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이란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흐르는 현상으로 통전된 전류의 크기에 따라 2차적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 특징은 무색 무취 인간의 다양성으로 나타나는 현상도 다양이다. 감전사망의 메커니즘은 호흡기능정지, 흉부수축, 질식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작업자 보단 일반작업자의 감전재해율이 더 높다.
감전 발생과 감전영향요소로는 누전되고 있는 외함 또는 충저눕에 인체가 접촉되어 대지와 회로가 형성되면 감전이 일어나며 이는 충전부에 직접이나 근접으로 감전 또는 기기조작에 따른 휴먼에러 자가용 발전기등이 있다.
감전발생으로 전기화상등의 피해가 일어나는대 역가압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통전전류,통전시간,통전경로,인체저항,주변환경을 그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통전전류가 작아도 그 시간이 오래되면 더 위험하고 경로가 심장이 위치한 왼손방향이 오른쪽보다 더 위험하며 젖은손이 더 위험하다. 따라서 비오거나 습할경우 그 피해가 더 증가한다. 전압이 낮은 경우 신경이나 혈관에 주로 저압에서 발생하는데 통전경로에 따라 피부조직이 열상을 입으므로 내부조직까지 피해를 입는다 이 때는 빠른 조치로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는데 그 조치순서는 전원차단 - 구출 - 증상관찰(119신고) - 응급조치 - 병원후송 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업 중 전기감전사고 방지
전기감전은 공사현장 뿐만 아니라 이삿짐 운반 농어촌 작업 현장및 일상생활에서도 노출되어있는 위험으로 다양한 전기감전사고 사례를 통해 대처방안을 알고 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해야한다. 그 방지대책은 아래와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충전선로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
감전위험개소 위험표지판을 설치
전기설비 취급 전 절연보호구를 착용
옥내 전기설비 및 기기의 절연유지
전기설비 및 기기에 대한 보호접지 필요
충전부 절연 및 방호조치
정전시 작업요령의 경우 정전 후에도 얼마간은 감전가능성이 있으므로 작업 전 중 후에 따른 각각의 프로토콜을 따라야 한다. 고압 저압 특별압에 따른 각각의 안전대책을 숙지하고 전기작업에 임해야하는데 이 때는 보호구 방호구 등의 장비를 갖추고 지속적으로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첫댓글 고맙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