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산(532m) 경기도 남양주시의 와부읍 월문리 · 조안면 시우리 · 화도읍 차산리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고도:529m). 바다에 사는 고래와는 관련이 없는 지명으로 보인다. 주변의 지형으로 미루어 보건대, '고래산'이라는 이름은 '골(谷)의 산'이 변해서 된 것으로 보인다. 즉, 골자기 산이라는 의미의 '골의 산'이 변화하여 '고래산'이 된 것으로 추정한다. 정 해(1986)의 연구에 의하면 '골의 산'이란 뜻이 '골뫼'로 재구성되어 고래뫼→고래산→경산으로 변천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지지자료』에 처음으로 '경산(鯨山)'이라는 표기가 나오는데, 일본인들이 한자로 옮겨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철문봉(630m) 해발 630m로 적갑산(561m)과 예봉산(禮峯山,·683.2m) 중간을 이어주는 봉우리이다. 다산 정약용, 정약전, 정약종 형제의 숨결이 스민 곳으로 바로 그 아래 조안면 능내리에는 정약용의 생가 여유당과 그의 묘소가 있다. 다산 형제들은 집 뒤 능선을 따라 이 봉우리까지 올라와 학문[文]의 도를 밝혔다[喆]고 하여 이 봉우리에 ‘철문봉(喆文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철문봉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아는 산꾼들은 적갑산~예봉산 코스를 ‘다산능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봉우리로 오르는 곳곳에 수리취, 고려엉겅퀴, 큰꿩의비름 등 다양한 야생화와 넓은 억새밭을 만날 수 있고 정상에 서면 수락산과 도봉산, 한강과 미사리조정경기장을 조망할 수 있다. 이곳에서 팔당대교로 곧바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예봉산(禮峯山)(683.2m) 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팔당리와 조안면 진중리, 조안리에 걸쳐있는 높이 683.2m의 산이다. 북쪽으로는 적갑산과 갑산이, 동북쪽으로는 운길산이, 동남쪽으로는 예빈산이, 한강을 건너 남쪽에는 검단산을 마주보고 있다. 조선시대때부터 수림이 울창하여 인근지역과 한양에 땔감을 대주던 연료 공급지였다. 예로부터 인근주민들에게는 운길산과 함께 사랑산 혹은 예빈산(옛 명칭으로는 철마산이라 불렸음)을 작은사랑산으로 칭하고 큰사랑산[1]으로 칭했다. '산을 위해 제사 지낸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런 의미로 영산이라는 별칭도 존재한다. 조선시대의 지도에서의 예봉산의 명칭을 보면 해동지도, 동여도, 대동여지도에는 예빈산(禮賓山), 청구도, 대동지지에는 예봉산(禮奉山), 조선지지자료, 조선지형도에는 예봉산(禮峰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한제국 시대까지는 경기도 광주에 속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때 편찬된 조선지형도에는 경기도 양주군에 소속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예봉산은 남양주시에서 중앙선이 복선 전철화된 이후 접근성이 높아져 등산객들의 출입이 잦아졌으며, 다산길 4번코스가 이 곳을 지나고 다산길 1-1번코스가 예봉산 테두리를 지난다.
|
첫댓글 좋은코스 가족여행 계획있어서 내립니다.
죄송합니다.
알겠습니다
38번 좌석 범계역4번 출구 탑승 합니다.
김대장님 반가워요
@하로동선 같이 가시죠
감사합니다
에고~행사가 있어서 내립니다.
좋은님들 다음산행때 뵙겠습니다. 잘 다녀오십시요~
알겠습니다. 행사 잘 치루세요.
다음산행에 뵐께요
10번 범계역승차합니다
감사합니다
신청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나오세요
이번구간 사정이생겨 취소합니다.
안전산행 하세요~~~
다음 산행에 뵙겠습니다
아쉽게도 불참입니다.~~ 즐산 안산하세요~~*^*
알겠습니다
24번 안양여고 신청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뱅 29.33번 신청해요 , 달구벌 첨부
A코스 갑니다
감사합니다
42범 신청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정이 생겨 내립니다~~안산 즐산하세요~
알겠습니다
A코스로 갑니다.
알겠습니다
37번(관악) 주세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