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관련 경제 소식들(25/1/18)
주간 금 시세
금 선물 일일 차트
금 선물 주간 차트
은 선물 주간 차트
달러 인덱스 주간 차트
텍사스 원유가격 주간 차트
다우존스 주식 주간 차트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주간 차트
달러의 몰락과 금
1) 중국은 전례 없는 경기 부양책으로 도박을 할까- Gerald Celente
2) 세계 유동성 위기- Gregory Mannarino
1) 중국은 전례 없는 경기 부양책으로 도박을 할까- Gerald Celente
(Will China Gamble With An Unprecedented Stimulus Package)
2025년 1월 15일, KWN
https://kingworldnews.com/will-china-gamble-with-an-unprecedented-stimulus-package/
투자자들이 중국 경제에 대해 점점 더 우려하는 가운데, 중국은 전례 없는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까?
투자자들은 중국 경제에 경계를 하다
Gerald Celente: 파이낸셜 타임즈는 주요 지표가 되는 10년 중국 국채 수익률이 새해가 시작되면서 1.6%로 폭락한 뒤 그 수준에 가깝게 유지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중국의 경제 성장과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인 중국에서 나타나던 디플레이션이 반전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기대를 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한다.
채권 시장의 약세는 베이징에 국내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강력한 경기 부양 조치를 취하라는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분석가들은 파이낸셜 타임즈에 말했다. 2024년에 관료들은 그러한 조치를 반복해서 약속했지만 이행하지 못했다.
스탠다드차타드의 분석가들은 보고서에서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더 많은 국채를 발행할 경우 수익률이 더 하락해 2025년 1.4%로 마감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1월 9일, 중국 인민은행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정부 채권 매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그 시점까지 은행은 230억 달러 상당의 채권을 거두었다.
파이낸셜 타임즈는 수익률 하락 추세가 "투자자들이 단기적인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 전망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골드만삭스의 중국 수석 경제학자 후이 샨은 파이낸셜 타임즈에 "장기 수익률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장기 성장 기대가 더욱 비관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확인했다.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1월 9일, 중국 통계청은 12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0.1%만 상승했다는 자료를 발표했다.
공장 가격들은 이번 달에 2.3% 더 하락했다. 중국의 산업 부문은 2년 이상 디플레이션 주기를 겪고 있다.
최근 정책 회의에서 관계자들은 3년 이상 해결되지 않은 부동산 위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비자 경제에 새로운 초점을 맞출 것을 강조했다.
지금까지 베이징은 수출을 위해 공공사업과 제조업에 의존하여 국가 GDP를 지원했다. 제조업은 관세의 벽에 부딪히고 있으며, 관세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공공사업은 정부 차입으로 자금을 조달하는데, 일부 관료들은 이미 "위기" 수준에 도달했다고 보고 있다.
시티은행 분석가들은 미국이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5% 포인트 인상하면 중국의 수출 수입은 6% 감소하고 GDP는 1% 포인트나 손실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중국의 경제는 작년에 약 5% 성장했다. 정부는 2025년에도 같은 목표를 설정했다.
"성장 둔화보다 더 방심할 수 없는" 것은 12월까지 7분기 연속으로 국가 경제를 괴롭힌 디플레이션 압력이며,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소비자 및 공장 출고 가격이 하락했다.
시티 경제전문가들은 메모에서 "이것은 중국에서 전례 없는 일로, 1998년과 1999년에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라고 적었다. 그들은 일본, 유럽의 일부 지역, 그리고 몇몇 원자재 시장만이 이와 유사한 상황을 경험했다고 지적했다.
디플레이션은 이자율, 투자, 임금을 낮추고, 소비자들은 가전 제품, 자동차 및 기타 고가 품목의 가격이 더 떨어질 때까지 큰 규모의 구매를 중단한다.
분석가들은 정부로부터 명확하고 대규모의 현금 부양책이 나오지 않는 한 그러한 시나리오는 지속될 것이라고 베이징에 전하고 있다.
HSBC의 중국 수석 경제전문가인 프레데릭 노이만은 파이낸셜 타임즈에 "더 많은 경기 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지만, 지난 몇 년간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투자자들은 구체적인 숫자를 보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추세 예측:
중국의 미해결 부동산 위기가 국내 경제를 뒤덮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주택 가치가 상승하기 시작할 때까지 지출을 재개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가까운 미래에 예측할 수 없는 추세이다. 또한 3년간의 엄격한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수억 명의 생명과 생계가 파괴되었다.
중국 정부는 이자율을 낮추고 누가 어디에서 집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는 등 미지근한 조치를 시도했다. 아무 효과가 없었다.
위기를 끝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정부가 빈 집을 매수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는 약 1조 4,000억 달러를 지출하는 것뿐이라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이는 나라를 새로운 위기, 즉 공공부채 위기에 빠뜨릴 수 있는 조치이다.
2) 세계 유동성 위기- Gregory Mannarino
(World Liquidity Crisis)
2025년 1월 16일, KWN
https://kingworldnews.com/world-liquidity-crisis/
세계는 지금 글로벌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는 걸까?
세계 유동성 위기
Gregory Mannarino, 트렌드 저널에 기고: 금융에서 유동성은 일반적으로 자산을 현금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거시적으로, 경제적으로 유동성은 시스템의 중추이다. 경제를 통한 신용, 즉 부채의 흐름은 경제가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일한 요소이다. 모든 것은 시스템을 통한 신용/부채의 지속적인 흐름에 달려 있다. 경제를 통한 신용/부채의 흐름이 중단되면 모든 거래가 중단된다.
현대 중앙은행이 운영하는 부채 기반 시스템의 본질은 바로 이것이다. 시스템이 더 많은 부채로 채워지는 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지속적인 블랙홀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 바로 이 끊임없는 부채 창출의 블랙홀 진공이 24시간, 1년 365일, 영구적으로 더 많은 부채 창출을 지속적으로 요구한다.
이러한 부채 기반 중앙은행 관리 메커니즘은 그 자체로 끊임없는 부채 창출과 그에 따른 통화 가치 하락의 원인이 되며, 오늘날 세계(그리고 전 세계 사람들)가 전환점에 서 있는 이유이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문제가 있다.
역설…
세계 부채는 전에 없던 속도로 치솟고 있다. 그러는 동안, 부채가 충분하지 않다. 그것이 바로 역설이다.
무자비한 부채 창출 메커니즘은 시스템이 현재 수준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세계 부채를 부풀리면 통화 가치 하락이 가속화된다. 통화 가치 하락의 효과는 인위적으로 억제된 금리에 의해 가속화된다. 인위적으로 억제된 금리와 그에 따른 통화 구매력 손실로 인해 중앙은행은 더 많은 통화를 창출할 수 있다. 이제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려면 더 약한 통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통화 창출은 중앙은행이 시스템을 팽창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중앙은행은 단 하나의 상품, 즉 부채만 가지고 있으며, 중앙은행이 더 많은 부채를 창출하거나 발행하도록 요청받을수록 중앙은행은 더 강해진다.
중앙은행이 더 많은 부채를 발행하라는 '요청'을 받는 예로는 정치인이 중앙은행에 금리를 인하하거나, 심지어 금리를 마이너스로 낮추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지난 주에 세계 채권 시장은 엄청난 자본 유출을 보였다. 이러한 자본 유출로 인해 채권 수익률이 급등했다. 미국에서는 기준 10년 수익률이 급등하여 미국과 세계 주식 시장에서 매도가 시작되었다.
세계 주식과 부채 시장은 직접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중앙은행이 부채를 더 많이 창출/매수하지 않으면 세계 주식 시장은 크게 하락할 것이다.
오늘날 세계 주식 시장은 부채 시장의 행동의 파생 상품으로만 기능한다. 파생 상품으로 기능하는 주식 시장은 세계 주식 시장이 쉬운 통화 정책, 부채 창출 및 통화 가치 하락에서만 가치를 얻고 있음을 의미한다.
중앙은행이 세계 채권 시장의 현재 매도를 막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세계 주식 시장은 하락할 것이고, 급락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아니다.
문제는 시스템을 통한 신용/부채 흐름이 중단되어 시스템 자체가 '봉쇄'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홍두깨 선생님, 감사-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