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환의 <택리지>에서 철원을 두고 다음과 같이 얘기하고 있다.
"철원부는 태봉 왕이었던 궁예가 도읍하였던 곳으로 강원도에 속하지만 야읍(野邑)이고 서쪽은 경기도의 장단과 맞닿았으며 땅은 메마르나 큰 들과 작은 산이 모두 평활하고 맑고 아름다워 두 강 안쪽에 있으면서도 두메 가운데에 도회지(都會地)를 이룬다. 그러나 들 가운데에는 물이 깊고 검은 돌이 마치 벌레를 먹은 것과 같으니 이는 대단히 이상스러운 일이다."
|
|
▲ 직탕폭포, 한탄(恨歎)을 익살로 넘기려는 이 고장사람들의 애정이 담긴 폭포다 |
|
ⓒ2005 김정봉 |
| 철원의 용암대지를 두고 한 말인 것 같은 데 용암대지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 용암이 구조선을 따라 분출하여 넓은 지역에 걸쳐 형성된 평탄한 지형을 말한다. 이 용암은 낮은 지역을 덮고 하천이 흐르는 골짜기를 메우면서 남서쪽으로 흘러 문산에 까지 이르렀다. 그 후 임진강과 한탄강에 의한 침식작용이 일어나 곳곳에 기암절벽(奇巖絶壁)과 절경(絶景)을 남겨 놓았다. 이로 인해 지금의 한탕강 줄기는 원래의 줄기와 크게 달라진다. 지금의 철원평야와 한탄강 주변의 절경은 이로 인해 만들어졌다.
|
|
▲ 한탄강은 좁고 긴 골짜기를 따라 흘러 전곡에 이르러 임진강과 합류하는 강이다(철원관광호텔 매점에서 촬영) |
|
ⓒ2005 김정봉 |
| '검은 돌이 마치 벌레 먹은 것과 같다'라고 얘기한 것은 한탄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검은 색의 현무암을 두고 한 말이다. 예전에 궁예가 이 강가에 와서 구멍이 뚫려 있는 이 돌을 보고 "내 운명이 다했구나"하고 한탄(恨歎)했다는 일화는 유명한데 이때부터 이 강을 한탄강이라 불렀다 한다.
|
|
▲ 이중환이 이상히 여긴 '벌레 먹은 검은 돌', 철원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다(도피안사의 장식돌). |
|
ⓒ2005 김정봉 |
| 한탄강의 유래를 다른 데에서 찾기도 한다. 북에서 피난 내려온 피난민들이 이 강에서 막혀 한탄했다 하여 한탄강이라 불렸다는 내력도 있다. 두 가지 모두 한탄이라는 이름 때문에 생겨난 슬픈 유래라 할 수 있다.
한탄강의 진짜 유래는 그렇게 슬프지 않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철원의 산천을 기술할 때 '체천(切川)'과 '대탄(大灘)'이 나오는데 지금의 한탄강의 유래가 되는 말이다. "체천은 철원부 동쪽 20리 지점에 있고 근원은 회양부(淮陽府) 철령(鐵嶺)에서 나온다. 또 남쪽으로 흘러가서 경기(京畿)의 양주(楊州) 북쪽에 들어가 대탄(大灘)이 된다"하였다. 대탄은 큰 여울을 말하고 큰 여울을 한자로 표기하여 한탄이 된다.
한 여울과 관련된 지명이 곳곳에 남아 있다. 전곡읍내 동북쪽 한탄강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을 높은 여울(高灘洞)이라 했고 한탄강국민관광지에서 청산면 초성리로 건너는 다리를 한여울다리(대탄교, 한탄교)라 했다. 또 전곡읍내에 한여울 마을이 있어 이 고장 노인들은 한탄강을 아직도 한여울이라 부르고 있다 한다.
이렇게 볼 때 한탄강은 대탄에서 나온 것이고 대탄은 우리나라말로 한여울이니 이를 다시 한자표기로 한탄(漢灘)이라 한 것으로 보인다. '한(漢)'자를 다시 해석하여 크고 맑고 아름답다는 수식어가 붙게 된 것이다. 한탄은 한탄스런 강이 아니라 크고 맑고 아름다운 강이다.
|
|
▲ 협곡을 흐르는 한탄강물은 침식활동을 계속해 곳곳에 기암들을 만들어 놓았다(직탕폭포에서 촬영) |
|
ⓒ2005 김정봉 |
| 용암이 분출한 뒤 한탄강물은 침식활동을 계속해 약한 부분은 깎아내리고 강한 부분은 피해가며 S자 모양으로 흐르면서 절경을 만들었다. 위로는 직탕폭포를 만들었고 밑으로 내려와 고석정이라는 철원 제일의 절경을 빚어냈으며 전곡에 이르러 재인폭포를 만들고 끝을 맺는다. 이같은 비경에 멋진 인공조형물이 없을 리 없다. 승일교가 한탄강을 가로질러 멋지게 서있다.
승일교는 몇 년 전만 해도 차가 오갈 수 있었으나 그 옆에 신식 다리가 놓이면서 사람들만 다닐 수 있는 보호대상 다리가 되었다. 예전에는 사진도 마음대로 찍지 못 하게 한 모양이다. 70년대 장발단속과 같이 유치한 일이지만 지금은 옛일로 웃어넘길 일이다.
|
|
▲ 승일교, 한탄강의 절경과 잘 어울려 서있다 |
|
ⓒ2005 김정봉 |
| 승일교의 이름과 관련하여서는 김일성이 시작하여 이승만이 끝냈다고 하여 '승'자와 '일'자를 한자씩 따서 이름을 지었다는 말이 있고 '김일성을 이기자'고 해서 승일이라고 했다고 하지만 이 모두 억지로 지어낸 듯하며 한국전쟁 중 빛나는 전과를 세운 박승일 연대장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옷거리가 좋은 사람은 아무거나 걸쳐도 멋져 보인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한탄강에 아무렇게나 놓아도 멋지게 보일 것이지만 한탄강의 비경에 걸맞게 우리나라의 옛 다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지개(홍예)모양으로 놓았으니 기품이 있다. 자연 속에 인공 조형물을 세우는 데에 우리 선조들의 점지능력을 다시 한 번 보는 듯하다. '한국의 콰이강의 다리'라는 애칭을 갖고 있어 이 지방 사람들의 애틋함과 익살이 담겨 있다.
'과이강의 다리'를 건너면 고석정. 고석정은 한탄강 제일 절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신라 때는 진평왕이, 고려 때는 충숙왕이 노닐던 곳이라 하는데 신라 진평왕 때 지어진 정자와 강 한가운데 솟아 있는 고석바위와 그 주변을 통틀어 고석정이라 일컫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고석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지금의 모습과 큰 차이가 없다. 고석바위 정상에 올라 경치를 보고 여러 가지 소리를 듣고 상술을 했으니 그 위에 오르지 못하고 밑에서 코끼리 코 만지듯이 보고 온 내가 다르게 쓴다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게다가 "비록 문장이 공교롭고 그림을 잘 그리는 자라도 비슷하게 표현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라고 못 박고 있으니 이를 안 내가 감히 다른 표현을 해 가며 덧붙일 수 있겠는가?
|
|
▲ 고석바위, 임꺽정이 은거지로 삼았던 곳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
ⓒ2005 김정봉 |
|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고석바위에 대해서는 "철원군의 남쪽 만여 보(步)에 고석정(孤石亭)이 있는데, 큰 바위가 우뚝 솟았으니 거의 3백척(尺)이나 되고 둘레가 십여 장(丈)이나 된다. 바위를 기어 올라가면 큰 구멍이 있는데 기어 들어가면 방(房)과 같다. 층대(層臺)에는 사람 여남은 명이 앉을 만하다. 그 곁에 신라 진평왕이 남긴 비석이 있다. 다시 구멍에서 나와 절정에 오르면, 펀펀하여 둥근 단(壇)과 같다. 거친 이끼가 입혀서 돗자리를 편 것 같고, 푸른 솔들이 둘러서 일산(日傘)을 바쳐 놓은 것 같다"고 했다.
|
|
▲ 기암절벽 사이를 푸른 강물이 흐르고 있다. 우리나라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절경이다(2004.3.2촬영) |
|
ⓒ2005 김정봉 |
| 그리고 고석바위 주변에 대해서는 "또 큰 내가 있는데 손방(巽方-동남쪽)으로부터 온다. 벼랑에 부딪치고 돌을 굴리는 소리가 여러 가지 악기(樂器)를 한꺼번에 연주하는 것 같다. 바위 아래에 이르러서는 패여 못이 되었으니 내려다보면 다리가 떨어져서 두려울 만하여 마치 그 속에 신물(神物)이 살고 있는 것 같다. 그 물이 서쪽으로 30리 남짓 가서 남쪽으로 흐른다"라 했다.
|
|
▲ 고석정자에서 내려본 풍경(2004.3.2촬영) |
|
ⓒ2005 김정봉 |
| 이 고장 사람들은 이 고석정을 임꺽정이 활동하는 곳이라 여기고 있는데 바위에 난 구멍에 은거했고 임꺽정이 죽어 꺽지로 변신했다는 이야기는 위의 글을 근거로 삼지 않았나 싶다. 이 속에 신물(神物)이 후대에 와서 꺽지로 생각하지는 않은지? 역사적 기록에는 임꺽정이 여기서 지냈다는 얘기는 없지만 임꺽정이 경기도 양주 출신이고 활동지역도 황해도 구월산과 서흥·신계 개성인 점을 감안하면 역사 기록만 없을 뿐이지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고석정 주변에는 임꺽정 동상이 있고 임꺽정 이름을 빌려 쓴 가게들이 많아 고석정과 임꺽정을 분리해서 생각하기엔 믿음이 굳어져 어렵게 되었다. 믿음이 굳어 그것이 삶에 배어 있으면 역사적 사실이 뭐 그리 대단하겠는가. 임꺽정과 고석정은 떼 놓을 수 없는 관계에 이르렀다.
고석정을 벗어나 좀 더 오르면 직탕폭포. 폭이 고석정이 있는 강폭보다 넓고 비교적 휘어지지 않고 평탄한 흐름을 보이는 곳이다. 평탄하던 물길이 갑자기 강폭전체가 꺼져 형성된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폭포다.
|
|
▲ 직탕폭포, 강 전체가 폭포로 변해 독특하다 |
|
ⓒ2005 김정봉 |
| 주변에는 궁예가 보고 한탄했다는 구멍이 송송 난 현무암이 많다. 화분 속에 제주도 현무암이 멋을 더해 주듯 직탕폭포 주변에 아무렇게나 뒹굴고 강 옆에 솟아 있는 '벌레 먹은 검은 돌'이 직탕의 멋을 더해준다.
직탕폭포를 보고 "애개, 저것도 폭포야! 누가 그랬어? 저게 한국의 나이아가라라고?"라고 할지 모른다. 거길 처음 가보면 그렇게 말하기 쉽다. 몇 번 가보면 그런 마음이 사라진다. 규모도 작고 보잘것없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 지방 사람들의 직탕에 대한 애정을 생각하면 실망에 앞서 정이 가는 것이다.
|
|
▲ 직탕폭포 주변의 현무암 |
|
ⓒ2005 김정봉 |
| '한국의 나이아가라', '한국의 콰이강의 다리', 그리고 임꺽정, 모두 이 고장사람들은 인연이 되는 것이라면 조그마한 끈이라도 잡으려는 애틋함과 익살이 숨어 있다. 이 고장 사람들은 비운의 역사를 한탄으로 여기지 않고 애틋함과 익살로 넘기려 하고 있다. |
첫댓글 사진이 정말 예뻐요..
이수미 활동 잘하네 ^^ 눈이 깔려 있는게 꽤 멋있다;
물이 얼어서 안 흐른다
물이 안흘러??
우아 나도 가고싶다...
산은너무 풍경이좋고 물은 너무 깨끗하다...
얼음이 언 모습이 정말 아름다워요~~
기암절벽 사이를 푸른 강물에 옆에 무지개같은게 있네.;.
폭포였군 난 눈이 쌓인건줄알았는데
정말로 풍경이예뻐요 폭포를 보면서 이런저런 생각도 해볼수있어서좋아요
눈때문에 더 멋있게 보여요..
나두 가고 싶다...
저런대언제가보려나?
와 폭포가 정말아름다워요,,
강물과 눈과 다리가 참 멋있어요..ㅎ
이쁘다 나도저기가보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