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220P 인데..책 없는 사람이 있으므로..ㅋㅋ..
탐구목표
나일론 실의 합성과정과, 만들어진 나일론 실의 성질에 대해 알아본다.
탐구 과정
1. 염화아디프산 2g을 디클로로메탄(또는 사염화탄소) 50mL에 녹인 다음 250mL 비커에 옮긴다.
2. 물 50mL가 들어 있는 다른 비커에 수산화나트륨 1g을 녹인 후, 헥사메틸렌디아민 1.5g을 녹인다.
3. 염화아디프산이 녹아 있는 디클로로멘탄 층과 헥사메틸렌디아민 수용액 층이 섞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비커의 벽면을 따라 과정 1의 비커에 과정2의 용액을 넣는다.
4. 두용액의 경계면에 생성된 막을 조심스럽게 핀셋으로 끌어 올려 유리막대에 걸친 후, 유리막대를 돌리면서 실을 감는다.
5. 다 감아 낸 나일론 실을 즉시 물로 씻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후 유리 막대에서 풀어낸다.
6. 만들어진 나일론 실을 양손에 잡고 당겨 본다.
탐구 결과
두 액체 층의 사이에 흰색의 나일론 실이 뽑아져 나온다. 이 때 실을 빨리 감으면 실이 가늘어 지고, 천천히 감으면 굵어진다.
탐구 분석
두 액체가 섞이지 않고 층을 이루는 이유는 무엇인가?
염화 아디프산이 녹은 디클로로메탄 용액과 헥사메틸렌디아민 수용액은 극성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섞이지 않는다.
두 액체 층의 사이에서 나일론 실이 뽑아져 나오는 이유는 무었인가?
두층의 경계면에서 염화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6,6- 나일론의 합성 반응에서 사용된 두 단위체의 구조식은?
6,6- 나일론의 단위체는 염화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이다.
염화아디프산 ClOC-CH2-CH2-CH2-CH2-COCl
헥사메틸렌디아민 H2N-CH2-CH2-CH2-CH2-CH2-CH2-NH2
과정2에서 수산화나트륨을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
두 단위체 사이의 축합 붕합 반응에 의해 HCL가 생기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NaOH)을 넣는다.
H H O O
| | || ||
nH-N-(CH2)6-N-H + nCl-C-(CH2)4-C-Cl
->축합중합 [ H H O O ]
[ | | || || ]
[ N-(CH2)6-N-C-(CH2)4-C]n +2nHCl
6.6나일론
6, 6- 나일론에서 6, 6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일론의 단위체인 염화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 분자 중에 들어있는 탄소 원자가 각각 6개이므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즉, 6,6은 각 단위체에 들어 있는 단소 원자수를 의미한다.
탐구 결론
6,6 - 나일론은 단위체인 염화아디프산의 -COCl 부분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NH2 부분 사이에서 HCl가 빠지면서 축합 중합하여 생긴 아미드 결합(-CONH-)에 의해 형성된 합성 고분자이다.
첫댓글 언젠가 이거 누가 나한테 해 보고 싶다 그랬는데 그게 너였나??
그런가..ㅡㅡ;..난 너한테 말한적이 없는거 같은데..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