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가(靑山歌).
靑山兮要我以無語(청산혜요아이무어) / 청산은 날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창공혜요아이무구) / 창공은 날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료무애이무증혜) / 미움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 물같이 바람같이 그렇게 살라하네.
나옹선사
-----------------------------------------------------------------------------------------------------------------------------------------------------------
고려 말의 뛰어난 고승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1376)의 이름은 혜근(慧勤)이다.
법호는 나옹, 호는 강월헌(江月軒). 선사의 나이 21세 때 문경 공덕산 묘적암(妙寂庵) 요연선사(了然禪師)께 찾아가 출가했다.
그 뒤 5년 후 양주 회암사에서 밤낮없이 정진하다가 홀연히 깨달음을 얻었다. 1347년에는 중국 원나라로 들어가 연도(燕都)의 법원사(法源寺)에 머물고 있던 인도 출신인 지공(指空) 스님을 만나 법을 들은 뒤 다시 정자사(淨慈寺)로 가서 평산처림(平山處林. 1279~1361 臨濟의 법을 이어받은 중국의 고승)의 법을 전해 받고 불자(拂子)를 받는다.
1358년에 다시 지공을 만난 뒤 고려로 귀국한다. 1361년에는 공민왕의 부름을 받고 궁중에 들어가 내전에서 왕을 위하여 설법하고 왕과 왕비로부터 가사와 불자를 하사 받고 왕사가 된다. 여주 신륵사에서 우왕 2년(1376)에 세수 57세 법랍 37세로 입적하였다.
열반 이후의 다비 과정에서 산이 방광(放光)하며 감로비가 내리고 신룡이 나타나며 사리가 분신하여 증과 하는 등 이적(異蹟)이 속출하였다. 이로 인하여 나옹에 대한 추모 열기가 전국을 휘몰아치게 되고, 마침내 조선초에 이르러서는 붓다의 후신으로까지 평가되며 신성화되기에 이른다. 나옹의 법맥을 무학자초(無學 自超) 대사가 이어받아 이성계의 조선 개국에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지공 스님과 나옹과의 관계는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불광출판사)를 펴낸 자현(玆玄·47) 스님의 책을 통해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려말 선초(麗末鮮初), 붓다의 후신으로 존숭(尊崇) 받은 나옹이 남긴 선시를 통해 느껴지는 일면목과 한국 선불교의 올바를 이해와 마음속 청정(淸淨)을 느껴본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