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삼국시대 교육의 개관
(1) 교육의 목적
1. 백성을 다스릴 인재의 양성
2. 국가방위에 필요한 무인의 양성
(2) 교육의 방법 : 중국 당나라의 유교 중심의 암기식 방법의 모방
(3) 교육의 특징
1. 경전에 의한 문자 교육의 시작
2. 유교 중심의 당나라 교육제도의 모방
3. 고구려부터 조직적인 학교교육의 시작
고구려의 태학(太學)
(1) 소수림왕 2년(372)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관학
(2) 교육목적 : 유교교육에 의한 관리의 양성
(3) 교육대상 : 귀족과 특수층 자제를 위한 관리의 양성
(4) 교육내용 : 五官(역, 시, 서, 예, 춘추)과 三史(예기, 한서, 후한서)를 가르친 것으로 추정된다.
(5) 성격 : 전통유지, 고전 중심, 인격교육(정신교육)의 중시
(6) 태학의 교육사적 의의
1. 우리나라 기록에 보이는 학교교육의 시초로서 교육사적 의의를 지닌다.
2. 한국 유학으로서의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3. 중국 여러 왕조의 학교교육을 제외한 동아시아에서 가장 앞선 학교라는 의의를 지닌다.
고구려의 경당
(1) 경당의 성격
1. 우리 나라 최초의 사학, 일반 평민과 지방부호의 일반 자제의 교육
2.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의 교육과정을 담당했다는 견해와 중등교육기관이라는 견해가 있다.
3. 경전과 활쏘기를 가르침
4. 서당의 기원이 되었다.
(2) 특징 : 습사(習射)를 중시한 점으로 보아 문무일치의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 점에서 신라의 화랑도 교육과 유사하다.
(3) 교육내용 : 오경, 사기, 한서, 삼국지, 춘추, 옥편, 학통, 문서 등
신라의 화랑도 교육
(1) 기원 : 진흥왕 575년에 유, 불, 선 3교를 조화시켜 만들었다.
(2) 교육목적
1. 용감한 병사와 실천적 인물의 양성
2. 종교적, 도덕적 교육
3. 자연을 사랑하고 국토를 애호하는 미풍을 장려
(3) 교육내용
1. 군사적 연마와 약간의 지적학습 및 도의 교육
2. 정서도야 : 화랑들은 시와 음악과 가무를 즐겼다.
(4) 교육방법
1. 상마이도의(相磨以道義) : 서로 도의로서 심신을 단련한다.
2. 상열이가악(相悅以歌樂) : 시와 음악을 즐긴다.
3. 유오산수(遊娛山水), 무원부지(無遠不知) : 명산과 대천을 찾아다니며 즐긴다.
(5) 교육사적 의의
1. 화랑도 교육과 중세 기사도 교육의 공통점은 '실생활을 통한 교육'이라는 점이다.
2. 화랑도 교육방법 중 '유오산수, 무원부지'는 심신단련과 직관교육을 위주로 한 것으로 서양 신교육 운동기의 후조운동(Wandervogel)과 보이스카웃(Boyscout)과 유사하다.
3. 심신일여(心身一如), 언행일치(言行一致)의 도의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 고유사상의 발로이다.
신라의 국학(國學)
(1) 성격 : 신문왕 2년(682)에 세운 신라 최초의 관학으로 禮部에서 관리했다.
(2) 교육목적
1. 봉건적 중앙집권 제도의 확립과 강화를 위한 관리의 양성
2. 지도계급의 교양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며, 유교사상의 보급 및 연구
(3) 교육내용
1. 유학과
-교양과목으로 논어와 효경은 필수였고
-전공과목은 삼분과제를 실시하였다.
ㄱ. 1분과에서는 예기와 주역을 가르쳤고
ㄴ. 2분과에서는 춘추좌씨전과 모시를 가르쳤고
ㄷ. 3분과에서는 상서와 문선을 가르쳤다.
2. 기술과 : 논어와 효경은 필수였고 산학과 의학을 가르쳤다.
(4) 수업연한 : 9년을 원칙으로 하였다.
(5) 국학의 특징
1. 국학의 2대 기능은 학업과 문묘제례로써 공자의 상을 모시는 문묘를 두었다.
2. 국학출신자는 대나마(10관등), 나마(11관등)에 임용하였다.
3. 독서삼품과에 의한 임용제가 적용되었다.
독서삼품과
(1) 원성왕 4년(788)에 관리선발을 위한 국가시험제도로서 인제등용의 방법을 객관화함
(2) 과거제도 도입의 예비 단계로써 예부에서 관할하였다.
(3) 응시자의 성적에 따라 상품, 중품, 하품 세 등급으로 구분하고 관리임용의 순서로 삼았다.
(4) 국학의 성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학에 대한 지식의 고하를 물었다.
원효의 교육사상
(1) 교육이념 : 화쟁사상(和諍思想)
(2) 교육적 인간상 : 중도인, 주체적 의식인
(3) 교육방법 : 시청각 방법으로 그가 만둔 무애가(無碍歌)를 부르면서 거리로 다니면서 민중교화에 크 게 공헌
(4) 교육사적 의의
1. 원효는 정토사상(淨土思想)에서 중생과 성인에 대한 인성적 차별을 철폐하였다.
2. 무애가의 윤리사상으로 참된 선을 구하기 위하여서는 악을 피할 것이 아니라 악의 속에 들어가서 선을 구하려 했다.
3. 覺의 실천강령에서 인류애 사상을 볼 수 있으며, 本覺의 習에 의하여 不覺이 극복된다고 보면서 覺 의 실천행동을 제시했다.
(5) 원효의 교육사상 종합
1. 유심연기사상
ㄱ. 교육의 참된 목적은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한 양식을 스스로의 탐구와 노력과 의지로써 체득 해야 된다.
ㄴ. 타율적, 모방적 학습보다는 개인의 고유한 창의적 학습을 중요시한 사상
ㄷ. 자학자습에 의한 내적 자각의 교육이론과 연결
2. 불교교리의 강화를 받아들여 도덕교육의 근본을 밝히려는 사상
3. 실천궁행의 사상
4. 민중 속의 불교교육의 실시는 시민교육, 교양교육의 선구를 이루었다.
5. 평화애호사상 : 화쟁사상에 기초한 협동과 봉사와 동포주의 교육사상이다.
고려시대 교육의 개관
(1) 교육목적 : 관리양성과 과거급제
(2) 교육내용 : 유교의 경전
(3) 교육방법 : 암기식과 주입식
(4) 교육기관
1. 관학 : 중앙에 국자감과 동서학당(오부학당)
2. 지방에 향교
(5) 특징
1. 국공립 교육기관의 발달
2. 공무원 채용고시제도의 확립
3. 사설학교 설립의 활성화
(6) 국자감 이전의 관학의 교육제도
1. 태조 13년에 서경에 학교를 창설하고 서학박사로 교육을 담당케 하였다.
2. 학원(學院) : 사경에 설립한 학교로써 6부의 생도를 모아 교육
3. 학보(學寶) : 서경에 세운 학교가 번창하자 창곡백석을 하사하여 학보를 삼게 함
4. 유경습업(留京習業) : 성종이 주, 군, 현에 영을 내려 지방자제를 선정하여 京에 들어와 학업을 닦 게 한 제도
5. 권학관(勸學官) : 성종 9년에 전국 12목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1명씩 파견하여 지방자제를 교육 한 제도
6. 성종때 사경에 수서원이라는 도서관을 설치
고려의 국자감
(1) 기본성격
1. 성종 1년(992)에 설립한 최고 학부의 국립교육기관
2. 국자학, 태학, 사문학, 서학, 율학, 산학 등 모두 六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부에서 관장하였다.
3. 예종 4년(1109)에 국자감에 七齊를 두어 문무교육을 장려
4. 예종 14년(1119)에는 襄士의 일과 그 비용을 전담하는 기구인 養賢唐을 세워 국자감 발전에 도모하 였다.
(2) 교육목적 : 문치주의에 입각한 유고의 투철한 인재의 양성
(3) 교육내용
1. 국자학, 태학, 사문학
ㄱ. 논어와 효경은 필수
ㄴ. 주역, 상서, 주례, 예기, 모시, 춘추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2. 율학에서는 율력, 산학에서는 산술을 가르침
(4) 입학자격 : 육학에 따라 입학자격을 엄격히 제한하였다.
(5) 국자감의 직제
1. 관리직 : 판사(예종 때 대사성으로 개칭), 제주, 사업
2. 교수직 : 국자학, 태학, 사문학에서는 박사와 조교를 두었고, 율,서,산학에는 박사만 두었다.
(5) 특징
1. 문묘(文廟)를 세움으로 우리나라 국학향사(國學享祀)의 시초가 되었다.
2. 현종 11년에 최치원, 13년에 설총을 문묘에 배상하고 우리나라 선현들에 대한 제사를 지냈다.
고려의 과거제도
(1) 광종 9년(958) 후주인 쌍기의 건의에 의해 국가인재 등용의 제도로 성립되었다.
(2) 한림학사 쌓기는 우리나라 최초의 지공거(知貢擧), 즉 시험관이었다.
(3) 고려의 과거제도에는 무과가 없었으며, 양민이며 누구에게나 응시자격이 부여됨
(4) 과거제도의 시초는 신라의 독서삼품과이나 본격적인 과거제도는 고려시대이다.
(5) 좌주문생제도(座主門生制度)
1. 시험관
ㄱ. 지공거 : 시험관, 상학사
ㄴ. 동지공거 : 차석시험관, 부학사
ㄷ. 학사 : 기타 시험관
2. 시험관과 급제자의 관계가 새로 생기게 되었는데 이를 좌주문생제도라 칭했으며, 부자관계의 예로 지속되었다.
조선시대 교육의 개요
(1) 조선시대의 교육은 유교중심의 유교주의가 지배적이었다.
(2) 유학의 학풍
1. 춘추전국시대에 공자와 맹자에 의해 성형되었다.
2. 전한과 후한시대에는 경전 중심의 자구해석과 경전 암송을 중시하는 훈고학적 성격을 지닌 경학(經 學)으로 발전하였다.
3. 수, 당 시대에는 유교뮨화로 연결되었고
4. 송, 명 시대에는 우주론과 인성론을 중시하여 경전의 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의리학적 성격을 띤 성리학으로 발전되었다.
(2) 성리학에 기초한 윤리철학을 교육철학으로 삼았다.
(3) 조선후기에는 실학이 교육사상의 주류를 이루었다.
(4) 성리학은 존심양성과 궁리를 수양강령으로 삼아 선인의 양성을 목표로 삼고 궁극적인 최종의 목적 은 성현의 자리에 도달한다는 지어지선(至於至善)에 두었다.
(5) 수양강령 : 궁리와 치지, 정심과 성의, 중화와 성명, 신독과 경정이었다.
성균관 (조선시대의 관학)
(1) 성립 : 태조 7년(1398)에 건립된 최고학부의 교육기관
(2) 교육목적 : 인재양성과 선현, 선성에 제사, 고급관리의 배출
(3) 입학자격 : 생원과 진사를 원칙, 정원이 미달될 때 四學의 우수자료 보충
(4) 교육내용
1. 정주학(程朱學)의 봉독을 기본활동으로 삼음
2. 교육과정은 七齊之法을 주과정으로 삼음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서, 시, 춘추, 예기, 역을 특성에 따라 齊로 편성하여 단계적으로 학습)
(5) 성균관의 학칙(학령) : 국초에 제정된 것으로 성균관의 제반활동이 규제되어 있음
(6) 양현고 : 학생들의 식료, 일용품을 담당하는 유생의 장학기관
(7) 성적의 평가방법
1. 대통(大通) : 제서에 통달하여 최고의 경지를 이룸
2. 통(通) : 일서의 강령 취지를 개괄하여 윤회한 자
3. 약통(略通) : 일장의 대의를 잘 아는 자
4. 조통(租通) : 일장의 대의를 알기는 하지만 미숙한 곳에 있는 자
(8) 성균관의 제원
1. 기능에 의거 문묘비(제사의 비용)와 양현비(양사의 비용, 교육비)로 분류
2. 학전(學田)에 의한 전조(田租) : 학전을 주종으로 한 수세수입
3. 사예(賜豫)에 의한 공물의 이전 취득 : 교부금 또는 보조금과 같은 이전 수입과 임시영달금
4. 노비신예 : 성균관에 속하는 노비들이 바치는 공물
사부학당 : 四學 (조선시대 관학)
(1) 발전과정
1. 4부학당의 제도적 시초는 고려 원종 2년(1261)에 설립된 동서학당이다.
2. 4부학당은 태종 11년(1411)에 설립된 중등교육기관으로 남부학당을 시작으로 중부, 동부, 서부에 설 립되어 4부학당을 이루게 되었다.
(2) 교육의 목적 : 내용과 방법은 성균관과 유사하나 그 수준이 낮았다. 성균관 부속학교적인 성격을 지 닌다.
(3) 입학 대상 : 양반집의 자제와 민중의 자제들 중에서 선발된 자로 정원은 각 학에 100명이다.
(4) 특징
1. 문묘를 갖지 않는 점이 성균관이나 향교와는 다르다.
2. 30개월간 근무시키는 교원근속법인 교관의 구임법(久任法:근속법)을 시행하였다.
3. 성균관에 예속된 학교로서 성균관 관원이 교사로 파견되었다.
4. 성균관, 사헌부, 예조 등 국가로부터 감독을 받았다.
5. 기숙사 제도
6. 학비는 모두 관급이었으며, 소학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쳤다.
향교 (조선시대의 관학)
(1) 향교의 개요
1. 고려 때부터 관학기관으로 세워진 것으로 조선시대에 와서 교육적 기능이 강화된 지방의 중등교육 기관이다.
2. 지방재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일명 교궁, 재관이라고도 불렸다.
3. 성균관과 같이 문묘기능과 교육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교화와 향풍순화 등의 사호교육적 기 능도 가지고 있다.
(2) 설립목적 : 성현에 대한 제사, 지방유생의 교화, 관리진출의 수단
(3) 교육내용 : 소학, 사서, 오경이 중요한 교과
(4) 특징
1. 감독책임은 관찰사와 수령이었다.
2. 규모는 작지만 성균관의 규모를 축소해 놓았다.
3. 향교의 재원은 국고에서 지급하는 학전이었다.
잡학교육(조선시대의 관학)
(1) 잡과교육은 관야에서 실시한 지금의 실업교육, 기술교육이었다.
(2) 형식적인 교육기관이 따로 없으며 중앙과 지방이 소관관청 하에서 교육을 실시하였다.
(3) 교육내용으로 역학(譯學), 율학, 의학, 산학, 음양학, 이학, 악학, 서학, 도학
(4) 식년시나 증광시 같은 과거제도를 두어 여기에 합격하면 하급관리로 임명하였다.
書堂 (조선시대의 私學)
(1) 발전과정
1. 서당의 기원은 '고구려의 경당'에 둘 수 있다.
2. 서당은 전국적으로 산재한 범계급적 초등교육기관이었다.
(2) 서당의 조직
1. 訓長, 接長, 學徒로 구성
2. 접장
ㄱ. 연령이 높고 학력이 우수한 학생을 접(단체)의 장으로 삼아
ㄴ. 자신이 직접 훈장에게 배우면서 학력이 낮은 학생을 가르치게 한 제도
ㄷ. 영국의 조교제도와 일맥상통한다.
(3) 서당의 유형
1. 훈장자영 서당 : 훈장 자신의 생계유지 혹은 교육취미로 세운 서당
2. 유지독영 서당 : 유지 혼자서 급비를 담당하고 이웃 자녀에게 동냥공부를 허용
3. 유지조합 서당 : 몇몇 개인이 조합하여 훈장을 초빙하고 조합원 자녀만 교육
4. 촌락조합 서당 : 촌 전체가 조합하여 촌락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서당
(4) 서당의 교육방법 : 개별지도와 완전암송
(5) 서당의 특징
1. 사설 초등교육기관이었다.
2. 사학과 향교입학을 위한 예비교육이었다.
3. 서민자제에게도 교육의 기호가 부여되었다.
(6) 서당의 교육사적 의의
1. 국민교화 기능을 하였다.
2. 직접 대면을 통한 전인교육이 실시되었다.
3. 서당의 접장제도는 영국의 lancaster 조교학교와 일맥상통한다.
4. 일제시대에는 국민교화 기능과 독립의식을 고취시켰다.
권근의 교육사상 (조선 전기의 교육사상가)
(1) 교육의 목적 : 인재양성에 두고 공(公:정직), 근(勤:충실), 관(寬:인후), 신(信:신의)의 四德을 교육의 근간으로 삼음
(2) 교육방법
1. 근소를 먼저하고 원대를 나중에 하라는 심리학적 방법의 사용
2. 정성 : 가깝고도 먼 것을 안으로 구하는 방법으로 군자의 실천방법
3. 양(陽) : 가깝고 먼 것을 밖으로 구하는 방법으로 어리석은 자의 방법
(3) 주요저서
1. 권학사목 : 소학을 모든 교육의 기초로 삼자는 내용
2. 입학도설(入學圖說 : 1390년)
ㄱ. 익주 유배지에서 중용과 대학을 가르치기 위해 만든 40종의 교수용 도표로써 성리학의 교재인 동시에 시각교재이다.
ㄴ.도표를 사용하여 시청각 교육의 효과를 기대한 시청각 교육의 시초로써 선, 형, 색 등을 조화있 게 구성하여 중요한 요점과 전체관련 계통을 알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ㄷ. Comenius의 <세계도회>에 비견될 수 있으나, 세계도회보다 268년이나 앞선다는 세계교육사적 의의도 가지고 있다.
3. 향학사목 : 사학교사의 관학채용 금지, 아동의 강제 관학 이동금지에 관한 내용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1) 교육이념
1. 도산서원을 통한 실천적 교육자로서 교육이념을 성리학적 도덕인 양성에 두었다.
2. 敬의 사상을 주장하였으며, 경(敬)을 知와 行의 통일원리로 규정하였다.
3. 이기이원론의 입장에서 이존기비(理尊氣碑)를 주장하였다.
(2) 교육목적 : 개인의 심술을 계명하고 기질을 변화시켜(기질변화설) 성현을 배우게 함 (仁을 체득한 사람)
(3) 교육방법
1. 피교육자의 개성을 존중하여 잠심자득(마음을 고요히하여 깨닫는 방법)을 강조하였다.
2. 학문적 태도는 철학적 사색을 학문의 출발점으로 삼아 연역적 방법을 강조하였다.
(4) 교육적 인간상 : 성현을 이룸 (作聖)
(5) 교육적 내용 : 주자대전(朱子大全)을 입도의 문이라 하여 제일로 추천
(6) 주요 저서 : 聖學十道, 太極道設, 이산원규, 천명도설서, 유사학사생문
(7) 퇴계의 교육관은 Sprang의 도야의 이념과 유사하다.
퇴계 - 氣의 人, 理의 人, 敬의 人
Sprang- 개성, 보편성, 전체성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1) 교육사상
1. 立志와 誠, 민본주의로 집약될 수 있으며, 기발이승일도설 주장
2. 민중교화와 사회계몽에 힘씀
(2) 교육적 인간상 : 겸손한 능력인, 평등한 인간
(3) 교육이념
1. 立志 : 뜻을 세우는 일을 인간형성의 첫 번째 요건으로 중시
2. 明知 : 궁리명선을 뜻하며, 밝게 알기 위해서는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
3. 力行
ㄱ. 궁행과 독행으로 경세재민과 민본, 사회정의를 의미한다.
ㄴ. 힘써 실행함이라는 뜻으로 진보주의의 '교육은 생활이다'는 신념의 생활중심교육과 일맹상통한 다.
(4) 교육의 목적 : 성인을 준칙으로 하였으며, 경세재민 정치를 통한 교육국가의 건설
(5) 교육방법 : 학교모범, 소아수지에 자세히 규정
(6) 주요저서
1. 학교모범 : 16조로 구성된 학생수양에 관한 훈규, 청소년을 위한 교육지침 내지는 생활지침이다.
2. 성학집요 : 8권으로 구성된 제왕의 학을 위한 편술
3. 학교사목 : 교ㅗ사와 학생의 인사문제를 다룸
4. 격몽요결
ㄱ. 성인교육을 위한 강령으로써 교육목적과 학습조항이 나타나 있음
ㄴ. 궁리, 정심, 수기, 치인의 도리에 관하여 하나하나 함께 알아서 실행
ㄷ. 학습하는 자세 : 입지, 혁구습, 지신, 극기, 상제, 제례, 처사 등에 관해 언급
5. 소아수지 : 아동교육을 위한 소학학규로서 17개조로 구성
6. 기타 : 자경문, 경세제민, 인심도설서, 10만 양성설, 만언봉사, 향약 등
(7) 이이의 저서에 나타난 교육사상
1. 소아수지 : 아동교육을 중시
2. 학교모범, 격몽요결 : 국민교화 내지 국민교육사상
3. 성학집요 : 군주교육사상
4. 향약 : 민본주의에 기초한 사회교화사상
조선후기의 실학교육
(1) 실학의 특징
1. 현실에서 동떨어진 공리공론의 허구에 급급했던 당시의 학문연구 방법을 지양
2. 일반생활에 입각한 실사구시의 강조
(2) 실학교육의 교육사적 의의
1. 참다운 학문이란 학문을 통해서 궁리정심, 수체치평의 효(效)와 채국혜민의 목표를 두는 것
2. 기존의 교육제도의 쇄신과 과거제도의 개선을 통해 출세지향적 사회관념을 타파
3. 공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단계적 학제를 주장하였다.
유형원의 교육사상 (조선 후기의 교육사상가)
(1) 교육이념 : 신분제 타파를 전제로 한 교육의 기회균등 주장
(2) 새로운 학제 구상 : 향상, 방상, 읍학, 사학, 영학, 중학, 태학
(3) 교육의 목적
1. 향상, 방상 : 초등교육기관으로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교육의 기회균등
2. 읍학, 사학 이상의 학교 : 관리양성을 목적으로 신분에 구애됨이 없이 전액 국비교육을 주장하였다.
(4) 교육개혁
1. 공거제안을 제창
2. 공거제안의 특징
ㄱ. 과거폐지의 대안으로 제시
ㄴ. 학교교육의 내실화를 기함
ㄷ. 학교교육과 관리선발의 일원화를 주장
ㄹ.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입학이 허용 (학제의 능력주의)
(3) 교육사상의 특징
1. 신분제 타파를 전제로 한 교육의 기회균등
2. 사회교화(향악)를 학교교육으로부터 분리 주장
3. 학교교육을 취재의 과정으로 봄
4. 반계수록 집필 : 사회개혁, 사회부조리의 부당함을 지적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1) 교육이념 : 실학사상에 기초하여 실용인의 육성을 교육이념으로 내세웠다.
(2) 교육적 인간상
1. 수기(修己)와 위천하인상(爲天下人像)으로서 실용인
2. 수기와 위천하인상은 미국의 재건주의 사상의 사회적 자아실현과 유사
(3) 교육방법 : 실천성을 강조하고 2천자로 된 아학편(兒學 )을 천자문의 대안으로 제시하여 교육이론 을 구현하려고 하였다.
(4) 주요저서 : 아학편,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 교육사상의 특징 종합
1. 실용인을 교육적 인간상으로 추구
2. 교육목표 : 孝, 制, 慈에 두었다.
3. 천자문의 대안으로 아학편을 제시하였다.
4. 교육적 인간상으로 위천하인상은 재건주의의 사호적 자아실현인과 유사하다.
5. 학문의 근원을 성의(誠意)와 신독(愼獨)에 두었다.
6. 교육폐단을 개선하려고 노력하였으며, 교육은 지적육성보다는 사람 만들기에 힘쓸 것을 주장하면서 천자문의 비교육서을 비판하였다.
7. 중화사대주의 사상의 탈피를 위해 국사교육을 강조하였다.
근대교육의 개요
(1) 민족주의의 대두
1. 학교교육을 통하여 국가진흥을 이룩햐여 하였으며,
2. 학생들로 하여금 한민족의 역사를 올바로 인식케하였다.
(2) 교육입국의 이상 대두 : 교육으로 나라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기풍이 일어났으며, 고정의 교육입국 조서가 발표되었다.
(3) 동학사상의 영향
1. 계급제도의 부정, 인류평등의 강조, 인내천과 보국안민을 근간으로 삼음
2. 교육사적으로는 인간의 존엄성을 자각케 하였고, 근대적 국가관념의 형성에 기여했다.
(4) 근대 교육사상의 근간 : 교육의 기회균등, 외국어 교육, 실업교육
(5)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에 의하여 근대학교가 설립되었다.
(6) 근대교육의 특징 종합
1. 각종 외국어 학교가 설립되었다.
2. 남녀 구별 없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었다.
3. 조선시대의 관학, 사학의 형태를 벗어나 근대학교가 설립되었다.
4. 교육을 통한 민족의 자주정신, 항일정신을 고취시켰다.
5. 외국어 교육, 교원양성, 실업교육에 치중하였다.
고종의 교육입국조서
(1) 대두배경
1. 1894년 갑오경장의 영향으로 1895년 고종이 반포
2. 조선사회의 봉건적 전통의 탈피, 근대 국가로의 체제를 향한 새로운 정치윤리와 사회윤리의 도모
(2) 교육입국조서의 내용
1. 교육의 3대 강령으로 덕육, 체육, 지육을 제시함으로 전인적 교육목표 제시
2. 교육구국운동의 기치를 내세움
3. 경전 중심의 교육을 지양하고 국사와 국문을 강조, 근대 교육이념의 교과를 지향하는 노력을 보임
4. 개화입국의 도로써 교육의 중요성 강조, 외국의 예를 들어 교육의 의무화를 계몽
5. 학비환입조규를 발하여 학교교육 도중에 퇴학생의 발생을 발적으로 금지시켰다.
(3) 교육입국조서의 교육사적 의의
1. 근대 학제의 확립과 민주교육이념의 구현에 기여
2. 국민교육의 권장과 민족주의 교육의 생성을 가능케 함
3. 근로와 역행의 습성을 기를 것을 강조하였다.
4. 3육론을 강조하였다.
근대의 관, 공립학교
(1) 영어학교 : 1883년 뮐렌도르프와 할리팍스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근대학교로서 일명 통변 학교(通辯 學校)라고도 불렸다.
(2) 육영공원(育英公園)
1. 육영공원의 개요
ㄱ. 1886년에 세워진 '최초의 근대적 관학'으로써, 조선정부가 교육근대화를 위해 주체적으로 설립하 였다.
ㄴ. 국가에서 세운 관려학교로써 신학문을 가르쳤다.
2. 교육의 목적 : 영여교수
3. 한학규제를 적용하여 졸업생은 특별과 과거를 보아 등용하였다.
4. 1894년 갑오개혁으로 폐교되었다.
5. 육영공원의 교육사적 의의
ㄱ. 전통적인 구교육에서 신교육으로 발전하는 교량적 역할을 담당
ㄴ. 최초의 근대적 서양교육, 근대적 관학이었다.
(3) 소학교
1. 1895년 '소학교령'과 '학부령 제3호'에 의해 근대적 소학교의 기반이 마련
2. 1896년 '초등공립학교규제'를 공포하여 공립소학교에 대한 국고보조금을 법적으로 강화
(4) 중학교
1. 한성사범학교관제 : 1895년 우리나라 최초의 학교법규
2. 관립한성사범학교 : 우리나라 최초의 사범학교(1895.4)로써 신교육을 담당할 교원양성을 위해 설립되 었다.
3. 한성중학교 : 1899년 중학교관제의 규칙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중학교
원산학사와 민족사학의 정신
(1) 원산학사
1. 1883년 덕원 읍민들이 세운 '최초의 근대적 사항'이었다.
2.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사학을 우리의 손으로 설립했다는 자부심을 갖게 한다.
3. 백성들의 자발적인 힘에 의해 설립된 사학이다.
4. 전통적인 교육기관인 서당을 개량서당으로 발전시켜 이를 근대학교로 발전시켜 설립함으로써 전통 을 계승하였다.
5. 외세에 부딪히는 지방에서 정세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6. 실학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2) 민족사학의 정신
1. 국권회복을 위한 민족지도자의 양성
2. 배일애국교과에 의한 민족의식 고취
3. 과외활동을 통한 애국사상의 함양
4. 교육실천을 통한 항일운동
근대 각급 학교의 공통적인 특징
(1) 학제의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소학교->중학교->전문학교->대학교)
(2) 근대적 교육과정을 수용하였다.
(3) 초등교육의 의무화에 공헌하였다.
(4) 기회균등의 원칙하에 교육민주화에 공헌하였다.
(5) 외국어 교육, 실업교육, 교원양성에 치중하였다.
(6) 민족주의 교육을 생성, 전개하였다.
(7) 관학의 건학정신은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이었다.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
(1) 학교설립 : 점진학교, 대성학교 설립, 흥사단 조직
(2) 교육신조
1. 교육이념 : 자아혁신, 무실역행, 점진공부를 기초로 특히 자아혁신과 민족개조를 강조
2. 인격혁명을 이룩하면 자주독립이 성취되며, 자주독립을 위해서는 '힘을 기르소서'라는 힘의 철학을 강조
3. 교육목적 : 건전한 인격
1. 튼튼한 몸 : 건전한 육체에서 건전한 정신이 나온다하여 지육보다 체육을 강조
2. 직업교육의 강조 : 일인일기의 교육 강조
3. 인간다운 도덕적 품성의 도야 : 덕성을 기르기 위해 무실, 역행, 충의, 용맹의 4대 정신을 강조 하였다.
(4) 교육방법
1. 성실성 : 정성 것을 생활신조로 교육적 인간상을 무실역행의 성실인 제시
2. 점진성 : 공부하는 정신과 태도로 점진주의를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