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홀수 文化에 대하여~
우리민족은 고근대사 (古近代史) 에서 명절 국경일 등 모두 홀수 문화를 체택 하였는데 살펴보면 의미가 있다. 홀수는 우리 民族 精神文化의 깊은 뿌리 인데 이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옛 시절부터 조선의 혼속에 묻혀 내려온 민족문화 였는데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넉넉한 관습 에서 얻어진 지혜의 유산으로 홀수는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넉넉하고 여유롭다.
그중에서도 특히 3(三)을 선호하고 있지만 1, 3, 5, 7, 9 모두가 우리 민족의 생활 속 깊이 맥을 내리고 있다.
우선 국경일이라든가 명절 날이 모두 홀수 날이다. 뿐만 아니라 때 맞추어서 돌아오는 절기가 거의 홀수 날에 들어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 (1월 15일), 삼짖날(3월 3일), 단오(5월 5일), 칠석(7월 7일), 백중(7월 15일)이 그렇다. 국경일도 그러하다.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국군의날 개천절 등틍 그리고 음력이든 양력이든 모든 절기가 대부분 홀수날에 들어있다.
9월 9일은 重陽節이라 하여 남자들은 시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전을 부쳤다. 천고마비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른다. 우리생활 속에서 찾아 보면 생활 곳곳에 뿌리 내린 3의 의미는 더욱 다양한 사실을 엿볼 수 있는데 사람이 죽으면 3일장 아니면 5일장을 치르는 게 보통이지 4일, 6일장은 없다.
역시 三虞祭가 있고, 49祭라는 추모의 날이 있는데 망자 앞에서는 홀수 날을 택하여 최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우리의 뿌리 깊은 전통이다. 심지어 제물을 올려도 홀수로 올리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는다. 돌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층으로 올렸을 때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면서 보는 마음을 편케 한다. 애기를 낳고 금줄을 쳐도 세이레 (三, 七日)동안은 출입을 금한다고 했다. 즉, 스무하루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는 삼신 할머니의 준엄한 고지이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두 자리 수가 아닌 이상 3만 원 아니면 5만 원을 넣었지 4만원 이라든가 6만원짜리 기부촌지는 보기 어렵다. 이렇듯 3 이라는 숫자가 삶의 곳곳에 축을 이루는 것 같다.
심지어 옛날에는 역적을 몰아낼 때 3족을 멸하는 끔찍한 징벌이 있었다. 이렇듯 3이라는 숫자가 예나 지금이나 우리들 생활 중심에서 축을 이루고 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 가려면 삼복을 견디어야 한다. 무리를 일컬어 삼삼오오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색이 근원이다.
상고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사이 있다고 하여 "삼신할머니" 라며 생명신으로 섬긴다. 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三才가 있다.
현대에는 시위문화에서 삼보 일배라는 투쟁방식이 새로 생겼는데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이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 이웃이라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 하면 술이 석 잔이요 못 하면 뺨이 석 대이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제를 실시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창까지 외쳐 대야 속이후련했다.
짝수는 죽은 者의 숫자란 말이 있고 홀수는 산 사람의 숫자란 말도 있다. 그래서 제사상에는 과일을 홀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된다.
불교에서는 하늘 땅 사람을 이르러 삼계라 하고, 천주교에서는 성신을 三位라고 한다. 삼박자가 맞아 떨어져야 목적한 것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다. 그러면 우리민족은 왜 홀수를 선호하게 된 것일까?
어쩌면 짝지어지는 것을 은연중에 밀쳐내고 살았는지 모른다. 즉, 딱 맞아 떨어지는 것, 아귀가 척척 맞아 떨어지기 보다는 좀 더 넉넉한 생활 습성에서 기인된 것은 아닐까 한다.
때문에 셋, 넷쯤을 말하는 것마저 서너개라고 했다 셋이라는 표현 보다는 같은 숫자이면서도 훨씬 더 넉넉해 보인다. 그 위에 한 개쯤 더 얹으면 더욱 좋고 한 개쯤 빠져도 아무유감이 없는 표현이다. 아마 덤 문화도 여기에서 기인된 것 아닐까 싶다.
정부에서 아무리 정찰제를 권장 해도 뿌리 깊은 덤 문화는 값을 깎으며, 실갱이하는 것에 실거래 값이 멕여진다. 그런 관습이 비록 저울에 근을 달아서 팔더라도 한 주먹 더 얹어 주어야만 서운치가 않지 그렇지 않으면 야박하다고 한다.
시조 문학에서 중창 첫 말이 3 이어야 한다는 이론도 시조 전체를 확고하게 받치고 있는 축의 역할이라고 하겠다. 그만큼 3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의 디딤돌이고, 구름판으로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다. 홀수를 좋아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3을 좋아하는 우리 민족은 홀수로서 넉넉함을 생활의 근본으로 삼고 있으며 그것이 어쩌면 德과 仁의 사상에서 유래된 것이여서 우리 민족의 소중한 역사와 문화이다.
우리속담에 삼시세판 이란 말이 있는데 안 되면 세 번까지 해서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