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가 더 이상 대표적인 서민의 술이 되기 어려워 보입니다.
작년 상반기 소주 매출은 1조1,8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습니다.
소주의 공장출고가격은 낮아졌지만 식당에서 파는 가격은 6,000원입니다.
20~30대는 위스키, 하이볼 등 양주혼합 알콜음료로 기호가 옮겨가고 있습니다.
Soju no longer sought-after tipple of Koreans in economic slumps
소주, 더 이상 경기 침체에 빠진 한국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함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4-01-25 16:19 Updated : 2024-01-26 17:11
Korea Times
Soju, an inexpensive distilled alcoholic beverage, has been a go-to drink for many Koreans during economic downturns as a way to cope with their troubles.
저렴한 증류식 알코올 음료인 소주는 경제 침체기에 많은 한국인들이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주 마시는 음료였다.
However, the connection commonly perceived between soju and economic downturns seems to be diminishing.
그러나 소주와 경기 침체 사이에 공통적으로 인식되는 연관성은 줄어들고 있는 것 같다.
Retail sales of soju amounted to 1.18 trillion won ($884.16 million) in the first half of 2023, down 7.1 percent from a year earlier, according to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소주 소매 매출은 1조1,800억 원(8억8,416만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다.
The data comes as Korea struggles with a rare 1-percent-range economic growth, a 15-year-high benchmark interest rate of 3.5 percent, a consecutive 3-percent-range inflation for the second year in a row — the first since 2004 — and other related issues.
이 자료는 한국이 보기 드문 1%대의 경제성장률, 15년만에 최고인 3.5%의 기준금리, 2년 연속 3%대의 물가상승률, 2004년 이후 처음으로, 그리고 다른 관련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Operating und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state-run corporation attributed the decline in soju sales to a slower-than-expected recovery in the service sector in the post-pandemic era.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에서 운영되는 이 공기업은 소주 판매량 감소를 팬데믹 이후 예상보다 느린 서비스 부문의 회복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The sluggish recovery was especially noteworthy in restaurants, pubs and karaoke bars where alcohol makes up a considerable portion of sales,” aT said.
aT는 "특히 술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식당, 주점, 노래방에서 부진한 회복세가 두드러졌다,"고 전했다.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behind the stagnant service sector, it pointed to a pandemic-nduced shift in workplace culture, where employees are avoiding socializing for drinks after work.
서비스 부문이 정체된 이유를 묻자 직원들이 퇴근 후 술자리를 피하는 팬데믹으로 인한 직장문화의 변화를 지적했다.
Furthermore, the price of soju sold at restaurants was raised nearly three times higher than ones sold at supermarkets and convenience stores.
게다가 식당에서 파는 소주가격은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에서 파는 소주가격보다 3배 가까이 더 올랐다.
Statistics Korea data showed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for soju sold at restaurants stood at 114.82 in 2023, up 7.3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소주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14.82로 전년보다 7.3% 상승했다.
CPI measures the average change in prices paid by consumers over a period of time for certain goods. The index serves as a comparison point, with prices set at 100 in the base year, which is 2020 in this case.
CPI는 특정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일정기간 동안 지불한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한다. 이 지수는 기준연도(이 경우 2020년)의 가격이 100으로 설정되어 비교 포인트 역할을 한다.
During 2022-23, the index for soju sold at supermarkets and convenience stores increased 2.6 percent.
2022-23년 동안 슈퍼마켓과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소주의 지수는 2.6% 증가했다.
In Seoul, a 360-milliliter bottle of soju is priced as high as 6,000 won at restaurants, while the price was lowered to 1,900 won from 2,100 won at major convenience stores beginning this year.
서울에서는 360밀리리터짜리 소주 한 병이 식당에서 6천 원까지 비싼 반면, 올해부터는 주요 편의점에서 2,100원이던 가격이 1,900원으로 낮아졌다.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National Tax Service are jointly working on possible measures to stabilize the price of soju in the service sector,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은 서비스분야 소주가격 안정을 위해 가능한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하고 있다고 한다.
But at the time, they are cautious about unwanted side effects small business owners could experience, the sources said.
그러나 당시 이들은 소상공인들이 겪을 수 있는 원치 않는 부작용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In addition, aT analyzed a new drinking trend among you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that is contributing to the decline in soju sales. This trend refers to a growing preference for hard liquor, such as whisky, and highball, a mixed alcoholic drink made using alcohol-based spirits.
또한 aT는 소주 판매량 감소에 기여하고 있는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의 새로운 음주 트렌드를 분석했다. 이 트렌드는 위스키, 하이볼과 같이 알코올 기반의 양주를 사용하여 만든 혼합 알코올 음료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Soju소주Distilledalcoholicbeverage #economicdownturn경기침체 #sales매출 #pandemic팬데믹Globalhealthcrisis #servicesector서비스부문 #ConsumerPriceIndex(CPI)소비자물가지수 # conveniencestores편의점 #drinkingtrend음주트렌드 #whisky위스키 #alcoholicdrink알코올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