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치볼과 투수의 투구 2가지 느낌은 다르다 여기에서 알아보자
캐치볼 할 때는 게시판 아래 글에서 체중을 균등하게 앞발과 뒷발에 50:50로 하고 던지라고 했다 상체의 앞으로 나가려는 힘에 의해서 체중은 디딤발에 자연스럽게 더많이 버팀발보다 옮겨진다고 하였다
투수가 제구가 안 될 때는 다리를 최대한 앞으로 뻗는, 체중을 버팀발에 남겨두고 기본적인 동작부터 다시 해보자(투구폼을 만들다 보면 기본을 잃을 수가 있다=짧은 스트라이드, 머리를 배꼽에 두려고 너무 의식한 나머지, 스트라이드과정에서 어께를 수평으로 맞추려고 하는 동작에서, 엉덩이 밀기에서 머리를 인위적으로 버팀발에 잡아두려는 의지에서, 스트라이드과정에서 독특한 투구폼을 만들기 위하여 스트라이드과정에서 어께를 버팀발 쪽으로 기울려는 의식 등 모두가 기본을 흩뜨려놓는 투구 폼이다)
투구할 때도 아래의 사진 내용처럼1번째 사진 (싸이프레스 야구마스터가이드 103페이지 출처) 스트라이드를 하고 디딤발이 착지할 때 모든 체중이 버팀발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아니하고 어께를 수평으로 맞추려고 또는 머리를 배꼽위에 두려고 의식하다보면 대부분 스트라이드를 거치고 디딤발이 지면에 착지할 때 체중이 조금이라도 디딤발에 싣다보면 대부분 제구가 안 된다
제구가 안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디딤발 착지할 때 디딤발에 체중을 싣다보면 상체가 불안정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상체가 앞으로 튀어나가게 되어 제구가 좌나우,뜨는공,땅바닥에 꼽는 공, 슬라이스성손동작, 팔꿈치가 스틱포지션과 릴리스에서 팔꿈치가 떨어지면서 제구가 되는 것 등 모든 원인이 된다)
공이 뜨거나 타자를 맞추는 데드볼, 아래로 꼽는 공, 위로 뜨는 공이 나온다.
스트라이드가 길든 중간이든
짧든 디딤발 착지에서 모든 체중을 버팀 발에 두어야 한다.
또한 스트라이드길이에 따라 공의 구질이 달라질 수 있다
스트라이드가 길면 낮고 빠른공을 던 질수 있고
스트라이드가 짧을수록 공이 높게 날아가기 때문에 변화구에 이득이 될 수 있다
스트라이드 길이에 따른 구질 연구는 개인이 많이 던져보고 자신에 맞는 투구폼을 찾으면 된다
그러나 체중이동 기본은 잊지말자
.
나머지 사진은(삼호미디어 투수가이드 44.45페이지, 일본사진) 참고용으로 출처했습니다.
1번째 사진 (싸이프레스 야구마스터가이드 103페이지 출처)을 보게 되면
앞발에 체중을 싣고 자세를 취하고 체중을 뒷발로 옮기면서 테이크백을 한다.
다시 앞발로 체중을 옮기면서 던진다.
마지막에는 앞발에 모든 체중을 싣는다.



첫댓글 다리를 최대한 벌려놓고 디딤발과 버팀발의 체중이동방법의 느낌을 알고 실제 투구폼을 했을 때도 두발을 벌려놓고 하는 체중이동의 느낌그대로 하자
다리를 벌려놓고 했을 때 체중이동 느낌과 실제 투수가 투구를 했을 때 투구동작에 의해서 체중이동 감각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다리들기와 엉덩이밀기,스트라이드과정에서 버팀발에 체중을 잡아 둘 때에는 모든 동작을 자연스럽게 맞기자 인위적으로 머리를 고정하려말고,어께를 인위적으로 기울이지말고, 수평으로 인위적으로 맞추려고 하여도 스트라이드를 끝내고 디딤발을 찾지할 때 디딤발에 체중이 갈수 있다
사람의 신체는 가지각색이다 키가 크거나 신체가 장사 타입이나 어께길이가 짧거나 길거나
동영상을 보게되면 동영상과 실제로 던지는 투구폼이 착시현상이나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또한 특정투구폼을 만들었다고 하여도 짧은 시간에 육체는 기억하지 못하여 제구가 안될 수도 있다
특정 구폼을 확실하게 자기 것으로 만들지 않았다면 위의 내용처럼 기본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매우중요=평지에서는 제구가 되는데 마운드에 올라가면 공이 뜨거나 우나 좌측으로 공이 날아간다면
경사진 마운드 때문에 상체가 무너져서 발생하는 것이다
평지에서 던진 팔각도 보다 더 낮추면 상체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제구를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