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불순물 시험 (모래의) |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모래 속에 함유된 유기 불순물의 해로운 양을 개략적으로 결정하는 시험. | organic impurities test (sand) |
응 결 | 시멘트에 물을 가하여 반죽 혼합하고 나서 어느 일정한 시간을 지난 다음, 수화작용으로 인하여 유동성을 잃어 단단해지는 것. | set |
인장 강도 | 공시체가 견디는 최대 인장 하중을 공시체의 인장하중에 수직인 단면적으로 나눈 값 또는 KS F 2423에 따라 구한 값. | tensile strength |
입 도 (골재의) | 골재 대·소립의 분포상태(KS F 2502 참조). | grading (aggregate) |
잔골재율 | 콘크리트 속에 전 골재량에 대한 잔 골재량의 절대 용적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 | sand percentage |
절대 건조 비중 (골재의) |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무게를 같은 용적의 물의 무게로 나눈 값. | specific gravity in absolute dry condition (aggregate) |
절대 건조 상태 (골재의) | 100∼110℃의 온도에서 정질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골재립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제거된 상태. | absolutely dry condition (aggregate) |
점토 덩어리 시험 (골재 중의) | 공재 중에 함유되어있는 점토 덩어리량을 구하는 시험. | test for clay lumps (in aggregate) |
굵은 입자율 (골재의) | 80, 40, 20, 10, 5, 2.5, 1.2, 0.6, 0.3㎜ 및 0.15㎜ 그물체의 1조를 사용하여 체가름 시험을 했을 때, 각 체를 통과하지 않은 모든 시료의 무게 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값. | fineness modulus (aggregate) |
중 성 화 | 경화한 콘크리트가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을 받아서 점차로 알칼리성을 잃어가는 현상. | neutralization |
지압 강도 | 부분적으로 압축 하중을 받았을 때, 견디는 최대 압축하중을 하중 작용면적으로 나눈 값. | bearing strength |
체가름 시험 | 골재의 입도 분포를 구하기 위하여 1조의 표준체를 사용하여 체가름하여 각 체를 통과하는 것 또는 각 체에 머문 것의 무게 백분율을 구하는 시험 (KS F 2502 참조). | sieve analysis |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 무게로 90% 이상이 통과한 그물체 중 최소치수의 그물체 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 | maximum size (coarse aggregate) |
캐 핑 |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표면을 적당한 재료를 사용하여 평활하게 마무리 하는 것(KS F 2403 참조). | capping |
크 리 프 | 응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탄성 변형 및 건조 수축 변형을 뺀 변형이 시간과 함께 증대하는 현상. | creep |
투수 시험 | 콘크리트 내부를 압력차에 의하여 물이 이동하는 속도를 구하는 시험. | permeability test |
표면 건조 비중 (골재의) | 표면 건조 포화수 상태의 골재의 무게를 같은 용적의 물의 무게로 나눈 값(KS F 2504 및 KS F 2503 참조). | specific gravity in satu- rated surface-dry condition (aggreg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