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詩 영화로 읊다, 딸과 헤어지며
|또 떠나는 시집간 딸, 예고된 영원한 이별…
영화 ‘더 웨일’에서 찰리는 오랜만에 만난 딸 엘리에게 지난 잘못을 사과하며
딸의 행복을 기원한다. 스튜디오 디에이치엘 제공
영화 ‘팔도강산’(1967년)에서 노부부는 1남 6녀의 자식들을 만나려 전국을 일주한다. 강원 속초에 사는 여섯째 딸은 어려운 살림살이에도 효심이 깊어 더 애틋하다. 전통사회에서 시집간 딸을 ‘출가외인’으로 치부했다지만, 자식에 대한 사랑만큼은 달라지지 않았다. 딸을 두고 읊은 한시가 옛 아빠들의 마음을 보여준다(박동욱, ‘너보다 예쁜 꽃은 없단다’). 조선 후기 윤진(尹搢, 1631∼1698)은 친정에 왔다 돌아가는 막내딸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다음 시에 담았다.
✺ 심씨 집에 시집간 딸과 헤어지며(別沈女)
자식 아끼는 사사로운 정 늙을수록 깊어져,
노년에 멀리 떠나보내려니 어찌 슬픔 감당하랴.
쓸쓸히 앉아 숲속 새 부러워하노니,
아침저녁 새끼 데리고 잠시도 떨어지지 않아서라네.
舐犢私情老益知(지독사정노익지),
頹齡遠別詎堪悲(퇴령원별거감비).
悄然坐羨林間鳥(초연좌선임간조),
曉夕將雛不暫離(효석장추불잠리).
시(詩)는 지극한 자식 사랑을 가리키는 ‘지독(舐犢)’이란 말로 시작된다. '늙은 소가 송아지를 애지중지하며 핥는다'는 의미로, 삼국시대 양표의 일화에서 온 표현이다. 아들 양수를 잃고 수척해진 양표가 조조에게 늙은 소에 자신을 빗대어 자식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표현한 바 있다(후한서 ‘양표열전’). 세 번째 구절의 새도 비슷한 의미다. 시인은 새끼와 꼭 붙어 있는 어미 새를 선망한다. 딸과 헤어지는 자신의 처지와 대비되기 때문이었다. 시인은 64세에 이 시를 썼다. 자신의 여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느껴서인지 막내딸과의 이별을 유달리 슬퍼했다.
대런 애러노프스키(Darren Aronofsky) 감독의 ‘더 웨일(The Whale)’(2023년)에도 딸과 함께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아버지가 나온다. 찰리는 울혈성 심부전으로 죽음이 목전에 이르자, 이혼 뒤 양육권을 빼앗겨 오랫동안 보지 못했던 딸 엘리를 집으로 부른다. 아빠가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한 엘리는 고약하게 굴지만, 찰리는 낙제한 딸의 글쓰기를 도우며 딸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상처를 지닌 찰리는 폭식으로 스스로를 학대하며 은둔하지만 딸에 대한 믿음만큼은 끝내 내려놓지 않는다. 새들을 위한 모이를 창가에 내놓곤 딸이 쓴 소설 ‘모비딕’에 대한 에세이를 반복해 읽으며 위안을 얻는다.
◆ 넷플릭스신작 대런 애러노프스키(Darren Aronofsky) 감독 영화 더 웨일(The Whale), 2022. 예고편보기
https://youtu.be/cNEVb4-0rwQ
사무엘 D. 헌터의 동명의 연극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작이다.
<더 웨일>은 272kg의 거구로 세상을 거부한 채 살아가는 대학 강사가 9년 만에 만난 10대 딸과 쓰는 마지막 에세이를 담은 작품으로, 브렌든 프레이저와 함께 넷플릭스 인기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 의 ‘맥스’ 역으로 국내에서도 인기가 높은 세이디 싱크가 부녀 호흡을 맞췄다. 또한, <더 메뉴>, <다운사이징> 등으로 탄탄한 연기 경력을 쌓고 있는 홍 차우가 출연,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부문에 이름을 올리며 브렌든 프레이저와 함께 최고의 연기를 선사한다.
브렌든 프레이저(Brendan Fraser): 찰리 역, 온라인으로 에세이 작문 강의를 하는 대학 교수/
세이디 싱크(Sadie Sink): 엘리 역, 찰리의 딸/
홍 차우(Hong Chau): 리즈 역, 찰리를 돌봐주고 있는 전담 간호사
영화에도 시의 늙은 소처럼 딸 가진 아빠의 마음을 나타내는 상징이 나온다. 고래는 딸과의 화해를 통해 구원받고 싶은 찰리 자신을 상징한다. 시에 나온 새는 딸과 함께할 수 없는 아쉬움의 투영이라면 영화의 새는 자기 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이 딸을 낳은 것이라는 찰리의 희망 찾기와 연결된다.
찰리만큼 절박한 상황은 아니었지만 시인 역시 딸과 이별하며 깊은 슬픔을 드러냈다. 시인의 간절한 딸 생각이 옛 아빠들의 딸 사랑을 떠올리게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 동아일보 2023년 10월 12일(목)|문화 [한시를 영화로 읊다] 〈68〉(딸과 헤어지며)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Daum · Naver 지식백과]
첫댓글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선사해주는 이 황금빛 가을을 설렘으로 즐기시는 행복한 가을날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