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것까지 아실필요는 없을것 같지만 그래도 답변해보면 손상은 유형자산의 경제적가치가 장부가 보다 확실히 낮다면 이를 인식하자는 것인데 기업 입장에서 봤을때 자산의 순공정가액이 자산으로부터 창출되는 현 금흐름액의 현재가치보다 크다면 기업은 자산을 매각하려 할 것이며,반대의 경우는 매각하 지 않고 사용할 것입니다 따라서 매각하는 경우라면 순공정가액이 경제적 가치가 될 것이며, 매각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라면 사용을 통해 얻게 될 현재가치가 경제적가치가
될 것 입니다. 예를 들자면 기업에 영업용 자동차가 있는데 이게 원래 100만원에 샀는데 중고가격이 갑자기 떨어져서 중고가가 30만원 밖에 안하게 되었지만 이를 통해 영업사원의 버스비를 아낄 수 있는 금액이 50만원이라고 한다면 기업은 이 자동차를 팔기 보다는 영업용으로 쓸 것이고 이것의 경제가치는 50만원이니까 50만원으로 나타내자는 것 입니다
첫댓글 자산이 손상당했는데 팔때 가격(순공정가치)이 높으면 팔고, 사용할때 미래현금흐름 현가 높으면 계속 사용하겠죠?^^
이런것까지 아실필요는 없을것 같지만 그래도 답변해보면
손상은 유형자산의 경제적가치가 장부가 보다 확실히 낮다면 이를 인식하자는 것인데 기업 입장에서 봤을때 자산의 순공정가액이 자산으로부터 창출되는 현 금흐름액의 현재가치보다 크다면 기업은 자산을 매각하려 할 것이며,반대의 경우는 매각하 지 않고 사용할 것입니다 따라서 매각하는 경우라면 순공정가액이 경제적 가치가 될 것이며, 매각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라면 사용을 통해 얻게 될 현재가치가 경제적가치가
될 것 입니다. 예를 들자면 기업에 영업용 자동차가 있는데 이게 원래 100만원에 샀는데 중고가격이 갑자기 떨어져서 중고가가 30만원 밖에 안하게 되었지만
이를 통해 영업사원의 버스비를 아낄 수 있는 금액이 50만원이라고 한다면 기업은 이 자동차를 팔기 보다는 영업용으로 쓸 것이고 이것의 경제가치는 50만원이니까 50만원으로 나타내자는 것 입니다
이해했습니다. 좋은답변 감사합니다 :)
갖다팔앗을때 받을돈(부대비용뺀 순금액)이랑 내가 걍쓸때얻는 사용가치가운데서 큰걸 선택하겠지요 합리적인 사람이라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