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일 사순 제2주간 금요일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자.>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33-43.45-46
그때에 예수님께서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말씀하셨다.
33 “다른 비유를 들어 보아라. 어떤 밭 임자가 ‘포도밭을 일구어 울타리를 둘러치고 포도 확을 파고 탑을 세웠다.’
그리고 소작인들에게 내주고 멀리 떠났다.
34 포도 철이 가까워지자 그는 자기 몫의 소출을 받아 오라고 소작인들에게 종들을 보냈다.
35 그런데 소작인들은 그들을 붙잡아 하나는 매질하고 하나는 죽이고 하나는 돌을 던져 죽이기까지 하였다.
36 주인이 다시 처음보다 더 많은 종을 보냈지만, 소작인들은 그들에게도 같은 짓을 하였다.
37 주인은 마침내 ‘내 아들이야 존중해 주겠지.’ 하며 그들에게 아들을 보냈다.
38 그러나 소작인들은 아들을 보자,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고
우리가 그의 상속 재산을 차지하자.’ 하고 저희끼리 말하면서,
39 그를 붙잡아 포도밭 밖으로 던져 죽여 버렸다.
40 그러니 포도밭 주인이 와서 그 소작인들을 어떻게 하겠느냐?”
41 “그렇게 악한 자들은 가차 없이 없애 버리고,
제때에 소출을 바치는 다른 소작인들에게 포도밭을 내줄 것입니다.”
하고 그들이 대답하자, 42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성경에서 이 말씀을 읽어 본 적이 없느냐?
‘집 짓는 이들이 내버린 돌,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네.
이는 주님께서 이루신 일, 우리 눈에 놀랍기만 하네.’
4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하느님께서는 너희에게서 하느님의 나라를 빼앗아,
그 소출을 내는 민족에게 주실 것이다.”
45 수석 사제들과 바리사이들은 이 비유들을 듣고서 자기들을 두고 하신 말씀인 것을 알아차리고,
46 그분을 붙잡으려고 하였으나 군중이 두려웠다. 군중이 예수님을 예언자로 여겼기 때문이다.
의로운 사람들만 살아날 것입니다.
어려서 농토가 없는 농부는 생계가 막연하였습니다. 그래서 소작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소작은 농토를 빌려 농사를 짓는 대신 가을에 추수해서 수확량의 1/2을 주인에게 떼어 주거나 도지로 쌀 몇 가마니를 소작료로 바치거나 하는 방법으로 농사를 짓는 방법입니다. 농사가 잘못되거나 가뭄이 들거나 홍수가 져 농사를 망치는 해에는 소작농들은 끼니를 잇기도 힘들었습니다. 그러나 농지 주인의 눈치를 살펴야 하는 것이 소작농들의 운명이었습니다. 가뭄이나 홍수의 정황을 참작해 주는 농지 주인이 별로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악덕 농지 주인에게 사정하는 소작농들의 서글픈 사연이 소설이나 영화 연극에 많이 등장하는 것입니다. 가난한 소작농들의 삶은 애환의 삶이었습니다.
추수할 때가 되면 주인집에서 소출을 받으려고 감독관을 보냅니다. 추수를 얼마나 했는지 일일이 점검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벼 몇 섬, 몇 가마, 몇 말까지 일일이 헤아린 다음 정확하게 반으로 갈라 챙겨야 하는 것입니다. 추수 날이 되면 소작농들은 기쁜 날이면서도 슬픈 날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런 일을 매년 감수해야 하고, 내년에도 할 수 있도록 주인에게 잘 보여야 하는 것이 소작농들이 해야 하는 일입니다. 주인의 눈에 벗어나면 그나마 부치는 농지를 빼앗길 수 있고 그 농지를 호시탐탐 노리는 다른 소작농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농사를 지은 것 중에서도 좋은 것을 골라 주인에게 바쳐야 하고, 내년에도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은혜를 베풀어 달라고 사정해야 했습니다.
논어의 이인편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자왈; 군자유어의, 소인유어이‘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로움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먹고 사는 일에 군자와 소인이 어떻게 구분할 수 있겠습니까만 농지 주인이나 소작농이 좋은 사람들끼리 만나면 가뭄이나 홍수의 사정을 감안해 주기도 하고, 소작농의 대소사에 인정을 베풀어 소출을 적게 책정해서 가져가기도 하는 아름다운 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일이 있으면 추수하는 그날은 동네에서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칭송의 말이 오고가고, 추수마당이 아주 흥이 돋고 곡식을 헤아리는 소리가 “한 말이오, 두 말이고, 서 말이요, 너 말이네” 하면서 드높은 노랫가락이 되기도 합니다.
사실 우리는 모두 하느님나라의 소작농들입니다. 농지의 주인은 하느님밖에 아무도 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다만 열심히 농사를 지어 하느님께 소출을 바쳐야 하는 소작농에 불과합니다. 아무리 많은 돈을 가졌다 하더라도 하느님의 것이고, 아무리 많은 권한과 권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하느님의 것입니다. 우리는 그 것의 관리자도 아닙니다. 그 모든 것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을 구원해야 하는 의무를 가진 사람들일 뿐입니다.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소출은 ‘많은 사람들을 하느님의 자녀로 만드는 것’입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을 구원하시고자 하시는 하느님의 뜻에 합당하게 사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하느님께서 군자(君子)를 수확하시려고 하신다는 것을 말씀하시고 싶으신 것입니다. 그런데 소작농들의 반란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많은 예언자들을 보내시어 하느님나라에 대해서 말씀하시는데도 박해하고, 죽이고, 핍박한 것을 안타까워하신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 당신의 사랑하는 아드님, 예수님을 이 세상에 파견했음에도 알아보지 못하고 죽일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미 그 사람들은 하느님나라를 상속받을 자격이 없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들은 하느님나라를 차지할 수 없고, 이제 하느님나라를 차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군자와 같은 백성들에게 넘겨질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소작농들의 반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소출을 잘 내려고 노력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 주신 아름다운 자연은 파괴하고, 유기농으로 농사를 짓지 않고 있습니다. 멋대로 유전자를 조작하고, 하느님의 질서를 깨트리고 있습니다. 가진 자는 더 많이 가지려고 못 가진 자들을 핍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부익부 빈익빈이 더 극대화되고 있습니다. 황금만능주의로 세상은 하느님의 것을 극소수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것인 양 전횡하고 있고, 정치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을 당리당략으로 삼아 악으로의 길로 선동하고 있습니다. 무기는 인간을 말살하려고 점점 극악으로 치닫고, 평화라는 이름으로 전쟁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하느님께서 하느님나라를 빼앗아 소출을 내는 다른 민족에게 넘겨줄 것입니다. 정말 정신 차려야 합니다.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 세상이 바뀔 것입니다. 의로운 사람만이 살아날 것입니다.
<저기 저 꿈쟁이가 오는구나. 저 녀석을 죽여 버리자.>
▥ 창세기의 말씀입니다. 37,3-4.12-13ㄷ.17ㄹ-28
3 이스라엘은 요셉을 늘그막에 얻었으므로, 다른 어느 아들보다 그를 더 사랑하였다.
그래서 그에게 긴 저고리를 지어 입혔다.
4 그의 형들은 아버지가 어느 형제보다 그를 더 사랑하는 것을 보고
그를 미워하여, 그에게 정답게 말을 건넬 수가 없었다.
12 그의 형들이 아버지의 양 떼에게 풀을 뜯기러 스켐 근처로 갔을 때,
13 이스라엘이 요셉에게 말하였다. “네 형들이 스켐 근처에서 양 떼에게 풀을 뜯기고 있지 않느냐?
자, 내가 너를 형들에게 보내야겠다.”
17 그래서 요셉은 형들을 뒤따라가 도탄에서 그들을 찾아냈다.
18 그런데 그의 형들은 멀리서 그를 알아보고, 그가 자기들에게 가까이 오기 전에 그를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다.
19 그들은 서로 말하였다. “저기 저 꿈쟁이가 오는구나.
20 자, 이제 저 녀석을 죽여서 아무 구덩이에나 던져 넣고, 사나운 짐승이 잡아먹었다고 이야기하자.
그리고 저 녀석의 꿈이 어떻게 되나 보자.”
21 그러나 르우벤은 이 말을 듣고 그들의 손에서 요셉을 살려 낼 속셈으로,
“목숨만은 해치지 말자.” 하고 말하였다.
22 르우벤이 그들에게 다시 말하였다.
“피만은 흘리지 마라. 그 아이를 여기 광야에 있는 이 구덩이에 던져 버리고,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는 마라.”
르우벤은 그들의 손에서 요셉을 살려 내어 아버지에게 되돌려 보낼 생각이었다.
23 이윽고 요셉이 형들에게 다다르자, 그들은 그의 저고리, 곧 그가 입고 있던 긴 저고리를 벗기고,
24 그를 잡아 구덩이에 던졌다. 그것은 물이 없는 빈 구덩이였다.
25 그들이 앉아 빵을 먹다가 눈을 들어 보니, 길앗에서 오는 이스마엘인들의 대상이 보였다.
그들은 여러 낙타에 향고무와 유향과 반일향을 싣고, 이집트로 내려가는 길이었다.
26 그때 유다가 형제들에게 말하였다. “우리가 동생을 죽이고
그 아이의 피를 덮는다고 해서, 우리에게 무슨 이득이 있겠느냐?
27 자, 그 아이를 이스마엘인들에게 팔아 버리고, 우리는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 말자.
그래도 그 아이는 우리 아우고 우리 살붙이가 아니냐?” 그러자 형제들은 그의 말을 듣기로 하였다.
28 그때에 미디안 상인들이 지나가다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내었다.
그들은 요셉을 이스마엘인들에게 은전 스무 닢에 팔아넘겼다. 이들이 요셉을 이집트로 데리고 갔다.
축일3월 1일 성 알비노 (Albinus)
신분 : 주교
활동 지역 :앙제(Angers)
활동 연도 :+549년경
같은 이름 :알비누스, 알빈, 오뱅, 오빈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Bretagne)의 반(Vannes) 교구에서 태어난 성 알비누스(또는 알비노)는 잉글랜드(England)나 혹은 아일랜드계로 젊어서 틴실락(Tincilloc) 수도원에 입회할 정도로 신심이 돈독하였다. 그는 35세의 나이에 원장으로 피선되었고, 그의 지도하에 수도회가 전성기를 맞았다고 전해 온다. 529년 앙제의 주교좌가 공석이 되었을 때 교구민들이 그에게 몰려와서 그를 주교로 영입하고자 하였다. 그는 완강히 거부하였으나 렌(Rennes)의 주교이던 성 멜라니우스(Melanius, 1월 6일)의 권유에 못 이겨 앙제의 주교가 되어 열심히 사목하였다. 그는 매일 설교하는 것으로 유명했고, 항상 병자나 가난한 과부들 곁에 있었다고 한다. 그는 또한 노예의 대속금을 지불하기 위한 자금 마련과 외교인들의 개종에 전력을 기울였다. 그의 유해는 파리(Paris)의 성 게르마누스(Germanus) 성당에 안치되었다. 그는 오뱅(Aubin)으로도 불린다.
오늘 축일을 맞은 알비노 (Albinus)형제들에게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도드립니다.
야고보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