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지도사 자격과정 자체 평가(장례상담, 장사시설관리, 보건, 위생관리 이론, 위생관리 실기, 염습 및 장법실습, 공중, 장사법규, 장례학개론, 장사행정)- 교재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出題)함.
장례상담
1. 장례지도사의 역할로 옳은 것은?
① 시신을 처리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② 유족들로 하여금 슬픔을 이기도록 한다.
③ 실무적인 방법과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④ 고인과의 애착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정상적인 사별심리란?
① 유족의 생각, 감정 행위 등이 평범하다.
② 복잡한 유형의 사별심리이다.
③ 죽음이후 고인의 생각에 몰두한다.
④ 고인이 죽어간 환경과 연관한 죄책감을 갖는다.
염습 및 장법실습
3. 초혼(招魂)이라고도 하며 사람이 죽으면 혼이 몸에서 떠난다 하여 그 혼백(魂魄)을 다시 불러 몸에 붙게 한다는 뜻의 절차는?
① 고복(皐復) ② 수시(收屍) ③ 임종(臨終) ④ 사잣밥 ⑤ 염습(殮襲)
4. 염습 시 시신의 얼굴을 덮는 헝겊은 무엇인가?
① 명정(銘旌) ② 혼백(魂帛) ③ 복건(幅巾) ④ 멱목(暝目) ⑤ 지금(地衾)
5. 장례(葬禮) 기간 중 임종 직후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절차는?
① 소렴 ② 염습 ③ 입관 ④ 수시 ⑤ 택일 ⑥ 대렴 ⑦ 발인
공중보건위생
6. 다음 중 공중보건학의 개념과 관계가 가장 적은 내용은?
① 질병 예방에 관한 연구 ② 질병 치료 기술 향상에 관한 연구
③ 신체적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④ 정신적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7. ‘포괄적 보건의료’란 무엇을 뜻하는가?
① 영양개선 및 건강증진 활동 ② 질병의 사전 예방
③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 ④ 질병의 조기발견, 치료, 재활, 건강의 증진
8. 다음 중 위생적 배변 처리에 의해 예방이 가능한 병원소의 탈출 경로는?
① 신경계통 ② 호흡기계통 ③ 피부, 비뇨기계통 ④ 소화기계통 ⑤ 순환기계통
9. 공중보건의 최소 단위는 무엇인가?
① 개인 ② 가족 ③ 직장 ④ 지역사회 ⑤ 국가
10. 공중보건의 1차적 목표는 무엇인가?
① 나 자신의 건강생활 유지 ② 나와 가족의 건강생활 유지
③ 생활 보호 대상자의 건강생활 유지 ④ 지역 주민의 건강생활 유지
11. 우리나라에서 보건소가 설치되어 있는 행정단위는?
① 시․도 ② 군․구 ③ 읍․면 ④ 시․군․구
장사시설관리
12. 장례식장은 도시계획시설 중 어떤 시설에 속하는가?
① 유통 및 서비스 시설 ② 도시문화 시설 ③ 의료서비스 시설 ④ 보건위생 시설
13. 다음 중 봉안시설의 설치가 가능한 지역은?
① 상수원보호구역 ② 문화재보호구역 ③ 군사시설보호구역 ④ 상업지역
14. 다음 내용 중 화장 및 화장시설의 정의가 아닌 것은?
① 화장(火葬)이란 시신이나 유골을 불에 태워 하는 장례방법이다.
② 화장시설(火葬施設)이란 시신이나 유골을 화장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③ 시체 또는 화장하지 아니한 유골은 완전히 태우지 않아도 된다.
④ 화장의 시기는 사망 또는 사산한 때부터 24시간이 지나야 할 수 있다.
장사법규(박종윤 교수)
15. 기존 매장과 묘지등에관한법률에 따른 판례에서 20년 이상 평온하게 분묘를 수호하고 제사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 타인의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지상권 ② 토지소유권 ③ 분묘소유권 ④ 분묘기지권
16. 시신이나 유골을 매장할 수 있는 장소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기존 묘지가 있을 경우 임의대로 확장하여 매장할 수 있다.
② 토지의 용도가 묘지로 되어 있으면 시신이나 유골을 매장할 수 있다.
③ 본인 소유의 땅이나 종중문중 묘지에는 허가 없이 매장할 수 있다.
④ 지자체에 신고 또는 허가된 묘지에만 매장할 수 있다.
17. 자연장 및 자연장지에 대해서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자연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 화초, 잔디 등의 주변에 묻는 장법이다.
② 수목장은 나무가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 가능하다.
③ 수목장은 시신이나 유골을 화장하지 않고 나무 밑에 묻는 것이다.
④ 자연장은 어떠한 경우라도 현행법상 불법행위이다.
18. 분묘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시신을 화장하여 보관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② 시신이나 유골을 매장한 시설물을 말한다.
③ 시신이나 유골을 매장하기 전 보관하는 시설물이다.
④ 시신이나 유골을 화장하여 보관하는 시설물이다.
19. 자연장에 사용하는 용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분에 의하여 형체가 허물어지는 것(굽지 않은 토기 등)이어야 한다.
② 전분 등 천연소재로서 생화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③ 용기의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0㎝ 이하이어야 한다.
④ 황토 등 흙을 구워 만들어서 생화학적으로 분해가 불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장례학개론
20. 유교식 상․장례의 절차는 상주(喪主)의 심정 변화에 따라 크게 세 부분(三大別)으로 되어 있다.
다음 괄호 안의 내용은 어떤 의식에 속하는 가?
(죽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잘못으로 부모가 돌아가셨다는 죄의식으로 장례(葬禮)에 최대한 정성을 쏟는다.)
① 초종의식(初終儀式) ② 장송의식(葬送儀式) ③ 상제의식(喪祭儀式) ④ 회복의식(回復儀式)
21. 다음 상(喪)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내용을 찾으시오.
① 상복은 복인이 상기에 따라 상중에 입는 예복으로, 죽은 자에 대한 비애, 애감의 외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② 성복은 상복을 갖추어 입는 의식이며, 입관이 지나서야 성복을 하는 이유는 시신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는 상태에서 죽음을 완전히 인정할 수 없다는 효심의 발로로 보고 있다.
③ 전통 장례에서 남자상복을 굴건제복이라 했고, 구성은 상의인 최의, 하의는 치마를 의미하는 상으로 최상, 상관, 수질, 요질, 교대, 효건, 중의, 상장, 상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④ 남자상복은 대수장군이라 했으며, 치마, 저고리, 개두, 비녀, 수질, 요질, 교대 등이 있다.
22. 상(喪)․장례(葬禮)의 기능에 맞지 않는 내용을 찾으시오.
① 시신(屍身) 유기(遺棄) 기능 ② 공동체 결속강화(結束强化)의 기능
③ 두려움의 극복(克服) 기능 ④ 죽음에 대한 사회적 확인(確認) 기능
23. 상례와 장례의 의미를 설명한 내용 중 바르지 않은 내용을 고르시오.
① 죽음의 의례(儀禮)를 표현하는 말로 상례(喪禮), 상장(喪葬), 양례(襄禮), 장례(葬禮), 장사(葬事), 장의(葬儀), 장송(葬送) 등이 있다.
② 일반적으로 상례(喪禮)는 사람의 죽음(臨終)에서부터 탈상(脫喪)에 이르기까지의 절차이다.
③ 일반적으로 죽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死), 종(終), 상(喪)을 사용한다. 종(終)은 죽어 육신이 썩는 것을 말하며, 사(死)는 사람 노릇을 끝냄을 의미한다.
④ 장례(葬禮), 장사(葬事) 등은 상례(喪禮)보다 좁은 범위의 의미로 임종( 臨終)에서부터 시신을 땅에 묻기까지의 절차를 의미하고 있다.
장사행정
24. 장사정보 시스템(e하늘) 구축목적으로 맞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다양화된 화장예약 시스템의 구축ㆍ운영으로 이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화장 예약하여 화장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② 장사시설 현황 및 사용료, 예약현황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하여 가격대비 서비스 제공품질 등을 비교 할 수 있도록 함
③ 체계적인 묘지 및 매장정보 관리, 묘지, 봉안시설 및 자연장지의 업무운영 개선을 위한 정보화
④ 사망정보 연계를 통한 국고누수 방지, 사망정보의 효과적 수집 및 정보연계로 복지급여업무의 내실화, 시스템에서 취득한 사망정보는 각종 연금 및 급여 등의 지급업무 내실화에 기여
25. 장사행정체계와 범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맞지 않는 것은?
① 장사행정체계는 장사업무와 관련된 기획, 집행, 조정을 담당하는 행정기관 및 관련기관의 구조, 기능, 정책결정과정을 포함하지 않는다.
② 장사행정체계의 구성요소는 장사행정체계 유지를 위해서 항상 자기고유의 기능을 한다.
③ 장사행정체계는 궁극적으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목적으로서 국민의 보건위생 향상, 공공복리(사회복지)제고 그리고 국토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달성하는 역할을 한다.
④ 장사행정체계는 상황적 위기에 대처해야 하며, 주된 목표를 달성해야 하고 다른 기능적 요건을 통제하며 통합해야 하며 유형을 유지(Pattern maintenance)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