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의 / 최경민
옆자리가 그랬다
살아있으면 유기동물 구조협회구요
죽어있으면 청소업체예요
나도 알고 있다
지금 나가면
누울 자리를 뺏긴다는 걸
그래도 가야 한다
새벽에 하는 연민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반대편은 견딜 수 없을 만큼 불쌍했다고 말했다
불행히도 고양이는
새벽에 일어난 우리들보다
조금 더 불쌍하다
그래도
다 보고 올까요
죽어있는 것도
살아있는 것도
우리는 그러기로 했다
관할구역 끝까지 갔다
사실은 좋아하지 않는 걸 하는 게
기본 예의가 아닐까
생각하면서
◆당선소감 - 최경민 “민원 현장 그려내… 일상, 詩 내부로 들어와”
시를 쓰는 일이 절박하지 않아졌을 때 응답을 받았다는 기분이 들었다. 시가 다만 일상의 한 부분이 되는 것. 시를 무엇보다 우선했던 순간들이 빚었던 과잉들이 씻겨나가고 쓰는 행위만 남았을 때, 일상의 다른 부분들이 시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었다.
‘예의’를 쓰던 당시에 나는 주변 동료들로부터 수많은 민원의 사례들을 들었다. 그 사건들로 비롯된, 채 지면에 적을 수 없는 감정들을 소화해야만 했다. ‘예의’ 외 수록된 다른 작품들에서도 마찬가지의 과정이 있었다. 나는 일상에서 현장들을 맞닥뜨리고 그것들을 적어 보여주는 일에 몰두했던 것 같다.
시의 내부로 들어오는 생활을 밀어내지 않았다. 시 쓰기의 내부에 갇혀 있을 때의 고통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그것은 필요한 일이었지만 반드시 그래야만 했던 것은 아니었다. 중요한 일들은 아침에 눈을 쓸어내는 일, 식탁 위에서 맥주를 마시는 일, 소파에 누워 평소보다 일찍 눈을 감는 일. 시 쓰기는 이들 사이 어딘가를 횡단하고 있을 뿐이다. 시의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어서 나는 오래 시를 쓸 수 있었다.
심사평 - 안도현·유성호 “삶의 양면성 모두 품으려는 의지 담은 명편”
시상의 완결성과 시인으로서의 삶을 이끌어갈 가능성을 갖춘 최경민씨의 '예의'가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예의’는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삶의 양면성 가운데 어느 것도 소홀치 않게 대하려는 의지를 보여준 명편이다.
삶과 죽음의 현상 모두를 껴안고, 그 경계를 넘어, 모두 다 품고 넘어서는 것이 삶에 대한 예의임을 시인은 말한다. 이해하지 못하는 연민에도 불구하고 한없이 나아가고, 좋아하지 않는 것을 하면서도 끝까지 가보는 것은, 스스로와 타인을 동시에 향하는 예의일 것이다.
행간마다 큰 공간을 유지하면서 그 안으로 삶을 향한 특유의 연민과 의지, 인내와 애호를 놓지 않으려는 마음을 단단하게 들려준 시편이다.
이 작품의 특징과 시 창작법 상 배울 점은 무엇일까요?
우선 이 시는
일상의 경험을 시에 자연스럽게 녹여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당선소감에서도 밝혔듯이
시가 일상의 한 부분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다음은
삶과 죽음, 행복과 슬픔 등 삶의 양면성을
모두 포용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이 점이 좋은 작품으로 평가 받는 요소로 보이는 데요.
옆자리가 그랬다
살아있으면 유기동물 구조협회구요
죽어있으면 청소업체예요
그래도
다 보고 올까요
죽어있는 것도
살아있는 것도
뒷부분에서 이러한 양면성을 읽을 수 있죠
중간 부분에서 화자는
새벽에 일어나는 연민과
그에 대한 이해 부족을 언급하며
반대편의 불쌍함을 견디기 어려워하는 모습을 그립니다.
새벽에 하는 연민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반대편은 견딜 수 없을 만큼 불쌍했다고 말했다
불행히도 고양이는
새벽에 일어난 우리들보다
조금 더 불쌍하다
그래도
다 보고 올까요
죽어있는 것도
살아있는 것도
우리는 그러기로 했다
일상에서 느끼는 연민과 그로 인한 감정인 책임감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죠
마지막 부분에서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 모든 것을 품고 넘어서는 것이 삶에 대한 예의임을 강조합니다.
우리가 현실에서 좋아하지 않는 일을 하면서도 끝까지 해내는 것, 그것이 삶에 대한 예의라는 것입니다.
이 시에서 또 다른 배울 점은
민원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을 시에 반영하여
독자에게 생생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옆자리가 그랬다
살아있으면 유기동물 구조협회구요
죽어있으면 청소업체예요
앞부분은 일상적인 생생하게 묘사하며 독자가 그 손에 잡힐 듯 느끼게 합니다.
새벽에 하는 연민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반대편은 견딜 수 없을 만큼 불쌍했다고 말했다
중간의 구절은
새벽의 고요한 시간과
그 속에서 느껴지는 연민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죠.
이러한 표현들은
독자가 화자의 경험을 함께 느끼고
공감할 수 있게 합니다
최경민 시인은 이렇게
구체적인 경험과 이미지를 통해
시의 깊이를 더하고
독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강화합니다
2025년도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최경민 <예의>
이 시는 민원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벽에 일어나는 연민과 책임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양이와 같은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독자에게 현실감을 전달하면서 일상 속에서 느끼는 감정을 시에 녹여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경험과 언어 사용은 시를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들고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 시의 주제는 삶의 양면성입니다. 화자는 이해하지 못하는 연민에도 끝까지 나아가고 좋아하지 않는 것을 하면서도 끝까지 가보는 것이 스스로와 타인을 향한 예의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