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에 구멍이 있어도 습기는 별로 올라오지 않습니다. 습기가 조금은 올라 오는 것이 건강상 좋은 거지요 만약 장마에 고래바닥에 물이 나서 고인다고 생각해 보세요 어떻게 될까요 물은 아래로 빠지게 해야 하고 위로 습기는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줄기초 바닥을 버림콘크리트를 치면서 비닐을 깔고 그 위에 철근 덤성덤성 적당히 넣고 버림 콘크리트티고 굳은 후에 함마드릴로 몇군데 구멍을 뚫고 흙보다 모래나 자갈이 섞인 흙을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침하가 적습니다.
첫댓글 논에 물 대듯이 하는 수 밖에 딱히 다른 방법이 없네요
줄기초 아래 흙 채우기 전에 콘크리트나 비닐을 깔았다면 큰일 납니다.
그렇다면 콘크리트 바닥에 구멍을 여러 곳 뚫어야 하는데요
헉... 선생님 구들방 밑에 버림으로 이미 콘크리트 채웠는데요ㅜㅜ
땅속에 습기가 안올라오고 건조한 열기만 올라온다는 말씀이신지요?
무슨 큰 문제가 있는지요?
바닥에 구멍이 있어도 습기는 별로 올라오지 않습니다.
습기가 조금은 올라 오는 것이 건강상 좋은 거지요
만약 장마에 고래바닥에 물이 나서 고인다고 생각해 보세요 어떻게 될까요
물은 아래로 빠지게 해야 하고 위로 습기는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줄기초 바닥을 버림콘크리트를 치면서 비닐을 깔고 그 위에 철근 덤성덤성 적당히 넣고 버림 콘크리트티고 굳은 후에 함마드릴로 몇군데 구멍을 뚫고 흙보다 모래나 자갈이 섞인 흙을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침하가 적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장마에 물차이는 경우에 수를 놓쳤습니다ㅜㅜ
다른 해결방법을 강구해봐야 되겠습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