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 어원
일본어는 백제가 쓰는 이두로 만들어졌다
옛 일본은 백제의 한 고을
오래전에 어떤 분 이었던가 기억이 나지 않지만 학계에 널리 알려진 분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분은 ‘わたくし’를 ‘바닥치’에서 나온 말이라고 했다. 그 때는 그런가 하고 받아들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뭔가 걸맞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후 10년은 지났을까?, 어느날 “ つくえ[机]; 책상.” 이라는 단어를 보고 [궤(어) (글자를) 쓰구에]라고, 平仮名과 한자를연결해서 읽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스쳐갔다. (*쓰구에; ‘쓰구요’의 사투리. **机; 책상 궤) 어떻게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는 모른다.
일본어라면 일본인보다 더 잘하는 한국 사람도 많다. 그러나 그 분들은 누구도 위와 같은 생각을 하지는 못했다. 돌이켜 생각해봐도 그 순간을 ‘하늘의 도움’ 이라고 밖에는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 그 전에는 글쓴이도 ‘つくえ’만 보였었다. ‘机’자는 그저 ‘책상’이라는 뜻을 의미하는구나, 하는 정도로 알고 있었다. 위에서 ‘바닥치’라고 한분도 ‘わたくし’만 보고 ‘바닥치’를 연상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미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일본어? 의 발음은 한글과 달리 발음의 범위가 넓어서 ‘た’가 ‘다, 따, 타’로 발음되어 ‘た’만 보고는 어떤 발음을 해야 할지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わたくし’만 보고 ‘바닥치’라고 단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 후 다시 “わたくし[私]; 나.”라는 단어를 보았을
때, 아하! 이 단어는 “ (장에서 쌀을) 私(사) 와따구, 시(어)”라는 백제말을 함부로 갈라서 ‘私’자를 떼어내고 ‘わたくし’라는 단어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私’자가 ‘사사로이 할 사’자이므로 ‘나’라는 개념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아 ‘私’자는 ‘(물건을) 사다, 사서’를 의미하는 ‘이두’였구나, 하는 사실도 함께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본말? 이라는 것을 분석해보면, 옛 일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백제말을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예, 1) 일본인들이“一”을 “이찌”라고 하는 이유.
모델이 된 말은 “(무슨) 일 있지?”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이루이찌?“라고 했다. 이 말을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平?名(** 이 말 또한 이두로서, 뜻을 ‘펴 가며’의 의미임)과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一 いち
이루 이찌? (이 사투리를 현대인이 알 수 있게 고치면)
일 있지? (가 된다.)
*** 위에서 보듯이 平?名도, 이두인 한자도, 모두 백제말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백제말, 백제 글자는 있었어도, 일본말이나 일본 글자 같은 것은 아예 존재한 적도 없었다. 일본정부가 역사를 속이고, 거짓 역사를 만들어 선전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옛 일본은 백제의 한 지방이었으며,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은 백제의 신민이었다. 倭는 결코 독자 국가가 아니었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바로잡아야 한다. 일본은 옛날부터 우리의 땅이다. 명치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을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いち[一]; 일, 하나.
**위 단어의 뜻은 이두인 ‘一’자를 뜻으로 해석한 결과 백제말과 완전히 다른 뜻으로 바뀌고 말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본어? 의 단어를 만든 결과 ‘一’자를 ‘이찌’라고 읽는 웃지 못 할 꼴이 되었다.
*** 그러므로 부러진 칼로 부자관계를 확인하듯, 平? 名과 이두가 한 치의 착오도 없이 걸맞아 들어가므로 일본말이라는 것은 백제 말을 가공하고 변형시켜 만든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위에서 보듯이 현대 일본어 사전에 있는 모든 한자들이 원래는 이두로 쓰여 진 한자이니 만큼, 물어 볼 것도 없이, 일본서기도 백제말을 이두로 기록한 책이다. 일본서기는 역사책이 아니다. 백제의 [(깨)물어 “(怪)物語”]이야기다. 지금 까지 들어온 예만 보아도 명백한 사실이다.
*** 모든 일본말이라는 것이 이렇게 만들어졌다.
“아스카”가 왜 “무쇠 터” 인가?
1. 이 교수의 이론
일본인들은 경우에 따라 “아스카”를 “飛鳥”라 쓰기도 하고 “明日香”이라고 쓰기도 했다. 그래서 飛鳥=明日=生鐵의 논리가 성립한다. 부연하면, 고대 한국어로 ‘아’는 ‘맨 가장자리’ ‘하늘’, ‘최고’를 뜻했다. ‘스’는 ‘무쇠’, ‘날이 샘’을, ‘카’즉 ‘가’는 ‘곳’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스카”는 ‘최고의 무쇠 터’인 동시에 ‘날이 새는 곳’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스카”는 ‘최고의 무쇠 터’인 동시에 ‘날이 새는 곳’을 가리키는 우리 옛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백제계의 말이다. 역대 천황과 권력자들의 궁전이 두루 아스카천 변에 있었던 것을 봐도 냇가에 砂鐵이 많이 쌓여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제철은 砂鐵을 불려 이룩했다. 한자 飛鳥를 “아스카”라 읽을 수는 없다. 그러나 ‘飛鳥’와 ‘明日’은 연계된다.
한자 ‘飛’는 한국식 훈독으로 ‘날’이라 읽을 수 있다. 한편 ‘鳥’의 훈독은 ‘새’. 두 소리를 합치면 ‘날새’. ‘날이 새면 곧 明日’이다. 飛鳥와 明日은 이렇게 연결된다. 한편 ‘날새’의 ‘날’은 ‘生’을 뜻한다. ‘새’는 ‘무쇠’의 옛 소리.‘새’와 같다. 따라서 ‘飛鳥=明日=生鐵’의 圖式이 성립된다. ‘飛鳥’를 “아스카”라 읽어도 이상하지 않은 논리가 방증되는 대목이
2. 이 교수의 오류
이 무슨 변괴인가? 이 무슨 궤변인가?
飛鳥=明日=生鐵, 이 3단어가 동의어가 되다니...
더더구나 “아스카”가 ‘무쇠 터’를 의미하는 우리 옛 말이 될 수는 없다.
A. 이 교수가 이런 오류를 범하게 된 근본 원인은 아래와 같이 전개해 보면 금방 알 수 있게 된다.
** 飛(날 비), 鳥(새 조)
이 字에서 “날”과 “새”를 취하면 “날새”가 된다. 다시 말하면 “날아다니는 새”라는 뜻이 “날이 샌다”는 뜻으로 바뀌게 된다. ‘날이 새면 곧 明日’이 된다. 또 이 “날” 자는 “생 것”이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生”의 뜻이 된다. 그리고 위의 “새” 자는 “쇠”와 발음이 유사하니 “鐵”과 같은 말이다. 따라서 “날새”라는 말은 “生鐵”이라는 말과도 같은 뜻이 된다. 그러므로 飛鳥=明日=生鐵 이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 그렇다면 여기에서 한가지만 추가하고자 한다.
“날새”는 “나 일세”와 같은 뜻이고 “本人”이라는 뜻이므로 飛鳥=明日=生鐵=本人 이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그리고 나 본인은 남신웅 이니 飛鳥=明日=生鐵=本人=남신웅 이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요즈음 머리 좋은 젊은 아이들에게 시키면 하루 종일, 말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이교수는 일본정부의 선전과 교육처럼, 일본어가 고대부터 존재했다는 선입관념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일본어가 백제어의 영향을 받았을 뿐이지, 옛 일본인이 백제말을 사용하지는 않았다는, 막연한 추론을 하고 있었다고 보여진다.
B. 이교수가 모르고 있었던 일
첫째 옛 일본이 백제의 한 고을 이었으며 그 백제의 신민들이 백제말을 사용했었다는 사실을 상상도 할 수 없었다.
둘째 이 교수는 “앗다”의 우리말 뜻이나, 이두 “비조(飛鳥)”의 의미를 전혀 모르고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왜’시대에 두 병졸이 하는 말을 들어보면 이해가 쉬우리라 본다.
(1) 연구하는 교실
“저걸 뺏을까? 어쩔까?” “아니, 그러면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어요. 성공하지 못 할 수도 있구요. 차라리 한번 달라고 빌어 보지요” 이 말을 일본인들은 “아스까? (아니, 차라리) 비죠” 라고 했다.
이 말을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 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あすか? 飛鳥! ⇒ (더 현대어로 표기하면) 아스까? 비조! 앗을까? 비죠!
(2) 역사를 보는 눈
*** 앗다; 빼앗다.
(예) 비록 못 니버도 나매 오살 앗디 마라 (고시조)
앗을까→ 앗으까→ 아스까→ あすか
*** 빌다; ① 소원이 이루어지도록 바라며 청하다.
② 남의 것을 거저 달라고 사정하다.
*** 飛鳥(비조); “빌지요→비죠”의 이두.
*** “아스까”도 “あすか”도 “飛鳥(비조)”도 모두 우리말을 기록하기 위한 글자들이다. 따라서 “아스까”를 “조선 글자”라고 한다면 “あすか”는 “백제 글자”이며 “백제 말”이다. “일본 글자”나 “일본 말”이 아니다.
(3) 초대 천황, 명치(1867년; 고종 15년)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을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あすか [飛鳥] 비조시대.
( 6세기 후반부터 7세기 중엽까지 대륙에서 건너 간 불교문화가 발달했음.)
(4) 언어가 역사이다
위 단어는 백제 말 “아스까”가 “비조” 라는 뜻이 되었다. 그리고 “飛鳥”를 “あすか”라고 읽는 웃지 못 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지금까지 “명치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다행히 백제 말을 한자로 기록해 놓은 “飛鳥”자가 있었기 때문에 “あすか”가 “앗으까?‘에서 비롯된 말이라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꼭 알아 두어야 할 일은, 일본인들이 “あすか”를 어떻게 읽든 간에 어원상으로 보면 “아스까”라고 발음해야 한다.
“아스카”가 아니다. 게다가 ‘왜’는 다 같은 백제고을이었으므로 6세기, 7세기 할 것 없이 백제의 불교가 고스란히 이어졌다. 그런데도 불교가 어디에서 전래되었는지 모르도록 애매모호 하게 “대륙에서 건너간 불교문화”라고 표기한 것은 일본의 선조나라 백제를 부정하는 행위이다.
太부도 매어
“(몸에서) 떼어버려도 매어” 이 말을 당시 옛 일본인들의 표현을 빌려 써보면 “떼부도 매”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太ふと め ⇒ (한자에는 "떼“자가 없어서 ”태“자로 대용했으므로 고치면) 태후도 매 떼후도 매
⇒ (어원상으로는 “부”자였으나 일본이 “후”자로 표기하였으므로 고치면) 떼부도 매
떼어버려도 매어
국어 연구
太ふと (태부도) ; 원래는 "떼부도" 즉 "떼어버려도"의 이두.
國語院은 이런 기본적인 우리말도 일본말이라고 알고 있으니, 국사 발굴이나 국력신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런 國語院이라면 차라리 폐쇄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은 위의 말을 제멋대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ふとめ [太め] 조금 굵은 듯함.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후도매』가 다 머이가?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떼)부도 매』를 동강내어 “ふとめ”라는 말을 만들면 한국 사람들은 챙피해서 얼굴도 몬 들 끼다. 게다가 太자 뒤에 있는 め자는 원래 없었던 字이나 『ふとめ』와 바란스를 맞추기 위하여 일본정부가 만들어 넣은 字이다. 뿐만 아니라 『太め』를 정책적으로 한자의 뜻으로 해석한 결과 백제 말 “(떼)부도 매”를 “조금 굵은 듯 함” 이라는 뜻으로 바꾸어버렸다. 철면피. 이 때, 주의할 것은 일본인들이 “ふとめ”를 어떻게 읽든 간에 어원상으로는 원래 “부도 매”였음을 상기해야 한다.
(太 ; 클 태)
回마 와
"(한 번 빼 봐) 빼면 (따라)와" 이 말을 당시 옛 일본인들의 표현을 빌려 써보면 "빼, 빼마 와" 가 된다. 이 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回, 廻ま わ
회, 회마 와
이두한자에는 '빼' 자가 없어서 '회' 자로 대용했으므로 고치면『빼, 빼마 와』 의 뜻이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은 위의 말을 제멋대로 분리하면서 단어의 양 쪽에 “る”자를 붙여서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まわる [回る. 廻る] 돌다, 우회하다.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마와루" 가 머꼬?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이런 식으로 말을 만들면 한국 사람들은 챙피해서 얼굴도 몬 들 끼다.
(回; 돌 회, 廻; 돌 회)
* 국어 연구
廻ま わ (빼마 와) ; '빼면 와' 의 이두, 사투리.
國語院은 지금까지 연구하던 것, 다 그만 두고 '廻ま わ' 가 과연 일본말인지, 일본글자인지 알아볼 의향은 없는지, 국고만 축내지 말고 연구 같은 연구 좀 해 보심이 어떠할지?
* 관련 단어
まわり [回り. 廻り] 돎, 회전, 부근, 근처.
* 주변 [周(まわ)り] '回り' 와 관계없이 만들어 낸 별종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まわす [回す. 廻す] 돌리다, (병풍을) 둘러치다.
まわし [回し. 廻し] 돌림.
'오빠'를 이두로 쓰면?
“(요즘 오빠, 건강해?) 어떠나?, (물어)시어, 이~" 이 말을 당시 옛 일본인들의 표현을 빌려 써보면 "오또나?, 시, 이~" 가 된다. 이 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溫和, おとな? し, い~
온화, 오또나? 시, 이~
이 문장에서 이두 '溫' 자의 종성을 없애면 '오화, 오또나? 시, 이~가 되나 이두한자에는 '빠'자가 없어서 '화'자로 대용하였으므로 고치면 '오빠, 오또나? 시, 이~'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おとなしい [溫和しい] 온순하다.
* 국어 연구
溫和 (오화): “오빠”의 이두.
おとな? (오또나) ; '어떠나'의 일본지방 사투리.
이 말이 한국말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대학교수, 각종 관련 학회, 국어원
박사 있으면 나와서 반박해야 한다. (溫; 따뜻할 온, 和; 화할 화)
* 관련 단어
おとなしやか [溫和しやか] 점잖고 어른다움.
“(오빠) 어떠나? (하고 물어) 시(어)야 가”에서 유래된 말.
니, 기라
“네, 기어라 시어” 이 말을 당시 옛 일본인들의 표현을 빌려 써보면 "니, 기라 새" 가 된다. 이 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に, ぎら せ握
니, 기라 새악
이 문장에서 이두 握자의 종성을 없애면 『니, 기라 새아 』라는 백제말이 된다.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은 이 순수한 백제말을 제멋대로 분리하면서 단어의 양 쪽에 “(らせ)る”자를 붙여서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にぎらせる [握らせる] 「 にぎる」의 사역형.
①쥐게하다. ②뇌물을 쥐어주다.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니기라세루』가 다 머꼬?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握; 쥘 악)
* 국어 연구
に, ぎら, せ握 (니, 기라, 세아) ; '너, 기어라, 시어'의 이두, 사투리.
짜장면 한 그릇 만들어 놓고 무슨 큰일이나 한 것처럼 온 매체에 광고나 해대고 'に, ぎら, せ握'가 일본말이라고 생각하고, 일본 글자라고 믿고 있으니, 이런 國語院이라면 차라리 폐쇄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
* 관련 단어
にぎる [握る ] 쥐다.
にぎり [握り] 쥠, 주먹밥, 생선초밥.
驕 倣倨 오고
말릴 새도 없이 “(여자를) 사(서) 끼워 박아 오고" 이 말을 '(해)야마 되' 고을 여인네는 “사, 끼오 바거 오고”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일본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奢, 驕 倣倨 おご
사, 교 방거 오고
이 문장에서 이두 '倣' 자의 종성을 없애면 『사, 교 바거 오고』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단어의 양 쪽에 “る”자를 붙여서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おごる [奢る] 사치하다, 한턱내다.
[驕る. 倣る. 倨る] 거만하게 굴다.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오고루"가 다 머꼬?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바거) 오고(루)"를 동강내어 “오고루”라는 말을 만들면 한국 사람들은 챙피해서 얼굴도 몬 들 끼다.
(奢; 사치할 사, 驕; 교만할 교, 倣; 본뜰 방, 倨; 거만할 거)
* 국어 연구
奢 (사) ; ‘사서’의 의미.
倭는 일찍부터 매춘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驕 (교→ 꾜→ 끼오) ; ‘끼워’의 이두, 사투리.
이두한자에 ‘꾜’자가 없으므로 ‘교’자로 대용하고 있다.
倣倨 (바거) ; ‘박어’의 이두, 사투리.
おご (오고) ;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오고’와 완전히 같은 말.
國語院에서 근무하는 박사들은 짜장면만 만드나 보다. 아니야, 짬뽕도 만들었대. 그럼 ‘おご (오고)’를 아직도 일본말이라고 생각한대? 일본글자라고 생각한대?
小忌臣오미
우리나라에는 현재 일본인도 많지만 그 일본인보다 더 일본어라는 것을 잘하는 분도 엄청 많다. 지혜의 눈으로 읽으면 일본말이 아니고 원래는 한국말이었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그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이다.
“어어! (나를) 속이시어면서" 이 말을 '(백제왕께 복종해)야마 되 [邪馬台]' 고을 여인네는 “어어! 소기시오미”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일본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御御! 小忌臣おみ
어어! 소기신오미
이 문장에서 이두 '臣' 자의 종성을 없애면 『어어! 소기시오미』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おみ [御御] 명사 앞에 붙어 공손, 존경의 뜻을 나타냄.
[小忌] 大祭 때 관리들이 神事에 봉사하는 일. 또는 그 관원.
[臣] 신하.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오미“가 다 머꼬?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소기시)오미"를 동강내어 “おみ”라는 말을 만들면 한국 사람들은 챙피해서 얼굴도 몬 들 끼다. 게다가 “大祭 때 관리들이 神事에 봉사하는 일. 또는 그 관원.”과 같은 단어의 뜻은 말단 연구원(혹은 대학 교수 나부랭이 ; 조선 침략에 기여한 첩자)이 한자의 뜻을 바탕으로 책상 위에서 조작해 낸 뜻이다. (忌; 꺼릴 기)
* 국어 연구
御御 (어어) ; 감탄사.
小忌臣おみ (소기시오미) ; ‘속이시면서’의 이두, 사투리.
백제글자에는 '으'자가 없어서 '오(お)'자로 대용하였다. 물론 '속이시오며'로 보아도 무방하다. 혹시 ‘小忌臣おみ (소기시오미)’가 한국말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각 대학 국어학과 교수나 국어 관련 정부기관 그리고 국어, 일어 관련 학회원이 반대 논리를 펴면 국어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長眺(해도) 나가매
우리나라에는 현재 일본인도 많지만 그 일본인보다 더 일본어라는 것을 잘하는 분도 엄청 많다. 지혜의 눈으로 읽으면 일본말이 아니고 원래는 한국말이었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그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이다.
그 사내가 매정하게도 “자요, 자줘, (하고 애원해도) 나가매"
이 말을 '(백제왕께 복종해)야마 되 [邪馬台]' 고을 여인네는 “자우, 자 조! 나가매”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일본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참고로 邪馬는 野馬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고 夜麻로 표기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결코 나라 이름이 아니다.
長雨, 長 眺! ながめ
장우, 장 조! 나가매
이 문장에서 이두 ' 長' 자의 종성을 없애면 『자우, 자 조, 나가매 』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ながめ [長雨] 장마.
[長め] 좀 긺.
[眺め] 조망, 경치, 전망.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나가매”의 뜻을 ‘장마’ 등으로 바꾸다니?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眺; 바라볼 조)
* 국어 연구
長雨 (자우) ; ‘자요’의 이두, 사투리.
長 眺 (자 조) ; ‘자 줘’의 이두, 사투리. ながめ (나가매) ; ‘나가므로’의 순수한 우리말.
대학이나 oo원 하며, 국어, 일어, 역사 관련 학회가 일 년 내내 문만 열어 놓고 하는 일이라는 것이 고작 여직원 채용하여 전화나 받게 하는 한심한 연구 단체가 수없이 많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곳을 연구 단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런 곳이 논문 표절한 작자들의 소굴일지도 모른다. 국고만 축낼 뿐이다. 그들은 ‘ながめ (나가매) ’가 뭔지도 모르니까.
* 관련 단어
ながめる [長める] 길게하다.
[眺める] (물끄러미) 보다, 조망하다.
ながい [長い] 길다.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이 단어의 어원을 알 수 없다.)
일본땅 전체가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몰랐으면 몰라도, 이제 그 사실을 알아 낸 이상, 좌시만 할 수 없다.
內所 緒証
우리나라에는 현재 일본인도 많지만 그 일본인보다 더 일본어라는 것을 잘하는 분도 엄청 많다. 지혜의 눈으로 읽으면 일본말이 아니고 원래는 한국말이었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그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이다. (백제왕께 복종해)야마 되 [邪馬台]' 고을 사내가 하는 말이 “(여인이 이리) 내소”하며 닥아오니 “(거짓말 같이) 서져(버렸오)”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일본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참고로 邪馬는 野馬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고 夜麻로 표기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결코 나라 이름이 아니다.
內所, 緒証
내소, 서증
이 문장에서 이두 “証'”자의 종성을 없애면 『내소, 서즈 가 』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ないしょ [內所. 內緒. 內証] 내밀, 비밀.
(명치식 읽기)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나이쇼”가 다 머꼬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이리) 내소"라는 말을 ‘나이쇼’래!
이것들이 돌았나? (緒; 실마리 서, 証; 증거 증)
* 국어 연구
內所 (내소) ; ‘내십시오.’의 이두, 사투리.
緒証 (서즈) ; ‘서저(버려)’의 이두, 사투리.
內緒. 內証는 緒証에서 조작해 낸 단어이다.
대학이나 oo원 하며, 국어, 일어, 역사 관련 학회가 일 년 내내 문만 열어 놓고 하는 일이라는 것이 고작 여직원 채용하여 전화나 받게 하는 한심한 연구 단체가 수없이 많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곳을 연구 단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런 곳이 논문 표절한 작자들의 소굴일지도 모른다. 국고만 축낼 뿐이다. 그들은 ‘內所 (내소)’가 뭔지도 모르니까. 일본땅 전체가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몰랐으면 몰라도, 이제 그 사실을 알아 낸 이상, 좌시만 할 수 없다. "
訛, 鉛
이 여자는 자기 것이 깊지 않다고 하는 것인지, 남자 것이 크다고 강조하는 것인지 모를 미묘한 말로 유혹하고 있다. “와서 넣어. 남을 꺼야” 이 말을 '(백제왕께 복종해)야마 되 [邪馬台]' 고을 여인네는 “와, 여. 남아리”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일본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참고로 邪馬는 野馬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고 夜麻로 표기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결코 나라 이름이 아니다.)
訛, 鉛, なまり
와, 연, 나마리
이 문장에서 이두 “鉛”자의 종성을 없애면 『와, 여, 나마리』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なまり [訛(り)] 지방 특유의 방언.
[鉛] 납.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 なまり”의 뜻을 ‘방언, 납’으로 바꾸다니? 이걸 말이라고 맹그렀나?
(訛; 그릇될 와, 鉛; 납 연)
* 국어 연구
訛 (와) ; ‘이리 와’의 의미, 이두.
鉛 (여) ; ‘넣어’의 사투리, 이두.
なまり (나마리) ; ‘남으리’의 사투리.
* 교환 학생은 통상 그 나라의 말을 좀 할 줄 안다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보낸다. 게다가 학생들은 순발력이 좋아서 그 나라에 머무는 동안 견문만으로도 후일 본인이나 사회발전에 도움이 될 아이디어를 찾아 오거나 시야를 넓혀 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교수의 경우는, 영어 한마디 못하면서 교환 교수라면서, 1년씩이나 외국에 나가는 일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10년 동안, 붕어빵 강의밖에 할 줄 모르던 굳은 머리로서는 1년 정도 영어를 배워 봤자, 대학 강의를 하거나 듣기는커녕 옆집 사람과 대화도 할 수 없다. 그러다 보니 차나 한 대 사서, 마누라 옆에 태우고 나이아가라 폭포, 뉴욕 등, 전국을 헤매며 투어 일정을 짜기에 바쁘다 “한국에서는 왜 저런 사람을 먼 미국까지 보내어서 빈들거리게 하나?” 이런 말을 듣게 된다면 나라 망신이요, 세금이 아까울 뿐이다. 또나 개나 보내면 안 되겠다.
** 참고
“なまる”가 “なまり”에서 파생되었다고 볼지도 모르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다음 회 訛鈍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일본땅 전체가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몰랐으면 몰라도, 이제 그 사실을 알아 낸 이상, 좌시만 할 수 없다
瘦瘠야세
그 어른이 이르기를 여자를 몇 번이나 만나거든 모르는 척 하고 슬쩍 ‘스쳐야 (한다고 말하)시에’ 이 말을 '(백제왕께 복종해)야마 되 [邪馬台]' 고을 사내는 “스처야세” 라고 했다. 이 백제말을 倭지방에 살던 백제인(일본인)들은 이렇게 표기하였다. (참고로 邪馬는 野馬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고 夜麻로 표기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결코 나라 이름이 아니다.)
瘦瘠やせ
수척야세
이 문장에서 이두 “瘠”자의 종성을 없애면 『수처야세』가 된다. 이 순수한 백제말을 일본정부와 백제말(조선말) 연구원들이 제멋대로 분리하여 단어의 양 쪽에 “(せ)る”자를 붙여서 아래와 같은 일본말? 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やせる [瘦せる. 瘠せる] 여위다, 살이 빠지다.
아무리 말을 만들어도 그렇지 “やせる”가 다 머꼬?
이거뜰이 도랐나?
게다가 한국말까지 베껴 사용하는 주제에 거꾸로 한국인의 민도를 논하는 무슨 장관이라는 자의 철면피나 무지를 보자니 한심하기 그지없다. 이렁기 다.
장관이가? (瘦: 여윌 수, 瘠: 여윌 척)
* 국어 연구
瘦瘠やせ (스쳐야세) ; ‘스쳐야 (한다고 말하)시에’의 이두, 사투리.
이런 과정을 참고하면 瘦瘠(수척)을 국어사전에 실을 때, 일본어 사전을 보고 단어와 단어의 뜻을 그대로 베꼈다고 판단된다. 사전에 실려 있는 단어의 뜻을 보면 수긍이 갈 것이다.
(瘦瘠 ; 수척하다: 몸이 마르고 파리하다.)
물론 외국어를 한국어로 사용하는 경우는 무척 많다. 그러나 그것이 일본어인 경우는 다르다고 본다. 그러므로 국어원이 이런 단어 대신에 대용할 수 있는 단어를 개발하는 것이 그들의 임무일 터인데, 그들은 어떤 일도 하지 않고 있다. 잠만 자고 있다.
* 백제멸망 이후 명치이전까지 1000년이 넘도록 군사독재 통치하에서(가마꾸라 막부 등) 칼로 다스려 졌던 왜인들은 칼 앞에 무력했고 군사독재정권이 요구하면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도 일본정부가 원하면 결국은 일본정부가 원하는 대로 되고 말게 된다. 그들의 뇌리에는 항상 그 칼이 번뜩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칼은 언제라도 다시 번뜩여 일본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은 오늘날에도 민주국가라 칭하기에는 엄청난 괴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