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이러브사커
 
 
 
카페 게시글
…… 축구 토론장 주제 K리그 중계방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시청률이 아니다???
라돈전설 추천 0 조회 330 08.03.25 22:44 댓글 1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03.25 23:41

    첫댓글 일단 글 잘봤습니다. 충분히 생각해볼 문제인거 같네요. 3사 방송사에 안할거면 중계권 내놓으라고 시위라도 해야겠네요 이거;;

  • 08.03.26 00:04

    님 말씀대로 기업에서 방송국에 돈먹인다 해도 야구방송에 밀립니다.

  • 08.03.26 01:36

    기업들이 돈 밀어줘도 그정도 밖에 방송 안해줍니다. 무슨 합작품이니 뭐니 이건 오버 같네요. 방송사가 자선단체도 아니고 자신들에게 더 득될 행동을 하는건 굉장히 자연스러운 겁니다. 솔직히 말하면 야구시청률과 축구 시청률 가지고 뭐 방송할거냐고 물어본다면 저라도 야구 중계해줄 겁니다.

  • 작성자 08.03.26 06:36

    제 얘기가 바로 그건데요??

  • 08.03.26 12:58

    저도 같은 얘기 한건데요 --ㅋ

  • 08.03.26 14:09

    방송사가 자선단체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원칙을 무시하면 안되지요. 농구.배구는 축구보다 시청률이 높아서 중계해주는것도 아닙니다.야구시청률과 축구시청률도 차이가 한국시리즈를 제외하면 별로 안나고 야구시청률중 롯데가 가장많고 지난해 롯데중계가 야구시청률 톱에서 7개나되고..마찬가지 축구는 수원삼성시청률이 가장높습니다. 지난해 개막전 공중파시청률에서 k리그가 프로야구보다도 높았습니다.자신들에게 득될려면 프로야구같이 뉴스비중률과 중계홍보만 많으면 대등하다고 봅니다.

  • 08.03.26 13:44

    지금 문제 되는것은 sbs가 축구중계권을 obs에 판매를 하지않는것입니다.지금 지방방송들은 지역팀을 중계를 하고있고 포항mbc까지 포항스틸러스를 중계한다는데 obs도 인유,수원.성남.서울등 수도권팀들을 중심으로 중계하면 케이블이 녹화중계를 하든 축구팬들에게 갈증을 풀어줄수있는데 방송사와의 경쟁때문에 판매안하기에 논란이 되는것 아닌가요?

  • 08.03.26 14:11

    월드컵중계와 k리그 경기시간.광고시간 똑같지만 방송사들이 목숨을 걸고 월드컵중계권을 가질려고 하지요..하지만 k리그는 국대에 밀리고 기자들은 국대와 해외위주로기사를 쓰니 상대적으로 뒷쳐지고 잇습니다. 몇년전인가. 울산.서울.전남구단이 야구와 마찬가지 방송사에 후원금을 주어서 중계를 많이 했고..; 삼성라이온즈는 재작년에 전경기중게를 해줬습니다. k리그는 지역명을 중심으로 운영하는것도 스폰서나 모기업에서 회사차원의 대대적인 언론방송광고를 안하는것도 있다고 봅니다.

  • 08.03.26 14:34

    대형구단에서 뒷돈주고 자기팀위주의 중계청탁하는건 이미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고 야구계쪽에서의 중계압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공중파는 그렇다쳐도 케이블에서 생중계만한 시청률 보증은 없습니다. 거기서 번번히 프로축구가 밀리느건 결국 뒤로 힘이 작용한단거죠.

  • 08.03.26 15:16

    그러니까말이에요. 대형축구구단이 그런 노력마저도 안한다면 국내에서 K리그중계는 정말 눈씻고찾아봐도 찾기 힘들듯.

  • 작성자 08.03.27 06:50

    그게 공공연한 사실이라니... 전 처음 듣는군요;;; 다들 알고 있으면서 지금껏 왜 야구만 중계하냐고 K리그 죽이기니 방송사 사장이 야빠니 하면서볼맨소리 해온거군요.......헐~....

  • 작성자 08.03.27 06:57

    무중력슛님 수원삼성팬이란건 알고 있는데 중계청탁을 '노력'이란 단어로 아름답게 꾸미는건 옳지 않다고 봅니다. 물론 K리그가 중계방송되는데에 그게 한몫해서 리그팬에게는 좋겠지만 그건 일종의 '뇌물'이고 나쁜 관행을 만드는겁니다... 그것때메 그걸로 한몫 챙기려고 소방송사들에게 중계권을 재분배 안하는거 같기도 하고요... 중계권에 그런 어둠의 돈이 포함되지 않고 철저히 시장가격에 의해서만 매겨진다면 메이저방송사에서 각각 '수십억'씩이나 주고 사지도 않았을테고 소방송사들이 사기엔 터무니 없이 가격이 폭등하지도 않았을거라고 봅니다.

  • 작성자 08.03.27 07:02

    삼성이 청와대에 뇌물돌리는게 한국 경제를 발전시키기위해 '기업규제 완화'를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없는것 처럼요... 차라리 그 뒷돈으로 자구단의 상품성을 더 키우는게 오히려 낫지 않나요... 뭐 안그래도 삼성은 돈을 가장 많이 쓰고있지만...

  • 08.03.27 09:28

    삼성 요즘에 수원에 돈 별로안쓰는데도 수원의 상품성은 높아만갑니다. 알고 계셨음 좋겠구요. 저도 안좋은관행이라는거 압니다 .하지만 그런 관행마저없었다면 현재의 K리그에 대한 인식이 현재수준까지라도 도달할수있었을까요? 2보전진을위한 1보후퇴라고 보면 될거같네요

  • 08.03.27 15:40

    그런내용들이 기사화될정도면 공공연히 알려진거라 봐야되는거 아니겠습니까? 한가지 또 주목할수밖에 없는건 그 대형구단들이 뒷돈을 준다는데도 야구중계에 밀린단거죠. 중요한 요점은 결국 어떤 위치에 있느냐 입니다. 사실 야구중계라고해서 프로축구보다 시청률이 크게 보장되는건 아닌데 야구계는 방송사보다 우위에서 협상을 하고 축구계는 방송사의 아래에서 올려다보며 협상을 합니다.

  • 08.03.28 11:54

    이유야 어찌됐든, 인기에 비례하지 않고 특정 종목 중계방송만 하는건 잘 못 된거임. 게다가 언론들.. 중계방송 뿐만 아니라 국내축구와 국내야구를 다루는 기사의 태도, 기사의 양, 빈도 등을 고려하면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만큼 불평등합니다. k리그 잘할때나 좋을때는 입다물다가, 어디 해외언론, 단체 한군데에서 평가절하하거나, 성적 좀 안 좋아지거나, 불미스런 일 생기면 대대적인 보도 하고, 빅리그랑 관중수 비교하면서 관중 없다고 하거나.. 고의성이 없다고 보기엔 납득이 안가는 처사임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