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모의고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공개한 기출문제를 분석한 후 효율적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것으로 문제 순서와 일부 지문은 적절히 수정하였으나 출제의도로 볼 수 있는 키워드 및 사전적 정의는 유지하였고, 답항 순서와 일부 지문을 적절히 수정하였으나 답안에 해당하는 지문・용어・이미지는 유지하였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문제 파일 첫페이지에 게재하였습니다.)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CBT]
문제 파일은 각 회차별 CBT 내에 첨부하였습니다.
|
|
|
|
기출문제 랜덤모의고사
|
1. 다음 중 조화(Harmony)를 설명하고 있는 것은?
가. 서로 다른 것끼리 모여 서로를 강조시켜 주는 것
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의 비중을 똑같이 만드는 것
다. 크기가 색감, 질감이 동일한 상태에서 반복되면서 강조되는 효과.
라. 모양이나 색깔 등이 비슷비슷하면서도 실은 똑 같지 않은 것끼리 모여 균형을 유지하는 것.
2. 다음은 미기후(micro-climate)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지형은 미기후의 주요 결정 요소가 된다.
나. 미기후는 세부적인 토지이용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 그 지역 주민에 의해 지난 수년 동안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라. 일반적으로 지역적인 기후 자료보다 미기후 자료를 얻기가 쉽다.
3. 다음 중 골프장 용지로서 부적당한 곳은?
가. 모래참흙인 곳
나. 부지가 동서로 길게 잡은 곳
다. 기복이 있어 지형에 변화가 있는 곳
라. 클럽하우스의 대지가 부지의 북쪽에 자리 잡은 곳
4. 조경 설계 시 가장 먼저 시작해야 하는 작업은?
가. 현장 측량
나. 배식 설계
다. 구조물 설계
라. 토공 설계
5. 옥상 조경을 시공할 때 가장 유의할 점은?
가. 구성 재료간의 조화 문제
나. 관수 및 배수의 문제
다. 식물재료의 식재 문제
라. 건물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하중(荷重) 문제
6. 옥상 정원에 관목류를 심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최소한의 토양 깊이는?
가. 10~20㎝
나. 25~40㎝
다. 45~60㎝
라. 90~150㎝
7. 정원의 외형이 형성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가. 비례, 균형, 조화
나. 반복, 점층, 대비
다. 설계가의 마음대로
라. 재료, 국민성, 시대사조
8. 수목의 규격을 표시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가. 수고 - H
나. 수관폭 - C
다. 흉고지름 - B
라. 근원지름 - R
9. 계단폭포, 물무대, 분수, 정원극장, 동굴 등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정원은?
가. 영국 정원
나. 프랑스 정원
다. 스페인 정원
라. 이탈리아 정원
10. 관상에 중점을 두는 조경물은?
가. 환경조각
나. 광장
다. 가로수
라. 건축물
11. 조선시대 궁궐의 침전 후정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가. 경사지를 이용해서 만든 계단식의 노단
나. 조그마한 방지
다. 화단
라. 정자수
12. 중국 정원은 풍경식이면서 어디에 중점을 두고 만들었는가?
가. 대비
나. 조화
다. 관련
라. 연관
13. 영국에서 가장 발달한 정원 양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가. 노단 건축식
나. 자연풍경식
다. 평면기하학식
라. 임천회유식
14. 일본정원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수미산과 홍교는 누가 만들었는가?
가. 백제유민 노자공
나. 소굴원주
다. 몽창국사
라. 풍신수길
15. 우리나라에서 대중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공원은?
가. 파고다공원
나. 남산공원
다. 사직공원
라. 장충공원
16. 인공폭포, 인공바위 등의 조경 시설에 쓰이는 일반적인 재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가.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나. PVC(폴리염화비닐수지)
다. 비닐
라. 합성수지
17. 목재에 대한 성질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가. 촉감이 좋다.
나. 친근감을 준다.
다. 내화성이 약하다.
라. 열전도율이 빠르다.
18. 금속재료의 특성 중 장점이 아닌 것은?
가. 인장강도가 크고 종류가 다양하다.
나. 재료의 균일성이 높고 공급이 용이하다.
다. 강도에 비해 가볍고 불연재이다.
라. 내산성과 내알카리성이 크다.
19. 다음 시멘트 중 성격이 다른 것은?
가.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나. 플라이 애쉬 시멘트
다. 포졸란 시멘트
라. 슬래그 시멘트
20.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가 상온에서 응결이 끝나는 시간을 한국 산업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것은?
가. 1시간 이후에 시작하여 10시간 이내에 끝난다.
나. 1∼2시간 이후에 시작하여 3∼4시간 이내에 끝난다.
다. 3시간 이후에 시작하여 일주일이내에 끝난다.
라. 일주일 이후에 시작하여 3주일 이내에 끝난다.
21. 기름을 뺀 대나무로 등나무를 올리기 위한 시렁을 만들면 윤기가 나고 색이 변하지 않는다. 대나무 기름 빼는 방법의 설명이 옳은 것은?
가. 알코올 등으로 닦아 준다.
나. 물에 오래 담가 놓았다가 닦아 준다.
다. 석유, 휘발유 등에 담근 후 닦아 준다.
라. 불에 쬐어 수세미로 닦아 준다.
22. 기온과 수목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가. 꽃이 만발하였을 때 기온이 떨어지면 화기가 짧아진다.
나. 일반적으로 기온이 5℃가 되면 나무는 생장하기 시작한다.
다. 싹이 트고 꽃이 피며 열매가 맺고 낙엽이 지는 현상은 기온의 변화에 의하여 생긴다.
라. 상록 활엽수는 중부 지방에서는 겨울에 얼어 죽는 경우가 많다.
23. 석질이 치밀하고 경질이어서 내구성과 내화성이 좋으므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석재는?
가. 화강암
나. 안산암
다. 현무암
라. 응회암
24.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석가산용의 정원석의 크기는?
가. 20~30㎝
나. 30~50㎝
다. 50~100㎝
라. 150~200㎝
25. 조경용 수목의 선정조건이 아닌 것은?
가. 가격이 비싼 수목
나. 환경에 잘 적응하는 수목
다. 관상적 가치가 높은 수목
라. 이식이 잘되는 수목
26. 꽃을 관상하는 나무로만 짝지어진 것은?
가. 박태기나무, 주목, 느티나무
나. 배롱나무, 동백나무, 백목련
다. 소나무, 대나무, 산수유
라. 매화나무, 개나리, 단풍나무
27. 다음 중 대기오염에 강한 수목은?
가. 은행나무
나. 독일가문비
다. 소나무
라. 자작나무
28. 건조한 땅에 잘 견디는 나무는?
가. 향나무
나. 낙우송
다. 계수나무
라. 위성류
29. 알뿌리가 아닌 초화는?
가. 튜울립
나. 수선화
다. 금잔화
라. 칸나
30. 정원에 흰색의 줄기를 가진 나무를 심으려 한다. 어느 나무를 심어야 하는가?
가. 벽오동
나. 죽도화
다. 잣나무
라. 자작나무
31. 아황산가스에 잘 견디는 낙엽교목은?
가. 플라타너스
나. 독일가문비나무
다. 소나무
라. 히말라야시다
32. 다음 중 상록 침엽 관목에 속하는 나무는?
가. 영산홍
나. 섬잣나무
다. 회양목
라. 눈향나무
33. 다음 수종 중 노란색 계통의 단풍이 드는 나무가 아닌 것은?
가. 붉나무
나. 은행나무
다. 층층나무
라. 튤립나무
34. 다음 중 무생물 재료의 특성은?
가. 가공성
나. 자연성
다. 연속성
라. 비규격성
35. 목도채의 재료로 가장 좋은 것은?
가. 버드나무
나. 전나무
다. 참나무
라. 현사시
36. 시공관리의 주요 목표라고 볼 수 없는 것은?
가. 우량한 품질
나. 공사기간의 단축
다. 우수한 시각미
라. 경제적 시공
37. 다음 중 수량 산출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설계수량
나. 계획수량
다. 소요수량
라. 총수량
38. 콘크리트의 용적 배합 시 1:2:4에서 2는 어느 재료를 표시하는 것일까?
가. 모래
나. 시멘트
다. 자갈
라. 물
39. 콘크리트 공사시의 슬럼프 시험은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가?
가. 성형성(plasticity)
나. 블리딩(bleeding)
다. 반죽질기(Consistency)
라.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40. 경기장과 같이 전지역의 배수가 균일하게 요구되는 곳에 주로 이용되는 암거 형태는?
가. 어골형
나. 즐치형
다. 자연형
라. 차단법
41. 퍼어걸러(pergola) 설치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건물에 붙여 만들어진 테라스 위
나. 주택 정원의 가운데
다. 통경선의 끝 부분
라. 정원의 구석진 곳
42. 다음 중 잎이나 가지에 붙어 즙약을 빨아먹어 잎이 황색으로 변하게 되고 2차적으로 그을음병을 유발시키며, 감나무, 동백나무, 호랑가시나무, 사철나무, 치자나무 등에 공통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충해는?
가. 깍지벌레
나. 측백나무 하늘소
다. 흰불나방
라. 진딧물
43. 빗자루병에 잘 걸리는 나무가 아닌 것은?
가. 벚나무
나. 오동나무
다. 대추나무
라. 소나무
44. 잔디의 종류 중에서 가장 품질이 좋아 골프장의 그린에 많이 사용하고, 단점으로는 병해충에 가장 약하며, 특히 여름철에 농약을 많이 뿌려 주어야 잘 견디는 것은?
가. 들잔디
나. 금잔디
다. 빌로드잔디
라. 벤트그래스
45. 들잔디의 뗏밥을 주는 시기가 가장 적당한 때는?
가. 3~4 월
나. 6~7 월
다. 8~9 월
라. 10~11 월
46. 우리나라 들잔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은?
가. 붉은녹병
나. 후자리움 팻취
다. 브라운 팻취
라. 스노우 몰드
47. 다음 중 잔디밭의 넓이가 50평 이상으로 잔디의 품질이 아주 좋지 않아도 되는 골프장의 라프(rough)지역, 공원의 수목지역 등에 많이 사용하는 잔디 깎는 기계는?
가. 핸드모우어(hand mower)
나. 그린모우어(green mower)
다. 로타리모우어(rotary mower)
라. 갱모우어(gang mower)
48. 전정(剪定)을 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은?
가. 수세의 조절
나. 일광, 통풍의 양호
다. 개화 결실의 조정
라. 지상부의 약화
49. 다음 중 나무의 가지다듬기에서 다듬어야 하는 가지가 아닌 것은?
가. 밑에서 움돋는 가지
나. 교차한 가지
다. 아래를 향해 자란 가지
라. 위를 향해 자라는 가지
50. 소나무류의 순자르기는 어떤 목적을 위한 가지다듬기인가?
가. 생장 조장을 돕는 가지다듬기
나. 생장을 억제하는 가지다듬기
다. 세력을 갱신하는 가지다듬기
라. 생리 조정을 위한 가지다듬기
51. 정원 가구 (garden furnitur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트렐리스(trellis)
나. 벤치
다. 탁자
라. 장식화분
52. 큰 나무이거나 장거리에 운반할 나무를 운반 시 고려할 사항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가. 운반할 나무는 줄기에 새끼나 거적으로 감싸주어 운반 도중 물리적인 상처로부터 보호한다.
나. 밖으로 넓게 퍼진 가지는 가지런히 여미어 새끼줄로 묶어 줌으로써 운반 도중의 손상을 막는다.
다. 장거리 운반이나 큰 나무인 경우에는 뿌리분을 거적으로 다시 감싸 주고 새끼줄 또는 고무줄로 묶어준다.
라. 나무를 싣는 방향은 반드시 뿌리분이 차의 뒤쪽으로 오게 하여 싣고, 내릴 때 편리하게 한다.
53. 수목의 생리상 이식시기로 가장 적당한 시기는?
가. 새잎이 나온 후
나. 뿌리 활동이 시작되기 직전
다. 뿌리 활동이 시작된 후
라. 한창 생장이 왕성한 때
54. 대형 수목을 굴취 또는 운반할 때 사용되는 장비가 아닌 것은?
가. 체인블록(CHAIN BLOCK)
나. 크레인(CRANE)
다. 백 호우(BACK HOE)
라. 드랙 라인(DRAG LINE)
55. 도로 식재 중 사고방지 기능 식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명암 순응 식재
나. 차광식재
다. 녹음식재
라. 침입방지식재
56. 흙쌓기 작업 시 가라앉을 것을 예측하여 더돋기를 하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계획된 높이보다 어느 정도 더 높이 쌓아 올리는가?
가. 1 ∼ 5%
나. 10 ∼ 15%
다. 20 ∼ 25%
라. 30 ∼ 35%
57. 벽돌쌓기에서 방수를 겸한 치장줄눈용으로 쓰이는 시멘트와 모래의 배합 비율은?
가. 1 : 1
나. 1 : 2
다. 1 : 3
라. 1 : 4
58. 디딤돌 놓기의 방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가. 한발로 디디는 것의 지름은 25~30㎝ 정도가 좋다.
나. 납작하면서도 가운데가 약간 두둑하여 빗물이 고이지 않는 것이 좋다.
다. 군데군데 잠시 멈추어 설 수 있도록 지름 50~60㎝되는 것을 놓는다.
라. 디딤돌은 가급적 사각형에 가까운 것이 자연미가 있어 좋다.
59. 다음과 같은 비탈경사가 1 : 0.3의 절토(切土)면에 맞추어서 거푸집을 만들고자 할 때에 말뚝의 높이를 1.5m로 한다면 지표 AB간의 거리는 어느 정도로 하면 좋은가?

가. 0.37m
나. 0.45m
다. 0.5m
라. 0.6m
60. 시방서에 관한 내용 중 알맞은 것이 아닌 것은?
가. 특기 시방서와 표준시방서에서 상이한 조항이 있을 때에는 표준시방서가 우선으로 하는 것으로
나. 시방서는 간단명료하게 뜻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다. 특기 시방서는 특별한 사항 및 전문적인 사항을 기재한 것이다.
라. 시공에 관하여 표준이 되는 일반적인 공통사항을 작성하는 것을 표준시방서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