 전에 命을 먼저 본다.
命에 없으면 대 세운에서 차용한다.
*양대운, 음대운을 쪼개 나갈 때 대운의 운동결과는 三合에 의해 결정된다.
*천간에서 이뤄지는 것은 사건적 개념으로 보고, 地支에 있는 것은
실제 결과물을 의미한다. 八字 분석 없이 대,세운 대입은 의미 없다.
*대운이 좋고 세운이 나쁘면 그 작용이 미미하고 대운이 나쁘고
세운이 좋아도 그 작용력이 미미하다.
*좋은 사주는 대운이나 세운 중에 어느 글자만 좋아도 충분히 사용하여
쓰게 되고 좋지 못한 사주는 대운세운 중에 어느 글자만 나빠도 고통을 당하기 쉽다.
*대운은 계절이고, 주거지고, 환경으로 생각하고 세운은 매일 만나는
날씨와 같은 역할로 생각하면 된다.
*글자의 반대편 글자의 활동성이 위축돼 잇기 때문에 결국 반대편
글자가 문제점이 된다. 寅午戌 대운이라면 申子辰이 문제의 소지가 많다.
*대운 교차하는 전후의 2~3년을 잘 보아야 한다. 크게 바뀔 수 있는 환경이다.
*丑대운 지나서 寅대운에 들어서면 丑運의 후반부부터 寅에 대한 욕구가 생긴다.
卯대운 들어서면 卯에 대한 갈증이 생긴다.
*寅대운 들어서면서 寅午戌生과는 친해지고 巳酉丑生과는 서서히 멀어진다.
寅午戌 갖고 싶다. 되고 싶다. 巳酉丑 신물이 난다. 이골이 난다.
*남자가 申子辰 巳酉丑 대운을 지나간다 함은 빌어먹어도 편하게 빌어먹을 곳이 있다.
*辰戌丑未 대운은 入墓작용
뭔가를 파묻는 다 함은 주변의 누군가의 희생을 전제로 딛고 일어선 아픔이다.
뭔가 내게서 소중한 것이 빠진다. 함은 성공을 이루더라도 희생을 전제하고 있다.
안으로 벌고 밖으로 나가고, 화개의 작용.
*巳酉丑 申子辰에 돈을 번다면 남자는 편하게 벌 것이고, 여자는 힘들게 벌 것이다.
남자가 寅午戌 대운을 간다면, 짝지어지지 못하는 것을 억지로 짝지어 쓰고 있으니
배우자에 대한 불만 요소가 항상 놓여 있다.
*寅丑대운에서 교차가 많다. 丑運에 잘 나간 사람은 寅運에 개구리가 되고
寅運에 잘 나간 사람은 丑運에 개구리 된다.
大運을 볼 때 계절이 바꿀 수 없는 주거지고 환경이기 때문에 어느 계절에 있는지가
중요하고.....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운에서 번영하고 쇠퇴하는지 命안에서
충분하게 분석이 된 다음에 大,歲運의 해석에 들어가야 된다.
그 사람이 명에 관한 일을 하고 있다면 天干을 주로 보고 경제적인 實이라고 보는데
직업에 따라서 달리 보아야 한다.
辛
亥일날 태어남,, 壬午年을 만났을 경우의 해석 먼저 冲할 것이 있으면 冲하고
合할 것이 있으면 合하고 그 다음 生한다. 壬상관을 만났으니 여러 가지 정신적인
인생설계 午 편관이니 여러 가지 시달리고 바쁜 과정과 건강 부담...
사회적으로 실속 없는 일에 가담하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공식 이벤트이고
비공식 이벤트도 있다. 亥속에 (戊甲壬)... 午중에(丙己丁)
甲과 己의 조화력을 보면 결과물이 土, 正財라는 재물을 土에 속하는 곳에 있고
편인으로 문서에 관련된 일에 가담해서 돈을 문서로 바뀐다.
그래서 壬午年에 부동산 투자나 문서 잡는 행위를 남들이 모르게 했다.
壬과 丁의 조화력
壬은 자식을 생산하는 창구, 생식기다. 그것이 丁과 짝을 지어 木을 이룬다.
木은 생명체로 봐도 좋고 금전도 된다.
남자와 나의 생식기가 만나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의 애정 행위가 이루어진다.
壬은 남자의 생식기, 丁의 官은 財星의 食傷으로 여인의 생식기다.
둘이 짝을 지어 財를 이룬다... 자식이 아니고 여자를 만들어내는
행위가 비밀스럽게 진행될 수 있다.
2025년 2월 17일
박청화 강의 정리
청오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