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까지 광둥성(广东省) 내 100개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 조성 계획 -
-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 통해 정치적 영향이 적은 중국 아동층 공략 필요 -
□ 테마파크의 정의 및 중국 테마파크 분류
ㅇ 테마파크는 특정 주제에 따라 현대식 과학기술과 다양한 이벤트를 활용해 오락활동, 레저활동 및 서비스 시설을 제공하는 현대식 관광지를 일컬음.
ㅇ 중국 테마파크 산업은 1989년 광둥(廣東)성 선전시에서 시작된 진시우중화(锦绣中华)가 큰 성공을 거둔 이후 중국 전역에서 테마파크 투자붐이 일어남.
ㅇ 2013년 3월 중국 국무원 11개 부문이 공동으로 '테마파크 발전에 관한 몇 가지 의견'을 발표하며 중국 테마파크 분류에 대한 명확한 분류 기준을 제시함.
중국 테마파크 분류기준
분류
| 투자금
| 면적 요구치
| 승인부서
|
특대형 테마파크
| 50억 위안 이상
| 1,333,333㎡ 이상
| 국무원 투자 주관 부문 결정 후 국무원 보고
|
대형 테마파크 | 15억~50억 위안 | 400,000㎡이상 1,333,333㎡ 미만 | 국무원 투자 주관 부문 |
중소 테마파크
| 2억~15억 위안
| 133,333㎡ 이상 400,000㎡ 미만
| 각 성, 투자 주관 부문 |
자료원: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改革委员会), 소후왕(搜狐网)
□ 중국 테마파크 시장 동향
ㅇ 인민왕(人民网)에서 발표한 테마파크 산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6월까지 중국 테마파크의 수는 2000여 개임. 그 중 5000만 위안 이상의 투자금이 들어간 테마파크는 300여 개에 달함.
ㅇ 2015년 아시아지역 방문객 기준 테마파크 상위 20위 내에 총 13개의 중국 테마파크가 포함됨. 이 중 중국 화남지역의 테마파크는 총 6개를 차지함(홍콩 2개 포함).
ㅇ 2025년까지 총 3억6000만 명의 중국인이 테마파크를 이용할 것으로 전망되며, 관람객의 연간성장률은 6.05%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ㅇ 2015~2020년, 테마파크 잠재 이용고객은 1억6600만 명, 총 투자액은 238억 달러로 예상됨.
□ 광둥성(广东省) 테마파크 산업 동향
ㅇ 2016년 광둥성 정부 업무보고 회의에서 3년 내 약 100개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를 조성할 계획이라 밝힘(특대형·대형·중소형 테마파크 및 실내형 테마파크 포함).
ㅇ 광둥성(广东省) 주요 테마파크로는 현재 주하이의 유니버설 스튜디오&드림웍스 테마파크(특대형)가 추진 중에 있으며, 이외에 3개의 대형 테마파크가 존재함.
- 광둥성 장륭테마파크(长隆), 선전 화교청테마파크(华侨城), 완다 테마파크(万达)를 포함해 광둥성은 광저우(广州), 선전(深圳),주하이 헝친(珠海横琴), 칭위안(清远) 등 지역에 각각 대규모의 테마파크가 소재함.
ㅇ 중소형 테마파크 및 실내 소규모 테마파크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임. 접근성이 낮고 입장료가 비싼 큰 규모의 교외지역 테마파크와 차별화되면서 중국의 산아제한 정책 완화에 따라 급증할 수요를 흡수할 것으로 예상됨.
□ 광둥성 내 주요 테마파크 현황
순번
| 이름
| 규모(㎡) 대·중·소형
| 위치
| 투입 예산(위안)
| 주요 캐릭터
| 입장객 수 (연간, 천 명)
|
1
| 주하이 유니버설
스튜디오& 드림웍스
(珠海環球影城&夢工廠主題樂園)
| 10,000,000 | 주하이 | 2,000억 | 트랜스포머,
스파이더맨 등 | 추진 중
|
2 | 광저우장륭 관광휴양지
(廣州市長隆旅遊度假區) | 6,666,666
| 광저우
| 20억
| Kakahu
(Kaka tiger) | 3,620
|
3
| 주하이장륭 국제해양휴양지
(珠海長隆國際海洋度假區)
| 1,320,000
| 주하이
| 200억
| Kakahu
(Kakatiger),
Qiqi
| 7,490
|
4
| 산터우Fantawild
(汕頭方特歡樂世界) | 240,000
| 산터우
| 10억
| Boonie
| 2,000
|
5
| YOYO PARK
| 15,000
| 광저우
| N/A
| SpongeBob
| 350
|
6
| MELAND Kids Park
| 3,000
| 광저우
| N/A
| Barbie, Thomas, etc.
| N/A
|
7 | Party Map
| 2,700
| 광저우
| 1000만
| GG Bond
| 300
|
8
| 뽀로로 테마파크 광저우점
| 2,500
| 광저우 | 2,500만
| 뽀로로
| 250 |
자료원: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정리
□ 국산 캐릭터 중국 테마파크 로열티 시장 진출 성공사례
ㅇ 뽀로로파크 중국 내 오픈 현황
- 2014년 베이징점을 시작으로 충칭(重慶)점, 다롄(大連)점, 간쑤(甘肅)점, 선양(沈陽) 칭다오(青島)점, 웨이하이(威海)점, 광저우(广州)점, 항저우(杭州)점을 오픈해 2017년 3월 기준, 중국 내 총 9개의 뽀로로파크 운영 중. 전체 매출의 10%를 로열티 수익으로 받고 있음.
- 광저우점 뽀로로 테마파크는 하이주청(海珠城) 쇼핑몰, 광저우푸리집단(富力集团)과의 합작으로 2016년 5월 28일에 오픈함.
ㅇ 테테루(TETERU)- 치치하얼(齊齊哈爾)백화점
- 중국 치치하얼 백화국제쇼핑센터 내 테테루 실내 키즈 테마파크를 설립함. 테테루 콘텐츠를 기반으로 스토리와 디지털 기술을 연계해 다양한 공간에 하나의 테마로 구성된 '교육과 체험' 중심의 어린이 창작 및 놀이 체험공간 조성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테마파크는 최근 전문화·소형화 추세가 뚜렷하며 국제 브랜드의 중국 진출이 심화되고 있음.
- 특대형·대형 테마파크는 프로젝트 추진에 장시간의 시간이 드는 만큼 늘어나는 영유아의 수요를 빠르게 흡수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중소형·실내형 테마파크가 급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대형 테마파크의 캐릭터 시장에는 월트디즈니, 유니버설스튜디오, 레고랜드, 해피밸리 등 외국 테마파크 브랜드와 중국 현지 유력 캐릭터의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
ㅇ 중국 테마파크는 시설과 규모에 비해 테마파크 조성에 필수적인 콘텐츠 파생사업 및 관련 서비스가 미비함.
- 테마파크 이용자에게 친숙한 영화 및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 소재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시장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캐릭터 라이선싱 시장 성장에 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 중국 정부의 심사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주요 소비자인 영유아들의 탈정치적 선호도를 감안할 때, 애니메이션 캐릭터 라이선싱 시장은 정치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이 지속적으로 진출을 모색할 수 있는 분야임.
- 최근 사드 이슈로 인해 국내 문화콘텐츠의 대중 진출이 제한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중국 정부 심의가 필요한 영화 및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및 투자분야에 국한돼 있음.
- 중국 내 문화콘텐츠 종사기업 중 최다 캐릭터 IP를 보유 중인 광저우 소재 알파애니메이션사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 캐릭터 라이선싱분야는 추후에도 지속가능한 사업협력 모델임을 밝힘.
자료원: Euromonitor, The Global Attractions Attendance Report, TEA/AECOM, 中商情报网, 广州日报大洋网, 金羊网, 统计局, 商务部, 中国投资指南网, 中国网 및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