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지처(糟糠之妻)와 빈천지교(貧賤之交)
우리가 살아가면서 옛일을 잊어서는 않 돼지요.
특히 어렵고 힘들때 함께 했던 사람들은 어떤 경우에도 잊어서는 아니되고
은혜를 입었다면 보은(報恩)을 해야하고 득을 봤다면 보답(報答)을 하는것이 인간의 도리(道理) 죠.
그런 의미에서 조강지처와 빈천지교는 두고두고 새겨두어야할 성어인것 같아요
조강지처와 빈천지교는 중국의(후한서)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로
원말은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 不下堂)
빈천지교 불가망(貧賤之交 不可忘)이지요
조강지처(糟糠之妻)는 술지게미 조(糟)자에 겨 강(糠)자를 쓰는데
이는 술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라는 뜻이고
빈천지교(貧賤之交)는 가난할 빈(貧)자와 천할 천(賤)자를 쓰며
가난하고 천하여 어렵게 살때 함께했던 친구라는 의미 이지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일이었어요
건원(建元) 2년 당시 감찰(監察)을 맡아보던 대사공(大司空:御史大夫) 송홍(宋弘)은
온후한 성품에 심성이 착했으며 성격은 강직한 인물이었지요
본시 송홍은 신분이 미천한 사람이었는데 탁월한 식견과 위엄 있는 풍채로
광무제의 신임을 얻어 마침내 '대사공(大司空)'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었어요
어느날 광무제는 홀로 미망인이 된 누나인 호양공주(湖陽公主)가 안타까워
누구를 마음에 두고 있는지 그 의중을 떠보아,
호양공주는 당당한 풍채와 덕성을 지닌 송홍에게 호감을 갖고 있는것을 알았지요.
몇일뒤 광무제는 과부인 호양공주를 병풍 뒤에 숨겨 놓고 송홍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의 의중을 떠보기 위해 이런 질문을 했어요
"흔히들 고귀해지면 (천할때의) 친구를 배신하고 부유해지면 (가난할때의) 아내를 버린다고 하던데
이는 인지상정(人之常情) 아닌가?"
그러자 송홍은 이렇게 대답했어요
"폐하 황공하오나 신은
'빈천지교 불가망[貧賤之交 不可忘]'이므로
가난하고 천할때의 친구는 잊지 말아야 하며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 不下堂]'이니
술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는 버리지 말아야 한다 라고 들었사온데
이는 인간의 기본 도리가 아닐런지요?"
이 말을 들은 광무제와 호양공주는 크게 실망하였으나 그 인물 됨됨이에 광무제는 더크게 등용하였으며
호양공주는 그 후에도 송홍을 많이 흡모하며 존경했다 하네요.
물론 송홍(宋弘)이 못생긴 조강지처를 버리고 어여쁜 호양공주를 아내로 맞았다면
잠시는 호의호식 할수 있었겠지만 많은 식자들로 부터 지탄을 면치 못했을것이며
그로인해 그 명성에 먹칠을 했을 것임은 자명한 일이었지요.
그렇지만 송홍은 비록 못생기고 보잘것 없는 조강지처(糟糠之妻)이지만 부부의 도리를 다 했으며
광무제도 그 조강지처를 억지로 내쫓고서 누나의 희망을 채워 줄수는 없었던 것이지요.
그 일화가 있은뒤 부터 조강지처와 빈천지교라는 말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송홍의 사람됨을 귀감으로 삼았다 하네요.
다시말해 조강지처의 뜻은
조(糟)는 술지게미를 뜻하고, 강(糠)은 쌀겨를 뜻하며 몹시 거친 음식을 말함이지요
조강지처는 이와 같이 거친 음식을 나누어 먹고 온갖 고생을 함께한 아내라는 뜻이라 하는군요.
빈천지교 또한 어렵고 힘들었을때 사귄 친구는 잊어서는 안된다는 뜻이지요
그런데 옛날 조선시대때는 조강지처라 할지라도 ‘칠거지악(七去之惡)’을 저지르면
소박을 주어 내 쫏았다 하는데 그 칠거지악은 다음과 같아요.
1. 不純舅姑(불순구고) = 시부모께 순종 않을시
2. 無子(무자) = 아들을 못낳을 경우
3. 淫行(음행) = 행실이 음탕할 경우
4. 嫉妬(질투) = 질투하는 경우
5. 惡疾(악질) = 나쁜 병이 있는 경우
6. 口舌(구설) = 말이 많은 경우
7. 竊盜(절도) = 도둑질을 하는 경우
그러나 이 경우에도 예외는 있었어요.
즉, 칠거지악을 저지른 조강지처라 하더라도 아래 3가지에 해당될 경우에는
‘삼불거(三不去)’라 하여 집에서 내쫓지 않았다고 하지요.
첫째. 有所取無所歸不去(유소취무소귀불거) = 쫓아냈을때 오갈곳이 없는 경우
둘째. 與共更三年喪不去(여공경삼년상불거) = 시부모 삼년상을 함께 치른 경우
셋째. 前貧賤後富貴不去(전빈천후부귀불거) = 시집와서 재산을 많이 불린 경우
그러니까 세번째를 다시보면 혼인 전에는 빈천하다가 혼인 후에 각고의 노력으로 부귀해진 경우에는
쫏아낼수 없다는 것이지요 이 또한 조강지처와 비슷한 맥락이지요.
누가 그랬어요
나이든 아내는 얼굴을 보지말고 마음을 보라고 ...
어느덧 검은머리 파뿌리되고 그 곱던 얼굴엔 주름살이 가득하지만 반평생 함께하며 가정을 지켜주고
자식들을 낳고 키웠으니 이 보다 장한 일이 또 어디에 있겠어요....
또 옛날 셋방살이를 전전하며 어려울때 서로돕던 친구는 죽는날까지 잊어서는 안되며
변함없는 마음으로 늘 함께해야 하지요.
그래요
진리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어요
설레는 마음 애틋한 감정은 없어도 늘 믿고 의지하며 그 자리에 있는 조강지처(糟糠之妻)를 위해
늘 고마움을 전하며 부부의 도리를 다 하시기 바라며 어려울때 함께 고락을 같이 했던
소중한 친구는 자주만나 소주라도 한잔 나누며 우의를 돈독히 하시기 바래요.
노각인생 만사비(老覺人生 萬事非)
늙어서 생각하니 세상만사 아무것도 아니라 했어요
주어진 인연 소중히 생각하며
과욕을 버리고 삶에 충실하라 이르고 있네요 ...
<고사성어 중에서> 編輯 : 智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