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시 최고의 행정을 찾아라'순회 전시회를 마쳤습니다.
'부천시 최고히트행정을 찾아라.'테마의 전시회를 지난 9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42일
간 의 일정으로 진행했습니다. 시청 로비를 비롯해 만화영상진흥원, 역사 등 여러분의 이동이 잦은 곳 8개소, 전시장에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와 호응이 있었습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부천탄생 100년, 부천시 40년이 된 부천은 이제, 단순한 주거 도시를 넘어 만화, 영화, 음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심장이자 풍요로운 문화를 즐기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문화와 생태의
도시로 자리 잡았다는 평을 듣습니다.
오늘날 우리 부천이 '문화도시'라는 브랜드를 확보하고, 미래 꾸준한 성장과 발전을 기대하는 것은 지금까지 우리 부천시가 이룬 가능성과 역량에 믿음과 자신감을 갖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부천식 히트행정을 꾸준히 양산해 냈고, 히트행정이 선도적으로 도시를 리드 해 나가는 중심기능을 해 왔습니다.
문화도시 부천을 견인해온 주요 핵심 사업들을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고, 앞으로 새로운
사업 구상, 문화특별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유익한 사업들을 함께 추진해 나가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소망으로 이번 전시회를 진행했습니다.
부천시 최고의 행정, 시민들은 1위로'지하철 7호선 개통'을 꼽았습니다.
부천시의 부가가치를 높인 가장 으뜸사업으로 시민들은 주저 없이 '지하철 7호선 개통'을 꼽아주셨습니다. 별 중 의 별의 사업이 바로'지하철 7호선 개통'이 된 것입니다. 1,313명(21.4%)의 시민이 지지해주셨습니다.



우리 부천에 지하철 7호선 개통의 의미는 편리한 교통 외에 차별화와 소외감 극복이라는 지역 숙원해결의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신도시 치고 지하철이 없던 곳은 우리 부천뿐 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파트 등 주택가격의 시세가 지하철이 있는 도시에 비해 저평가 되었던
것이 현실이었습니다.
지하철 7호선 개통은 우선, 자산 가치를 높였습니다. 2013년 개별공시지가 심의 결과 지하철 역세권 주변 땅값이 7.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하철 7호선 개통으로 교통의 편리성, 유리한 접근성으로 인근 지역 지가 상승을 견인한 것입니다.
또한 교통 혼잡 개선의 효과를 보였습니다. 부천시민 가족단위 주말 나들이 편의를
제공했습니다. 최근 개최한 우리 부천의 축제, 각종 문화행사에 관객들 30%이상 두드러진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7호선 개통의 효과를 톡톡히 체감하고 있는 것입니다.
시민들이 지하철7호선 개통을 부천시 최고의 행정으로 뽑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위, 부천둘레길 조성 – 774명(12.6%) 시민지지》
'지하철 7호선 개통'다음으로 시민들은 지역의 향토자원을 테마로 조성한 42,195㎞의
부천둘레길을 선택해 주셨습니다. 774명(12.6%)의 시민여러분께서 지지를 해주신 것입니다.


기초체력이 튼튼한 시민 위한 작은 행정일환으로 생활 속 공간에서 환경과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는 둘레길 조성을 고민하게 된 것입니다.
둘레길 조성부서인 녹지공원과 직원들과 잦은 현장답사를 이어갔습니다. 유적지, 산과 공원,
들판, 하천과 코스를 유기적으로 연관하는 방향으로 길 조성을 컨셉으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결국 테마별 코스를 개발한 것입니다. 5개 코스, 총길이 42.195㎞의 부천 둘레길 탄생을 이룬 것입니다.
부천둘레길은 지난 2012년도 전국 생산성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제주올레길을 비롯해, 지리산둘레길, 해안길 등이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수도권 도심 속에서 아기자기하게 자리한 채 시민들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우리 부천의 둘레길도 관심의 중심이 된 것입니다. 전국적인 유명세를 탔습니다. 특히 이 길을 우리 시민들이 좋아합니다.
《3위, CCTV 확대설치를 통한 안전한 도시 구축 – 707명 시민지지》
지하철 7호선 개통, 부천둘레길 조성, 다음으로 시민들은 CCTV 설치 확대로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가는 부천시의 노력에 관심을 표명해 주셨습니다. 707명(11.5%)의 시민이 지지를
해주신 것입니다.


부천시내 CCTV는 2006년도부터 도입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6년 동안 우리 부천지역에 시설된 CCTV는 총 228대였습니다. 시민안전을 위한 방범, 도로불법 주차단속 등의 기능을 수행해 온 것입니다. 시민수요에 비해 현격히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CCTV설치현황 - 수량>
금년 지역 내 전체 초등학교 취약지역을 우선 대상지로 선정해 256대 설치를 비롯해 원도심
취약지역, 이면도로 등에 851대의 CCTV설치를 완료했습니다. 금년도 CCTV 설치 대수가 지난 6년동안 부천시에 시설한 CCTV대수, 거의 세 배를 능가하는 수치입니다.

▶ 2009년 이전 CCTV설치대수 : 228대,2013년 CCTV설치대수 : 851대
☞ 2017년까지 CCTV 추가설치 : 3,441대 = 부천시 총 4,520대 설치, 범죄 사각지대 해소
안전한 도시는 CCTV만이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습니다. 방범용 CCTV설치는 치안의
안전벨트 격입니다. 장래에 발생할 지도 모르는 범죄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감수하게 될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입니다.
CCTV 확대 설치를 통한 안전한 도시 구축에 시민들의 높은 지지는 일상생활에 불안함이 없는 안전한 생활에 대한 여러분의 열망으로 생각합니다. 불안함 없이 안전하고, 안정된 삶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CCTV확대 설치를 비롯 안전망구축에 행정력을 모아 가겠습니다.
부천시 최고 행정, 4위부터 10위 베스트 개별사업은 이렇습니다.


▶ 4위, 한국을 대표해서 만화사업을 선도해 나가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 건립
(686명, 11.1%)

▶ 5위, 문화특별시 부천을 견인하는 대표적인 문화사업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663명,10.8%)

▶ 6위, 친환경 무상급식 실시 등 교육지원 사업(632명, 10.3%)

▶ 7위, 부평화장장 이용 단기대책, 화성시와 공동화장장건립으로 항구대책마련
(630명,10.2%)


▶ 8위, 환경친화보육을 선도해 나가는 보육정책(616명,10.0%)
<프로축구창단>
<하나∙외환 프로농구단 유치>
▶ 9위, 지역의 활력, 통합의 구심점 프로구단 (농구, 축구)유치(609명, 9.9%)

▶ 10위, 전국 최초 재이용수 활용 인공하천, '시민의 강' 조성 (583명, 9.5%) 순으로 호응을 보였습니다.

부천발전의 중심에 항상 여러분이 있습니다.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100년 전, 부천은 작고 평범한 농촌이었습니다. 지금처럼 생활이 화려하지 않던 그 무렵,
평범하다는 말은 살기 좋다는 다른 표현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고강동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 유적은 조상 때부터 우리 부천이 삶의 터전이 되기에
적합했다는 사실을 알려 줍니다. 김포평야와 서해 바다, 한양과 인천을 사이에 둔 부천의
지리적 특성은 청동기 시대를 지나 현재까지 부천을 키워 내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부천이 40년 전, 시로 승격하고 경인전철이 들어선 이후부터는 그야말로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실감합니다.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던 복숭아밭 주변으로는 경제 성장의 주역이었던 첨단산업 등 다양한 산업체가 들어섰습니다. 문화콘텐츠 산업도 자리했습니다.
부천탄생 100년, 부천시 40년이 된 부천은 이제, 단순한 주거 도시를 넘어 만화, 영화, 음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심장이자 풍요로운 문화를 즐기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문화와 생태의
도시로 자리 잡았습니다.

◦ 지난 2005년 부천시 화장장 건립 발표 이후부터 6년간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 한 채 지역은 온통 찬▪반 시위의 소용돌이에 휘말렸습니다.
◦ 지역 간, 시민들 간 불신과 감정의 골은 더욱 증폭되었습니다. 극복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인근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연대를 시작했습니다.
◦ 인천광역시 부평화장장 부천시민 오전 이용에 이어 화성시와의 공동화장장 건립
협약으로 부천시민 화장장이용 불편 문제 단기적 해소, 재정부담 문제 해소까지 항구적인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 공동장사시설은 이렇게 조성됩니다.
∙ 사 업 명 : (가칭)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
∙ 사업규모 : 30만㎡내외(화장로 10기 내외, 장례식장, 봉안당, 자연장지 등)
∙ 사 업 비 : 약1,200억원 추정 (국도비 220억, 지자체부담 980억)
→ 부천시 부담예상액 : 213억원
∙ 사업기간 : 2011년 ~ 2018년
∙ 사업형태 : 인근 10개 시·군 참여를 통한 공동형 장사시설
(화성, 부천, 과천, 군포, 시흥, 안양, 의왕, 평택, 안산, 광명)
◦ 장사시설 건립지역이 지난 11월8일, 최종 확정 되었습니다.
∙ 건립지역 : 화성시 매송면 숙곡1리 산12-5외 83필지
◦ 공동장사시설 준공시점은 이렇습니다.
∙ 행정적인 제반절차 이행 후 오는 2018년도 준공
◦ 부천시에서 화성시 공동장사시설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47분입니다.
∙ 부천시~ 화성시 거리 42.07㎞, 소요시간은 47분
☞ 인천광역시 부평화장장 부천시민 오전 이용에 이어 화성시와의 공동화장장
건립 구체화로 부천시민 화장장이용 불편 문제 단기적 해소, 장레비용 재정부담
문제 해소까지 항구적인 대책을 마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