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하대에 접어들면서 귀족의 유대의식의 약화로 골품제도가 붕괴되어가자
진골귀족세력의 분열히 심하여졌다.그러한 중대에서 하대로의 변동은
왕권의 전제주의적 경향에 대한 귀족들의 반항으로 초래되었다.
그결과 하대의 신라는 귀족적이고 연립적인 방향을 겪게되어
155년간 20명의 왕이 교체되었다.
김헌창은 태종무열왕의 후손으로서 그의 부친인 상대등 김주원은 선덕왕이 죽은뒤
왕이 될것이었으나.김경신에게(원성왕) 왕위를 빼앗기고 말았다.
이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여 왕자의 자리를 꿈꾸었던 당시 웅천주 도독으로 있던
김헌창은 대대적인 난을 일으키고 국호를 장안으로 하려하였다.
김헌창이 무진주,완산주,청주,사벌주 등의 4도독을 위협하니 여기에 이 수령들이
항복하여 지금의 경상,전라,충청등지까지 김헌창군에 가담하였다.
청주도독 향영은 도망쳐서 퇴화군이라는곳으로 갔고
한산,우두,삽량,북원,패강등지에서는 수비에 임하였다.
완산주의 장사 최웅은 영충의 도움으로 서울로 망명하여 김헌창의 난을
보고했고 왕은 이 보고로 수도를 방어하게 하였고
장웅,제릉,위공등의 장수에게 김헌창을 격퇴하게 하였다.
장웅은 도동현에서 김헌창의 군대를 격파하고 위공과 제릉은 장웅과 합세하여
삼년산성을 공격한뒤 속리산에서 김헌창의 군대를 격파하였다.
균정이라는 장수가 성산이라는곳에서 승리한뒤 웅진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자
이에 위기를 느낀 김헌창은 자살하였다.그뒤 그의 아들 김범문이 고달산의 산적
수신과 난을 일으켰으나 역시 실패하였다.
이후로 무열왕의 자손들은 왕위 쟁탈전에서 완전히 밀려났다.
카페 게시글
인문/사회- 상식
[한국사]
김헌창의 난
♡閔 英兒♡
추천 0
조회 124
03.12.16 20:53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