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C (Complete Blood Count) 검사에서 Eosinophil (호산구, EOS)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다양한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호산구 수치가 500/μL 이상이면 증가로 간주되며, 원인에 따라 경미한 증가부터 심한 증가까지 다양한 범위를 보일 수 있습니다.
1. 알레르기 및 면역반응
알레르기 질환: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두드러기
약물 반응: 특정 약물(항생제, NSAIDs, 항경련제 등)에 의한 과민반응
호산구 증가증 증후군 (Hypereosinophilic Syndrome, HES): 원인을 알 수 없는 호산구 증가
2. 감염성 원인
기생충 감염 (특히 조직 침습성 기생충)
회충, 편충, 톡소카라, 폐흡충, 사상충증 (필라리아) 등
조직 침습성이 강할수록 호산구 증가가 뚜렷함 (예: 폐흡충증, 강족충증)
진균 감염: 아스페르길루스증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BPA)
3. 혈액질환 및 종양
호산구 증가를 동반한 혈액암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특히 M4Eo), 호산구성 백혈병
림프종 (T세포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등)
골수증식질환 (Myeloproliferative Neoplasm, MPN)
만성 호산구성 백혈병 (Chronic eosinophilic leukemia, CEL)
전신성 비만세포증 (Systemic mastocytosis)
4.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호산구성 다발혈관염 (Eosinophilic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EGPA, Churg-Strauss Syndrome)
염증성 장질환 (IBD, 특히 크론병)
결합조직 질환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류마티스 관절염 등)
5. 기타
부신기능저하증 (Addison's Disease): 코르티솔 감소 시 호산구 증가
특정 암 (폐암, 위암, 대장암 등에서 호산구 증가 가능)
호산구 증가증 관련 약제 사용 (예: 인터페론, 특정 항생제, 특정 항암제)
추가 평가 및 접근 방법
1. 호산구 수치 확인
경미한 증가 (500–1,500/μL): 알레르기, 감염, 약물 반응 가능성
중등도 증가 (1,500–5,000/μL): 기생충 감염, 호산구성 폐렴, 자가면역 질환 가능성
심한 증가 (5,000/μL 이상): 혈액암, 호산구 증가 증후군(HES) 가능성
2. 추가 검사
기본 검사: 말초 혈액 도말 검사, 면역글로불린 E (IgE), 알레르기 패널
감염 검사: 대변 검사 (기생충란 검사), 혈청 기생충 항체 검사
혈액질환 감별: 말초혈액 도말검사, 골수 검사 (필요 시)
자가면역 검사: ANCA, RF, ANA, ESR, CRP
영상 검사: 흉부 X-ray, CT (폐 관련 질환 감별)
결론
CBC 검사에서 **호산구 증가(Eosinophilia)**를 보일 때는 환자의 증상 및 병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경미한 증가: 알레르기, 약물 반응 가능성이 높음
기생충 감염이 의심될 경우, 대변 검사 및 혈청 기생충 항체 검사 필요
자가면역 질환이 의심되면 ANCA, RF 등 추가 검사
혈액질환 가능성이 있으면 혈액 도말 검사 및 골수 검사 고려
환자의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심한 경우 혈액종양내과나 감염내과 등의 협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제공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