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시간이 1시46분 조금있다 3시에는 94학번 소돈영선배 결혼식이 있지요. 그러면 한 2시에는 나가야 한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빨리 빨리 쓰고 갈렵니다.
오늘은 다른 곳에서 설명한 것을 쓴다음에 제가 부가해서 몇가지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
DSL
일반적으로 DSL은 modem을 의미하는 것이지 line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line에 적용되는 modem 한쌍이 DSL을 생성하는 것이며 전화 회사가 DSL혹은 ADSL, HDSL을 판매한다는 것은 line이 아니라 modem을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DSL 자체는 기본적으로 ISDN에 사용되는 Modem을 사용한다. 24 ga 전화선의 경우 18,000feet까지 구리선을 사용하여 160kbps의 속도로 양방향 data를 동시에 전송한다. 이때 두개의 B 채널(각각 64kbps)과 한 개의 D 채널(16kbps)가 사용된다. (ANSI T1.601 or ITU I.431)규격에 의해서 양방향 신호가 전달된다.
DSL modem은 0에서 대략 80KHz까지의 주파수대역를 사용한다. (어떤 유럽국가는 120KHz사용) 그렇기 때문에 DSL모뎀 Analog POTs와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오늘날 DSL모뎀은 실질적으로 두번째 회선설치를 필요 없도록 응용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한 개의 POTS의 회선이 두개의 POTS 역활을 하도록 바꾸어진다. 전화회선은 사용자측에 단지 아날로그 디지털 음성기능만을 설치할 뿐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회선이 제 역할을 하도록 한다.
4) T1 / E1
T급 회선시스템은 1960년대에 미국 벨시스템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디지털 음성전송을 지원하는 최초의 성공적인 시스템이었다. 원래 전송속도가 1.544 Mbps인 T-1 회선은 오늘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들에 의해 인터넷 접속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등급은 다르지만 44.736 M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T-3 회선 역시,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된다. 다른 서비스 중에 단편 T-1 회선이 있는데, 이는 T-1 회선의 24 채널 중에 일부만을 빌려 사용하고 나머지 채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T급 회선시스템은 디지털부호 코드변조 및 시분할 다중화(TDM)를 사용하는 완전한 디지털 회선이다. 이 시스템은 네 가닥을 사용하는데, 두 가닥은 수신에 그리고 두 가닥은 송신에 할당함으로써 전이중통신 능력을 제공한다. T-1 디지털 스트림은 24개의 64 Kbps 채널들이 다중화된다 (표준화된 64 Kbps 채널은 음성전화에 요구되는 대역폭에 기반하고 있다). 네 가닥의 전선은 원래 한 쌍의 구리선을 꼬아만든 것이었으나, 이제는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그 외에 다른 매체 등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채널의 숫자나 사용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T-1 시스템에서 음성신호는 초당 8,000번 샘플링 되며, 각 표본은 8 비트 워드로 디지털화 된다. 이 신호들이 동시에 24 채널로 디지털화 되므로, 결국 192 비트 프레임이 초당 8,000번 전송되는 것이다. 또, 각 프레임은 하나의 비트에 의해 구분되므로, 각 블록은 총 193 비트로 구성된다. 192 bits/frame × 8,000 frames + 8,000 framing bits를 계산하면 T-1의 속도는 총 1.544 Mbps가 된다.
E-1은 ITU-T에 의해 고안되고, 유럽우편 및 통신운영회의(CEPT)에서 이름이 붙여진 유럽 디지털 전송규격으로서, 북미의 T-1형식에 대응되는 것이다. E-2부터 E-5까지는 E-1 형식의 배수로 증가하는 전송매체들이다.
E-1 신호형식은 64 Kbps 속도의 채널 32개를 수용함으로써, 2.048 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E-1은 T-1에 비해 다소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이는데, 그 이유는 T-1과는 달리 각 채널의 모든 8 비트가 신호를 부호화 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E-1과 T-1은 국제적인 용도를 위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ㆍE-2는 E-1 신호들을 4배 다중화하여 8.448 Mbps로 전송하는 회선이다.
ㆍE-3는 E-1의 16배인 34.368 Mbps로 전송하는 회선이다.
ㆍE-4는 E-3의 4배인 139.264 Mbps로 전송하는 회선이다.
ㆍE-5는 E-4의 4배인 565.148 Mbps로 전송하는 회선이다.
5) CDSL (Consumer DSL)
CDSL은 DSL의 트레이드마크나 다름없는 버전으로서, ADSL 보다는 다소 느리지만 사용자측에 신호분할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록웰이 CDSL을 위한 칩셋을 만들며, 전화회사들은 월간 40~45 달러 수준의 비용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DSL은 DMT나 CAP과 같은 ADSL 기술보다는 고유의 운송매체 기술을 사용한다.
6) HDSL
널리 사용되어야 했던 DSL의 초창기 변종은 HDSL로서, 기업사이트 내부와 전화회사와 고객의 사이의 광대역 디지털 전송을 위해 사용되었다. HDSL의 주요 특성은 대칭형이라는 점인데, 양방향의 대역폭의 크기가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ADSL보다 낮다. HDSL은 단일 연선 상에서 북미 기준으로는 T-1회선, 그리고 유럽기준으로는 E1 회선 수준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7) SDSL
SDSL은 단일 연선을 사용하는 HDSL과 비슷한데, 전이중 회선을 통해 양방향 공히 북미와 캐나다 지역에서는 1.544 Mbps 또는 유럽에서는 2.048 Mbps의 속도로 전송한다. 이것은 양방향의 전송 속도가 같기 때문에, 이름에 대칭형(Symmetric)이라는 말이 들어있다.
8) ADSL
ADSL이라고 불리는 DSL의 형태는 가정과 소규모 사업체의 사용자들에게 가장 친숙해지게 될 것이다. ADSL이 "비대칭"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양방향 또는 전이중 방식 대역폭의 대부분이, 데이터를 사용자측으로 전송하는 하향방향에 전념하기 때문이다. 상향으로는 오직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적은 부분의 대역폭만이 할당된다. 대부분의 인터넷, 특히 그래픽 또는 멀티미디어 위주의 웹데이터는 많은 량의 하향 대역폭이 필요하고, 사용자 요구나 응답들을 위한 적은 량의 상향 대역폭이 필요하다. ADSL을 사용하면, 하향으로는 최고 6.1 Mbps의 속도를, 상향으로는 최고 640 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하향의 고 대역폭은 사용자들의 전화회선을 통해 동영상, 오디오 및 3차원 이미지 등을 사용자의 컴퓨터나 인터넷에 연결된 TV 셋에 전달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에, 하향 대역폭의 일부는 데이터가 아닌 음성에 전념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회선 없이도 전화통화를 함께 할 수 있다. 케이블TV 회선을 통한 비슷한 서비스와는 달리, ADSL은 같은 지역의 이웃들과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하기 위해 경쟁을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기존의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ADSL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일부지역에서는 회선을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
9) VDSL
VDSL은 현재 개발되고 있는 기술로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더 빠른 속도를 보장한다 (300 m 정도의 길이에서 51 ~ 55 Mbps 가량의 속도를 낸다). 이것은 ADSL보다 다소 후에 나타나서 광범위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ADSL과 혼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송기술 (CAP, DMT, 및 기타)과 일부 환경에서의 효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몇몇 표준화기구들이 이것에 관해 작업을 진행중이다.
------------------------------------------
이전시간에 DSL이란 어떤거다..라고 조금 이야기 드렸을 텐데요.
조금 덧붙여서 오늘 이렇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윗 내용중에 궁금한것은 질문 하시구요..
음. 오늘은 제가 작년에 했던 ADSL에 대한 내용을 조금 다루려고 합니다.
DSL은 방식이 CAP,DMT,QAM 방식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는 ADSL은 거의 모두 DMT 방식 이죠.
그럼 DMT란 무엇이냐..
모르시는 분도 있겠지만 어떤 신호나 Data를 전송하고자 할때
어떤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통신을 합니다.
요즘 이슈로 떠오르는 무선인터넷 등도 주파수 대역을 서로 정해놓고
그사이에서 통신을 하는것이죠......대충 이렇구요..
다시 DMT로 돌아와서
DMT는 Discrete MultiTone 의 약자로 다른 곳에서는 다중 반송 변조 (MCM, Multi Carrier Modulation)로 전체 전송 대역을 여러 개의 직교 부 채널로 분할하고, 각 부 채널별로 하나의 QAM 변조 전송하는 방식임..이라고 설명하는데 좀 어렵죠?
간단히 설명하자면 정해진 주파수 대역까지 32또는 64또는 128Khz단위로
분할해서 나눠진 구간을 더하고 더해서 그 주파수대역까지 끌어올리면
속도가 나오는 방식이라고 이야기 할수 있는데요...넘어렵나..??
선로의 가용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개별 부 채널의 최대 수율(througthput)에 적재되도록 데이타를 할당합니다.
만일 어떤 이유에서, 특정 부 채널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면, DMT는 이 채널을 제외한 가용 채널들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아래 그림과같이 되는거죠...
첫댓글 수고요~ 후니형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