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두리: 북한 지역에는 지하자원이 많다고 하는데 정말이야?
-풍우리: 그래, 북한에는 다양한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지. 경제적으로 유용한 광물만도 220여종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매장량을 살펴보면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광물만도 중석, 몰리브렌, 흑연, 중정석, 형석 등 7종이나 된단다.
-진두리: 남한과 비교해볼 때도 엄청난 양이겠군.
-풍우리: 그럼, 금, 은광을 비롯한 광물자원의 70% 이상, 철광은 90% 이상이 북한 지역에 편중되어 매장되어 있어. 마그네사이트는 한국에서는 전혀 생산되지 않고 있는데 반해 북한은 세계 최대 수준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 사실 부존자원이 이렇게 편중되어 매장되어 있기 때문에 남한은 대부분의 자원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반면, 북한은 광물을 주로 수출하여 자급을 실현하는 정책을 취했단다.
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현황 ...............................................(단위 t).. |
광물자원 |
매장량 |
분포 지역 |
철 |
20~40억 |
함북무산, 함북이원.허참,황남 은율. 재령, 평남 개천 |
중석 |
20만~30만 |
황북 신평, 평남 대흥.양덕, 평북 창성 |
몰리브덴 |
1천~3천 |
황천 수안, 함북 온성,강원 금강 |
망간 |
10만~30만 |
함북 부령, 강원 금강 |
니켈 |
1만~2만 |
함남 정평, 함북 나진 |
석탄 |
무연탄 117억, 유연탄 30억 |
평남 순천.덕천.개천.안주.평북 구장, 함남 고원, 함북 새별 |
아연 |
1천만~2천만 |
함남 단천, 평남 성천.개천, 자강 용림. 송원.위원 |
금 |
1천~2천 |
평북 동창.운산, 황북 수안.연산, 함남 허천, 강원 금강 |
은 |
3천~5천 |
금 생산지와 동일 |
마그네사이트 |
30억~40억 |
함남 단천, 양강 백암.운홍 |
석회석 |
1천억 |
함북 회령, 함남 고원 |
<자료:조선중앙년감>. 자료출처 : 대한광업진흥공사 북한자원정보 |
-풍우리: 우리 대표적인 지하자원인 철광석과 석탄을 자세하게 알아볼까?
-진두리: 철광석?
-풍우리: 철광석은 주로 함북의 무산, 함남의 이원, 황해도의 은율과 재령, 평남의 개천 등지에서 생산되지. 그리고 여기서 생산된 철광석은 청진, 성진, 송림 등지에서 제철된단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off.kbs.co.kr%2Feditor%2Fuploads%2F2006%2F06%2F28%2F44a1da45cab2a.gif) |
<북한의 철강산업 분포지도> |
-풍우리: 세계적인 수준의 무산철광산은 2000년 한해동안 300만톤의 자철광을 생산하는 북한 경제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지. 이 광산에서 생산된 철광은 전부다 100km떨어져 있는 청진시 김책 제철소까지 운반되어 북한 제철산업의 원동력이 되고 있어.
-진두리: 굉장한걸. 그럼 석탄은 어떻지?
-풍우리: 석탄은 에너지원 및 공업원료로서 화력발전소, 공장, 철도, 선박,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사용범위가 다양하여 경제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자원이야. 특히 80년대 중반 이후 석탄생산은 공업에서 한층 중시되었단다. 북한의 석탄 매장량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추정치가 있는데, 확인된 매장량은 230억톤이고, 이 중 무연탄은 약 150억톤, 갈탄 등 유연탄은 80억 톤으로 비율은 약 2대 1이야. 북한에서 생산되는 유연탄은 갈탄이고, 제철공업에서 사용되는 역청탄은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북한이 금속공업이나 철강공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역청탄을 전량 수입할 수밖에 없어.
-진두리: 각각의 생산지를 알고 싶어.
-풍우리: 북한에서 석탄은 황해안의 평안남도 일대와 동해안의 함경북도 일대의 2개 지역에 대부분 매장되어 있어.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off.kbs.co.kr%2Feditor%2Fuploads%2F2006%2F06%2F28%2F44a1da5a55818.gif) |
<석탄자원의 분포지도(이기석, 2001, p.70)> |
-풍우리: 무연탄의 90%는 평안남도 일대에 매장되어 있고, 최대의 무연탄 생산지는 덕천지구, 순천지구, 개천지구 등 평남 북부 탄전이며, 이 지역은 매장량과 산출량에 있어서 2/3를 점하고 있어. 평양 주변의 대동, 강서, 강동 등 대동강 연안의 평남 남부탄전은 매장량의 2/5, 생산량의 1/10을 점하고 있지. 그밖에도 동해안에 있는 고원탄전이 크지. 갈탄은 평안남도의 안주지구와 아오지에서 길주, 명천에 이르는 지대인 함북 탄전이 주요 탄전이라고 할 수 있지. 그리고 황해북도의 사리원에서도 생산이 되고 있어.
-진두리: 이렇게 다양하고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북한은 광공업을 발달시켰을 것 같은데?
-풍우리: 그래. 맞아. 북한의 풍부한 광물자원은 일제시대부터 주목을 받아 북한에는 일찍부터 공업지구가 형성되었어. 동해에는 원산-함흥-청진-나진을 연결하는 동해안 공업지역이 있는데, 일제강점기부터 공업이 발달했지. 인구, 자원, 전력 등 입지 조건은 우수해서 주로 중화학 공업 위주로 발달하였는데, 광복 후에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었어.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off.kbs.co.kr%2Feditor%2Fuploads%2F2006%2F06%2F28%2F44a1da6bd4768.gif) |
<북한의 공업지구(이기석, 2001, p.85)> |
-풍우리: 그 외에도 청진, 나진, 웅기, 아오지 등을 중심으로 하는 청진공업지구는 함북북부탄전의 석탄과 무산의 철광석, 청진 부근의 니켈 등을 바탕으로 제철, 기계, 화학 공업 등이 발달했어. 김책공업지구는 길주, 명천, 이원, 단천 등지의 갈탄, 철광석, 마그네사이트 등 지하자원과 배후지의 임산자원을 바탕으로 제철, 제강, 기계, 제지, 펄프, 합판공업이 발달하였지. 그리고 함흥공업지구는 풍부한 무연탄 등의 원료와 전력을 바탕으로 비료, 화학 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원산공업지구는 석탄을 바탕으로 기계, 조선, 제련, 식품, 시멘트 공업이 발달했어.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off.kbs.co.kr%2Feditor%2Fuploads%2F2006%2F06%2F28%2F44a1da7c6696b.gif) |
< 김책제철연합기업소> |
-진두리: 관북지방 뿐 아니라, 관서지방도 공업이 매우 발달했다고 들었어. 북한 최대의 공업지역이라고 하던데?
-풍우리: 그래 맞아. 앞서 살펴본 것처럼 관서지방은 한반도에서 지하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야. 게다가 남한에 비해 자원의 질이 좋고 채굴하기도 쉬워 일찍부터 개발되었지. 지하자원과 석탄을 비롯한 동력자원은 관서지방이 북한 최대의 공업지역으로 발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어. 또한 개성-평양-신의주를 연결하는 황해안의 공업지역은 노동력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교통이 발달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지. 희천-강계-만포를 연결하는 또 하나의 공업지역 축은 북한정권 수립 후에 조성된 신공업지역이야. 인구, 교통면에서는 산업입지로 부적합하지만, 내륙에 위치하고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접근이 어려운 관계로 군수산업이 집중되어 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