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를 풀 때, 어미와 조사의 구분이 잘 안됩니다.
어미와 조사를 구분할 때에,
앞이 용언의 어간인지 체언인지 구분하는 것 외의 방법이 있을까요?
첫댓글 이 문제에서 어미와 조사가 구분이 안 되신다고 하셨는데... 이 문제는 의존 명사와 조사를 구분하는 문제입니다. 밑줄 친 부분에는 '어미'가 없어요. 그냥 이 문제와 상관이 없는 질문인가요?평소에 어미와 조사를 헷갈리신다는 것인지...질문 의도를 알 수 없으니 다시 정확히 질문해 주시면 답변 드릴게요~^^
비단 질문을 할 때 뿐만 아니라,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에 만연체로 해버릇 하는데(의미 전달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올렸던 질문은 정확하게 의미전달이 되지 않아 답변하시는 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밑줄 친 부분은 아니었지만 문제 내에 있던 어휘들 중, 어미와 조사를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한 질문였습니다.지금은 그 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원래 드리고자 했던 질문은 너무 기초적인 내용이어서 공개하면 다음에 혼날 것 같습니다.p.s. 작년부터 이 카페 올 때마다 들었던 생각인데, 대문 사진 바꾸는게 좋아보여요.유진쌤 실물이나 다른 사진과 다르게, 대문에 있는 사진만 완전 아줌마같아요 ㅠ.ㅠ
개념상 어미는 어간과 합쳐져 하나의 용언을 이루는 의존형태소이고,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는, (보조사는 어미 뒤에도 덧붙을 수 있습니다만) 문법적 자격을 부여하거나 접속하거나 의미를 더하는 의존형태소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어미는 용언의 어간 뒤에,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습니다.(체언이 아닌 경우도 있으나 그런 경우 보조사로 쓰여 생략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첫댓글 이 문제에서 어미와 조사가 구분이 안 되신다고 하셨는데...
이 문제는 의존 명사와 조사를 구분하는 문제입니다. 밑줄 친 부분에는 '어미'가 없어요.
그냥 이 문제와 상관이 없는 질문인가요?
평소에 어미와 조사를 헷갈리신다는 것인지...
질문 의도를 알 수 없으니 다시 정확히 질문해 주시면 답변 드릴게요~^^
비단 질문을 할 때 뿐만 아니라,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에 만연체로 해버릇 하는데(의미 전달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올렸던 질문은 정확하게 의미전달이 되지 않아 답변하시는 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밑줄 친 부분은 아니었지만 문제 내에 있던 어휘들 중, 어미와 조사를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한 질문였습니다.
지금은 그 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
원래 드리고자 했던 질문은 너무 기초적인 내용이어서 공개하면 다음에 혼날 것 같습니다.
p.s. 작년부터 이 카페 올 때마다 들었던 생각인데, 대문 사진 바꾸는게 좋아보여요.
유진쌤 실물이나 다른 사진과 다르게, 대문에 있는 사진만 완전 아줌마같아요 ㅠ.ㅠ
개념상 어미는 어간과 합쳐져 하나의 용언을 이루는 의존형태소이고,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는, (보조사는 어미 뒤에도 덧붙을 수 있습니다만) 문법적 자격을 부여하거나 접속하거나 의미를 더하는 의존형태소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어미는 용언의 어간 뒤에,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습니다.(체언이 아닌 경우도 있으나 그런 경우 보조사로 쓰여 생략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