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은 길' 가는 野 '이재명 맞춤형' 당헌 개정···명분 두고 골머리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맞춤형' 당헌·당규 개정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당내 유일한 대권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당대표 연임'도 목전에 두고 있는데요.
따라서 당권-대권을 분리한
현행 규정의 수정은 불가피합니다.
문제는 당헌·당규 개정을 둘러싼
당 안팎의 비판적인 시선입니다.
이렇다 보니 민주당은 '명분 쌓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입니다.
민주당은 지난달 30일 의원총회에서
당헌·당규 개정안을 보고했는데요.
개정안은 당대표 및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선거 1년 전 사퇴하도록 규정한
현행 당헌·당규에 '상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사퇴 시점을 달리 정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을 삽입하는 내용이 포함됐답니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의 연임과
대권 도전을 염두에 둔 개정안이라는 해석이 나왔는데요.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이 대표는
대표 직 연임에 성공하더라도
2026년 3월에는 대표 직을 내려놔야 합니다.
다만 개정안이 통과되면
이 대표는 2027년 대선 직전까지
당 장악력을 유지할 수 있을뿐더러,
2026년 6월 지방선거의 공천권도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자 당 안팎에서
이재명 일극체제(一極體制)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는데요.
이 대표의 핵심 측근 그룹인 '7인회' 출신의
한 의원조차 지난달 30일 의원총회에서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공개적인 문제 제기를 한 것으로 알려졌답니다.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도
지난 4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당헌·당규 개정 논란과 관련해
"장경태 민주당 최고위원이 혁신위를 할 때
갖고 있던 안을 의원총회에서 발표했는데
의원들이 좀 술렁술렁하다"며
"이해가 부족한 것 같아서 전날(3일)부터
선수별 의원 간담회를
당대표가 직접 주관하고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당대표 연임론에 대한 반대 여론도 거센데요.
여론조사 기관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이 대표의 대표 직 연임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39%,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49%로 나타났답니다.
이렇다 보니 이 대표도
당헌·당규 개정의 속도 조절에 나선 상황입니다.
우선 민주당은 지난 3일로 예상됐던
당헌·당규 개정 절차 논의를 유보한 채
선수별 간담회 및 당원 게시판 등을 통한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이와 관련, 정치권 한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의 연임론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의 명분이 부족하다 보니
논의가 직선이 아니라
굽은 길로 계속 돌아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답니다.
실제로 ‘대선 1년 전 대표 사퇴’ 조항 수정은
친명계(친이재명계) 간 설명도 엇갈리는 중입니다.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TF(태스크포스) 단장인
장 최고위원은 5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차기) 대선 일정이 개헌 등의 사유로 변경될 시
1년 전 사퇴 조항을 적용하면
이 대표는 피선거권이 박탈된다”고 지적했답니다.
대통령 궐위 상황을 가정한
당헌·당규 개정이라는 설명입니다.
나아가 장 최고위원은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제도 설계를 하고 있지는 않다”고
덧붙이기도 했답니다.
반면 박성준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같은 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지방선거를 승리해야
다음에 대선도 승리할 수 있는 것”이라며
“(지방선거) 3개월 전에 당대표가 물러나면
당대표 선거를 하는 것도 2~3개월이 걸린다.
그러면 지방선거를 누가 치를 것인가.
그런 부분에 대한 고민이 있어서
(당헌·당규 개정 논의가) 출발했다고
보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장 최고위원은 지방선거를 고려한
당헌·당규 개정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힌 반면
박 수석부대표는 지방선거에 대한 논의라는
정반대의 설명을 한 셈입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