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둥굴레동의어 옥죽(玉竹), 괴불꽃, 황정(黃精), 편황정(片黃精), 죽네풀, 선인반(仙人飯), 위유(萎蕤), 토죽(菟竹), 백급(白及), 백급황정(白芨黃精), 둥굴네, 맥도둥굴레 다른 표기 언어
잎어긋나며 한쪽으로 치우쳐 달려서 퍼지는데 끝이 약간 뭉뚝하고 잎자루는 없거나 매우 짧다. 길이 5~10cm, 나비 2~5cm의 긴 타원형으로서 앞면은 윤기가 나며 황록색이나 뒷면은 분처럼 뽀얗다. 꽃6~7월에 녹백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종 모양의 꽃이 밑을 향하여 달린다. 꽃잎은 길이 15~20mm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작은 꽃자루는 밑 부분에서 서로 합쳐진다. 수술은 6개이며 통 부분의 위쪽에 붙었고 수술대에 잔돌기가 있다.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의 길이와 거의 같다. 특징 및 사용 방법괴불꽃·황정(黃精)·편황정(片黃精)·죽네풀·진황정·선인반(仙人飯)·위유(萎蕤)·토죽(菟竹) 등의 여러 별칭이 있다. 굵고 육질인 원기둥 모양의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어 매년 한 마디씩 자라 마디가 많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6개의 모가 지며 끝이 비스듬히 처진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줄기를 식용한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증기로 찐 다음 말려서 가루를 만들어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술을 담가서도 쓴다. 100년 이상 묵힌 둥굴레술을 황정주(黃精酒)라고 하는데 이 술을 마시면 신선이 되어 올라간다는 옛말이 있듯이 오래 묵힐수록 좋은 약술이 된다. 증기에 쪄서 말릴 때는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반복하여 완전히 말린 것[구증구포 : 九烝九曝]을 쓰도록 한다. 효능주로 건강 생활과 신진 대사 촉진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강심제, 강장보호, 강정제, 건해, 근골위약, 기미·주근깨(주근깨), 냉병, 냉한, 다한증, 당뇨병, 명목, 번갈, 병후쇠약, 보신·보익, 보양, 보중익기, 보폐·청폐, 불임증, 산후허로, 산후회복, 소갈증, 소변간삽, 신장기능강화, 심신허약, 심장쇠약, 오장보익, 오지, 오풍, 완하, 요통, 원기부족, 윤폐, 자양강장, 졸도, 종창, 좌섬, 천식, 청력감퇴, 치한, 타박상, 통풍, 폐결핵, 폐렴, 풍습, 풍열, 피로곤비, 피부윤택, 해수, 해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공처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둥굴레다른 표기 언어 fragrant-solomonsseal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육질의 근경은 점질이고 옆으로 벋으며 줄기는 높이 30~60cm 정도로서 6줄의 능각이 있으며 끝이 처진다. 어긋나는 잎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지며 길이 5~10cm, 너비 2~5cm 정도의 긴 타원형이다. 6~7월에 개화한다. 꽃은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밑부분은 백색, 윗부분은 녹색이고 소화경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화경이 된다. 장과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진황정’과 다르게 줄기의 중부 이상은 능선이 있다. 꽃은 1~2개씩 달리고 화통은 소화경과 같이 좁아지지 않는다. 어린순과 근경을 식용한다. 봄에 어린순을 데쳐서 무치거나 나물로 먹고 쌈으로 먹기도 한다. 뿌리는 쪄서 먹거나 밥과 섞거나 장아찌, 튀김, 조림, 볶음으로 먹는다. 관상식물로 심기도 한다. 특성단자엽식물(monocotyledon),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포복형식물과 직립형식물(creeping and 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간작반, 강심, 강심제, 강장, 강장보호, 강정제, 건해, 근골위약, 당뇨, 만성피로, 명목, 생진양위, 소아천식, 안오장, 오지, 오풍, 완화, 요통, 윤폐, 자양, 자양강장, 장생, 정력증진, 제습, 조갈증, 졸도, 종창, 지음윤폐, 청력보강, 치열, 치한, 타박상, 태독, 통풍, 폐결핵, 폐기천식, 폐렴, 폐창, 풍습, 풍열, 피부윤택, 해열, 허약체질, 협심증, 흉부냉증 생육과정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다른 표기 언어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은방울꽃과 > 둥굴레속 |
---|---|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
서식지 | 산, 들 |
크기 | 약 30cm ~ 60cm |
학명 |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
꽃말 | 고귀한 봉사 |
요약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땅속줄기에서 줄기가 나와 60㎝ 가량 자란다. 잎은 줄기 한쪽에 치우쳐서 어긋난다. 잎자루는 거의 없으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피는데, 긴 대롱처럼 생겼으며 꽃부리 쪽은 담녹색이나 꽃자루 쪽은 흰색이다. 꽃부리는 6갈래로 조금 갈라져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이른봄 어린잎과 뿌리줄기를 캐서 어린잎은 물에 오래 담가 우려낸 다음 나물로 먹으며, 뿌리줄기는 삶거나 구워먹거나 녹말을 만들기도 한다. 쓴맛이 없고 단맛이 조금 도는 뿌리줄기를 가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위수 또는 위유라고 하는데 한방에서는 자양·강장·해열 등에 쓴다. 뿌리줄기를 가루로 만들어 타박상에 바르기도 한다.
둥굴레와 비슷한 식물로 죽대·각시둥굴레·진황정·퉁둥굴레·용둥굴레 등이 있다. 죽대는 남쪽지방에서 흔히 자라며, 암술대에 털이 있고 수술이 9개이다. 퉁둥굴레 및 용둥굴레는 꽃자루에 잎 모양의 포(苞)가 2개 달려 있는데, 퉁둥굴레는 그 포가 작아 꽃 아래쪽만 조금 감싸고 용둥굴레는 꽃의 대부분을 감싼다.
중국에서는 둥굴레속에 속하는 식물들의 뿌리줄기를 옥죽(玉竹)이라고 하여 둥굴레의 뿌리줄기와 같은 용도로 쓰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황정과 둥굴레가 서로 같으냐? 아니면 별개냐??- 이런 문제도 대두되니 좀 헷갈림 현상이 있습니다. 엄격히 말하면 틀리다고 할 수도 있고 쓰임새로 본다면 오십보 백보로 같다고 할 수도 있겠지요. 또한 한편에서는 둥굴레의 효능을 보통 둥굴레 종류는 보음작용을 하고 황정종류와 죽대종류는 보기작용을 한다는 주장도 있고, 대잎둥굴레의 명칭과 왕둥굴레가 같이 쓰이기도 해서 많은 혼란이 있습니다. 하나하나씩 알아가는 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황정이라 부르는 종류는 줄기가 둥굴고 다른 종류는 줄기에 각이 있어 줄기로도 대충 구분 됩니다. 틀린점도 알려주시고 더 좋은 정보 있으면 막 퍼~~주세요~~~
둥굴레의 종류
초봄의 둥굴레 싹-
둥굴레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잎도 둥굴 열매도 둥굴해서 둥굴레가 되었다고 하는데 전체 이미지가 둥굴둥굴 하긴 하다. 한자명은 황정(黃精), 위유(萎蕤), 진황정(陳黃精), 옥죽(玉竹), 소필관엽(小筆菅葉), 선인반(仙人飯)으로 많은데, 우리나라 에서는 약재로 쓰이면 생약명으로 황정이고, 식품으로 쓰이면 옥죽(위유)라고 쓴다. 유통되는 둥굴레는 중국산, 북한산, 국산인데 약재로 수입하면 황정이고, 식품재료 용도로 수입되면 농산물명으로 옥죽(위유)라 명칭이 구분된다. 보통 둥굴레라고 하면 약재와 식품명의 통합명칭으로 쓰고, 산에서 나는 자생둥굴레를 산둥굴레라고 쓰고 있다. 우리가 산에서 둥굴레를 캐보면 굵기가 대부분 볼펜대 전후인데 손가락만큼 되면 대박(?)에 속해서 심봤다를 외쳐도 되는데, 시장에서 파는 보통 떡볶기굵기 이상인 것은 농가에서 대황정이라 부르며 재배 하는 둥굴레이다. 생약명 황정을 소황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명칭과 종류구분에서 혼란이 많은 둥굴레를 좀더 쉽게 알려면 우선 동의보감의 내용을 먼저 훑어 보는것이 속 편하다. 허준선생님이 둥굴레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도 생생하게 느낌으로 다가온다. 우선 동의보감 탕액편 초부(草部)를 쓰시면서 기재순서 제1번에 황정(둥굴레)을 올려놓고, 인삼은 제4번에 기록되어 있는것을 보면 둥굴레를 중요하게 다루신것을 알 수 있는데, 그 밑바탕에는 서민을 의식한 생각이 일면 엿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동의보감에서 둥굴레는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性平味甘無毒). 약효는 보중익기(補中益氣) - 비위를 보하고 기를 이롭게함. 안오장(安五臟) - 간, 심, 비, 폐,신을 편안하게 한다. 오로칠상(五勞七傷) - 정신적, 육체적 피로와 고통으로 허 해짐에 사용. 조근골(助筋骨) - 근육과 뼈를 강하게 돕는다. 익비위(益脾胃) - 비위를 이롭게함. 윤심폐(潤心肺) - 심장과 폐를 부드럽고 원활히 한다. 채취는 음력2월과 8월 뿌리를 취해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쓴다. 근엽화실(뿌리, 잎, 꽃, 열매)의 전초를 먹을 수 있고, 이파리가 줄기에 맞붙어 난 것을 황정(黃精), 엇갈려 난 것은 편정(偏精)인데 황정이 더 낫다. 평안도에서 자생한 황정을 진상한다 라고 나와있다.
의학입문에는 황정은 태양정기를 받은것으로, 약으로 쓸 때는 날것으로 먹고 만약, 오래두고 먹으려면 우선 물에담가 쓴맛을 우려낸 다음 구증구폭(九蒸九暴 : 暴= 햇볕쪼일 폭) 하여두고 쓴다 라고 설명되어 있다.
(위) 둥굴레
무늬둥굴레
둥굴레는 여러종류가 있는데 구별요령은 꽃의 갯수와 달린모양, 줄기의 모와 색깔, 잎모습 등인데 요령만 익히면 다른식물 구별보다 쉽다. 둥굴레는 꽃이 1~2개이고 꽃의 밑부분이 녹색이며, 잎자루는 거의 없고 줄기에는 각이 있으며 붉은빛이 돈다. (사진클릭-아랫꽃과 윗꽃비교). 무늬 둥굴레는 잎의 골과 무늬로 쉽게 구별된다.
둥굴레와 황정은 다른데 황정은 일반적으로 층층둥굴레의 뿌리를 일컫는다. 황정은 잎이 대잎 비슷하고 잎장 4~5엽이 빙 둘러난다. 둥굴레는 잎이 각각 달리하여 난다. 뿌리모양은 황정은 직경 3cm이내이고 둥굴레는 1cm 안팎이 대부분이다. 재배하는 대황정은 3cm이상의 굵기이나 약효는 옥죽에 가깝다고 보는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비해 황정은 소황정이라 하는데, 재배시 수확량이 대황정의 30%밖에 안되어 기피하고 있으나 진짜 황정이랄 수 있으므로 한번 생각해 볼 일이다. 진황정도 있는데 첫자가 眞이 아니라 진황정(陳黃精)이고 진시황제가 즐겨먹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박물지(博物誌)에 햇빛드는 곳에 나므로 황정 (원래 죽대를 뜻한다는 설도 있음)이라 하였다는 소개가 있고, 키는 1m 전후로 크고 잎표면은 녹색인데 뒷면은 분백색이고 줄기에 각이없어 둥글며 꽃이 3~5개가 보통인데 1~2개 짜리도 간혹있다. 줄기마디가 짧고 잎, 줄기에 붉은 기운이 없이 푸르다. 꽃은 땅의 방향으로 달린다. 진황정은 서늘하고 물이 가까운 능선의 배수좋은 완만한 경사지 등에 많이 난다.
(위) 층층 둥굴레- 황정
-진황정(꽃이 1~2개짜리도 있다)-
둥굴레와 비슷한 종류에 죽대가 있는데 비교적 많으며, 둥굴레보다 억세게 보이고 잎장도 많다. 산의 양지쪽의 잡목림에 또는 키큰나무의 반음지에 띄엄띄엄 군락을 이루기도 한다. 뿌리도 둥굴레보다 굵고 질기고 누런 잔뿌리도 더 많다. 언젠가 홍천 쪽에서 대규모 군락을 본적이 있는데, 나중에 본 지리산자락의 그것과 비교하면 조족지혈이랄까 비교가 안되는데 최근에는 눈에 띄게 줄은듯 하다. - 봄철의 아줌마부대 탓?? 죽대는 줄기에 대나무의 이미지도 있는데, 꽃이달린 모양이 가장 큰 특징이다. 1~2개의 꽃이 거의 인데 3~4개를 달고 있는 놈도 간혹있다. 둥굴레는 땅쪽으로 꽃이 피는데, 죽대는 꽃줄기가 튼튼해 옆으로 벌린듯 꽃송이가 달려있다. 낚싯대가 연상되기도 하고..
(위) 죽대- 꽃 달린 벌어진 모습으로 구별
-꽃3~4개의 특이한 죽대-
그다음에 일반적인 둥굴레 종류로 용둥굴레와 퉁둥굴레가 있는데, 이 둘은 꽃을 감싸고 있는 포(포엽)으로 구분하면 쉽다. 용둥굴레는 줄기에 각이 있고 퉁둥굴레는 줄기 윗부분에만 각이 있다. 용둥굴레는 잎뒷면이 분백색이고 꽃을 싸고 있는 2개의 포엽이 그 안에 있는 1쌍의 꽃을 완전히 감싸고 있어, 사진상에는 고깔 같기도 하고 나폴레옹모자 같게도 보인다(사진클릭). 퉁둥굴레의 포는 아주 작고 끝이 뾰족하며, 줄기상부가 옆으로 비스듬하면서 전체가 비스듬한데, 줄기 윗부분에 각이 있다.
(위) 용둥굴레- 포엽이 나폴레옹 모자 같다.
퉁둥굴레- 꽃 모습에 주시.
이외에도 한국특산종인 왕둥굴레는 둥굴레에 비해 잎이 가늘고, 잎에 센털이 나있으며 뿌리는 굵으며 마디가 있고, 1개의 꽃자루에 보통 2~5송이의 녹백색 꽃이 주렁주렁한 모습으로 달린다.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각시둥굴레는 둥굴레아재비라고도 불려지는데 뿌리가 끈모양으로 가늘고 줄기에 모가지고 꽃모습으로 구별된다. 이외에도 낚시둥굴레란 이름도 있는데 황정을 뜻하며 층층갈고리둥굴레의 북한어 이다. 층층둘굴레=층층갈고리둥굴레=낚시둥굴레=황정인 셈이다.
(위) 각시 둥굴레(꽃모습)- 꽃밑에 푸른색.
한국특산종 왕둥굴레 (꽃모습 비교)
둥굴레는 구황식품 이었으며, 지금도 산속 조난시에 비상식량 역할을 충분히 한다. 겨울에도 말라있는 잎을 얼마든지 발견 할 수 있는데, 그 주변을 15cm 내외 깊이로 겉흙만 걷어내면 쉽게 얼마간의 양을 채취하여 위기를 넘길 수 있다. 강장고(强壯膏)라하여, 황기, 만삼, 숙지황, 율무씨, 밤, 꿀에 둥굴레를 넣어 만든 엿도 있는데 보약으로 유명하며, 북한에서는 삼지구엽초진액, 토사자, 삽주, 숙지황진액에 둥굴레를 넣고 꿀로 반죽하여 만든 보신강장환(補身强壯丸)이라는 보약도 알려져있다. 둥굴레잼은 쓴맛없게 알맞게 볶아 만든 둥굴레가루 1.2kg을 물2리터,황설탕3kg과 함께 끓여 식히면 담백 구수한 최고의 건강잼이 탄생한다. 채취해서 차꺼리할때 남은것은 꾸덕꾸덕 말려 된장, 고추장에 재워 놓으면 둥굴레장아찌가 된다. 가루를 백설기나 다른 떡 만들때 넣으면 그대로 보약떡으로 된다. 둥굴레차를 마시게 되면 배고픔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음식에대한 식탐도 줄어 드는데 둥굴레차와 약간의 먹을거리만으로도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롷, 이때는 소량의 식사라 영양균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약리실험결과 요즈음은 당뇨병과 고혈압, 동맥경화예방, 간지방침작예방, 협심증,앓고난후, 강장강정, 눈귀 밝아짐에도 효과있음이 밝혀지기도 했다. 둥굴레에 대한 최근의 대표적 연구경향을 보면, "둥굴레근경의 증자(*증기찜)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성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연구", 피부미백효능을 갖는 옥죽추출물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 , "둥굴레추출물이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둥굴레근경의 증자및 볶음조건에 따른 중금속(Pb, Cd)제거특성" 등으로 미루어 다방면의 용도로 확대되고 있는데, 볶음에 관한 연구결과 고체성분이 제일많이 녹아나오는 경우는 증자(찜)65분, 볶음127도에서 38분이고, 혈당강하성분이 제일 많이 녹아 나온경우는 증자 180분, 볶음 118도에서 15분, 차의 맛이 제일 좋은 방법은 증자127분, 볶음 116도에서 43분일 경우라는 연구도 있는데 구증구폭의 법제(法製)법이 훌륭하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다.
(위) 황정의생뿌리(굵다) (위) 보통의 둥굴레3번찐것
4번찌고 말린 둥굴레
둥굴레는 독성이 없고 적당한 농도로 오랜기간 마실 수 있는 훌륭한 약이며 식품이다. 결코 산삼, 하수오, 오가피...등의 저명(?)약초에 뒤지지 않는다. 허준선생님도 흔하면서 효과좋은 약재라 백성들이 많이 알고 쓰라고 본초편의 1번에 올려 놓으신 것이다. 성질이 평해서 어떤 체질이나 고루 쓸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게 생각 하셨을 것이다. 단, 둥굴레는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한 사람(陰虛火旺)이나, 비위가 허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습담이 정체된 데는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런사람은 먼저 그 증상을 없애고 둥굴레를 먹으면 될 것이다. 둥굴레는 채취 할 때 뿌리가 조금 남아 있어도 번식 되므로, 잔뿌리는 반드시 남겨 두어야 한다. 둥굴레와 둥굴둥굴하게 살면 얼마나 좋은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