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의 이름이란 임금의사후에 역사가, 그러니까 실록을 쓰는 사관들이 붙이게 됩니다..
원래 임금의 이름이라는것이 묘의 이름, 정확히 말해 임금의 사당에 들어가는 위패에 써붙일 이름을 붙이기
위해 죽은 뒤에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임금의 성향에 따라 뒤에 붙는 이름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창업주나 외치, 혹은 그러니까 영토 확장이나 군사적으로 큰 업적 내지는 사건을 겪은 임금은 보통 조가,
문치, 그러니까 국내 통치를 잘했거나
학문적, 예술 문화적으로 업적이 큰 임금의 경우 보통 종이 붙습니다.
이러한 기준의 경우 보통 "덕이 많으면 종을 쓰고, 공이 많으면 조를 쓴다"고들 하지만 사실 공과 덕의
기준이 모호하므로 이 기준 역시 크게 구별할 만한 실익은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보통 "종"보다는 "조"가 붙는것을 더 영예롭게 여기는 풍조가 있었다고는 합니다.
또 사후에 종과 조를 고치는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다만, 국내에서 반정으로 왕이 된 경우에는 조를 많이 붙이고, 특히 창업주에게는 태조를 씁니다. 그리고 세조의 경우에는
중국 원나라에도 세조가 있듯 단절될 뻔한 왕조를 부흥한 임금에게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붙이는 이름이었습니다.
군이라는 명칭은 임금이기는 하나 중간에 정변이 일어나 쫓겨난 임금에게 붙습니다.
축출된 임금은 종묘에 들 수 없기 때문에, 묘호를 따로 정할 필요가 없고 또 붙여줄 이유도 없었으므로, 당연히 그들이 세자로
책봉될 때 사용했던 명칭을 그대로 가져와 이름 끝에 "군"이 붙게 된 것입니다. 왕의 신분에서 세자로 강등된 것이죠.
그리고 사후에 왕 아닌 자가 왕의 반열에 올라 묘호를 받는 경우도 있었으나,
주로 왕의 생부 등 왕실에 한하여 그런 일이 있었고, 흥선군처럼 왕으로 추존되지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종과 조의 차이
덕종공조라고 하는데요...이것은 미화한것일뿐입니다.
우선 종이란 왕위의 바른 승통을 말하며 종법을 따름을 구분합니다.
왕위계승이 조부-부-적자 이렇게 거쳐진경우에는 응당 종을 붙이지만, 후사가 없어 방계의
왕손을 장자로 맞은 경우에는 종법에 따를수없기때문에 조를 붙이게 된겁니다.
다시말해, 왕의 적자이고 세자를 거친경우 종을 붙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창업군주이므로 조를 붙인경우이고
정종,태종(애매모호),세종,문종,단종
이렇게 적장자(혹은 적자) 승통을 거치다가
세조에 와서 조가 붙습니다.
공이 있어서 붙였다는 것은 핑계에 불과할뿐, 승통의 범위를 벗어났으니
종을 붙이기가 애매했던 것입니다.
덕종(추존왕이지만),예종,성종 역시 적자또는 세자를 거친 바른승통이므로 종을 붙이는
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연산군도 폐덕한 과실만 없었다면 무난히 종을 붙여줄수있었을것이나 폐위되어 일개 왕
자의 신분으로 돌아갔으므로 연산군(君왕자 군)으로 강등된 것입니다.
다음을 보면
중종(성종의 차남이지만, 연산군이 폐주이므로 적장승계),인종(중종의장남),명종(중종의차
남이지만 인종에게 소생이 없었으니)
또 선조에 와서 걸립니다.
선조는 엄밀히 말하면 왕자는 아닙니다. 중종의 서왕자인 덕흥군의 셋째아들로 왕족에 불
과한 그것도 방계(서얼)서열입다. 단지 명종의 아들인 순회세자가 일찍 세상을 떠서 계승할 왕자
가 없어 명종의 양자로 뒤를 이은 것입니다. 당연히 적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서자도 아니
고 딱히 뒤에 종을 붙일 명분이 없었는데, 임진왜란을 이겨낸 임금이라 높이하여 조를 붙인것입니다.
선조의 차남 광해군은 비록 서자였으나 적자가 없었고(세자가된후 영창대군이 태어남) 세
자를 거친인물이므로 인조반정만 없었다면 종이 붙여졌을 것입니다.
다음은 인조입니다.
인조역시 반정을 통해 왕이 된 인물로 엄밀히 따지면 왕자가 아닙니다. 그러나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폐비시키고 폭정을 휘둘렀다는 명목으로 스스로 반정하고 왕이 된 사람입니
다. 자신의 반정이 후세사람들에 의해 쿠데타로 치부될것을 두려워한 인조는 아버지인
정원군(선조의 서자)을 원종으로 추존하고 어머니 구씨를 왕후로 봉해 자신이 적장승계
를 거친 왕으로 미화했습니다. 그러나 인조승하후 그의 시호를 종으로 부치는것을 꺼려한
대신들은 처음에 열조라는 시호로 정했다가 어질인을 붙여 인조로 수정했습니다.
이때에도 병자호란, 정묘호란등의 위기를 이겨냈다는 이유를 내세웠습니다.
다음은 효종(인조의 차남,세자를 거침),현종(효종의 장남),숙종(현종의 장남),경종(숙종의
장남)은 적장승통을 지켰기때문에 시호가 종이 붙여졌습니다.
그러나 영조에 와서 다시 난처해집니다. 영조는 숙종의 아들이나 적자가 아니었고(어머니
는 화경숙빈) 경종의 이복동생이었습니다. 결국 종을 붙일수없게된것이죠, 그래서 다시 신
하들은 시호에 조를 붙이게됩니다.
그리고 영조이후에는 조와 종의 구분이 흐트러져, 정조, 순조와 같은 적장승계자들또한
조를 붙이게되었고, 헌종의 양자에 불과한 흥선대원군의 아들 고종황제역시 정통승계가
아님에도 종을 붙이게 된 것입니다.
후기에는 모르지만 적어도 조선전기~중기에는 종과 조의 구분을 엄격히 한것입니다.
이 구분은 곧 왕통을 바르게 승계했는지 아닌지를 구분하며 태조이성계의 적장승계원칙
에 따른 차별을 둔 것입니다.
1. 조, 종의 차이
우선 조,종을 붙이는 것은 왕의 사후 묘호라는 것으로 흔히 공이 있는 왕에게 조를 붙이고 덕이 있는 왕에게 종을 붙입니다.
이를 조공종덕(祖功宗德)이라고 하는데 이는 사마천이 지은 효문본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조선의 왕중 조를 사용한 왕은 태조, 세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7명과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로 추존된 왕도 있습니다.
왕조를 창업한 왕에게는 태조란 묘호를 붙이는 것은 다른 나라를 통해서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고려시대에는 태조를 제외한 33왕이 모두 종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유독 조선만이 조를 사용한 왕들이 많은데 그것은 공이 많아서 조를 붙였다기 보다는 맏아들로 내려오는 종법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맏아들이 아닌 정상적인 왕위를 계승한 왕이 아닌경우 조공종덕을 빌려 조를 붙였다는 표현이 될 것입니다.
세조는 세종의 둘째 아들로 왕위에 오를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조카인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인조 역시 자신의 당숙 뻘인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인물입니다.
영조 역시 숙종의 2자로 형인 경종이 후사 없이 죽어 왕위에 올라 조가 붙였습니다. 영조의 손자로 왕위에 오른 정조도 역시 조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장조 역시 같은 의미)의 아들이므로 조를 사용하였습니다. 영조의 맏아들인 효장세자는 사후 진종으로 추증.(종법에 의해..) 순조 역시 정조의 2자로 맏아들이었던 문효세자가 죽어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렇듯 정상적인 왕위를 이었다면 묘호를 무엇으로 정할지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조공종덕을 사용해서 선왕의 체면(?)을 세워줬다고 하는게 맞습니다.
그렇다면 문제가 될 수 있는 왕이 있는데 철종과 고종, 순종입니다.
이들은 분명 정상적으로 왕위를 잇지 못하였는데도 왜 종을 사용했는가 하는 점입니다.
원래 묘호가 영종,정종, 순종이었는데 고종이 등극 후 영조, 정조, 순조로 종법에 의해 묘호를 변경합니다. 그리고 철종의 경우는 사도세자와 숙빈임씨 사이의 가계가 같아 내버려두었거나 후에 처리하고자 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주권을 빼앗기고 나서 조,종의 묘호를 정하는 것이 무의미했을 것입니다.
2. 군을 사용한 왕
군을 사용한 왕은 조선에 2명이 있는데 연산군과 광해군입니다.
이들은 모두 왕위에 올랐다가 연산군은 중종반정으로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모두 신하들에 의해 폐위된 왕입니다. 따라서 그들에게는 왕이 아닌 왕자의 신분이 주어지게 되고 따라서 군이란 칭호를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참고로 단종의 경우 세조에 의해 폐위되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사사되었지만 후에 숙종대에 단종으로 추증, 복원되어 지금껏 우리가 단종으로 알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