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심과 괴로움으로 힘겨울때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하셨느니라.
우리는 행복과 즐거움으로써만 세상을 살아가려 합니다.
근심과 곤란이 내 앞에 놓이게 되었을 때 우리는 금새 괴로워하며 좌절하고 맙니다.
왜 이런 괴로움이 내게만 오는 것일까 하며
인생을 탓하고 세상을 탓하고 운명을 탓하기 일쑤입니다.
행복과 즐거움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며 근심과 곤란은 우리가 버리야 할 것입니다.
근심과 곤란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큰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봅시다.
우리 앞에 다가오는크고 작은 이 모든 경계는
즐거운 것이든 괴로운 것이든 결국에는 모두가바로 나 자신인 것입니다.
내가 있기에 온갖 경계가 있는 것이며 나아가 세계가 있고 우주가 있는 것입니다.
지난 과거에 몸으로 지은 행동 하나 하나 입으로 내뱉은 말 한마디 한마디
그리고 뜻으로 지은 생각 하나 하나가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이 되어
하나도 남김없이 저장되어 있다가 현실이라는 경계 속에서 하나씩 풀려 나오는 것입니다.
수행자와 중생의 차이는 이 한 생각의 차이에 있습니다.
똑같은 경계를 밝게 돌려 나갈 것인가,
어둡게 만들고 말 것인가! 이 `한 생각`의 차이가
이 세상을 천상으로 또 지옥으로 만들 것입니다.
근심과 곤란을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근심과 곤란 없이 모든 일이 잘 되어 간다면
나에 대한 자만심과 상대에 대한 업신여기는 마음이 커지고경계에 닥쳐 사치한 마음이 생기게 됩니다.
그로 인해 몇 배 더 큰 근심과 곤란이 또아리를 틀고 내 안에 자리하게 될 것입니다.
근심과 곤란 없이 모든 일이 순조로워부와 명예와 권력 등을 쉽게 쉽게 얻게 되면,
나 잘났다는 아상이 커지며 또한 상대방을 낮춰 보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이 커지고, 동시에 사치한 마음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나 못난 줄 알고 살아야 합니다. 내가 잘났다는 아상이야 말로 가장 경계해야 할 일입니다.
상대방을 높이고 나를 낮추게 되면 모든 이들이 그를따르고 좋아하게 되어 있습니다.
방하착 염불수행,
이것이 바로 염불로써 올리는 참된 마음공양인 것입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어떤 상황에서든 일심으로"관세음보살"을
염불하는 그마음 가운데 "놓음"이 있습니다. 집착을 놓기 위해 염불하는 것입니다.
근심과 걱정거리란 경계가 닥치는 순간, 근심 걱정되는 마음이 올라오는 순간
그 안팎의 모든 경계에 대고 지극한 마음으로 염불해야 되는 것입니다.
내 안에 살아 생동하는 "관세음보살"이 되어야 합니다
."나무아미타불"도 좋고
그저"방하착"해도 좋습니다.
또는
"참 마음"
"주인공"
"불성" 이름이야 어떻든 그 근본이 내 안으로 향하면 될 것입니다.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는 법문은 근심과 곤란을
내 밖으로 밀쳐내려 하지 말고, 벗어나려 발버둥치지 말고,
내 안에서 다 받아들여 다 녹일 수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일체를 자성부처님 자리, 본래 나온 자리에 턱 놓아버릴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