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兎死狗烹) : 토끼가 죽고 나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가 없어져 삶아 먹히게 됨.
필요한 경우에는 쓰고 필요없는 경우에는 버리는 야박한 세상 정세를 비유함.
고조(高鳥) 진(盡)하여 양궁(良弓) 장(藏)이라 : 높이 나는 새가 다하면 좋은 활은 필요없으므로
간직하게 된다는 뜻으로, 일이 끝나면 버림을 당함을 비유.
* 토사구팽과 비슷한 한자성어: '감탄고토(甘呑苦吐)'-달면 삼키고 쓰면 내뱉는다.
* 원래 토사구팽은 '교토사양구팽(狡兎死良狗烹)'이 말에서 유래됨.
- 뜻: 교활한 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는 뜻.
狡 : 교활할 교
兎 : 토끼 토
死 : 죽을 사
良 : 좋을 량
狗 : 개 구
烹 : 삶을 팽
<사기(史記)>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서, 한(漢)나라 유방(劉邦)과 초(楚)나라 항우(項羽)
와의 싸움에서 유방이 승리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사람이 한신(韓信)이다. 천하를 통일한 유방은
한신을 초왕(楚王)으로 봉했으나, 언젠가는 자신에게 도전할 것을 염려하고 있었는데, 마침 항우
의 장수였던 종리매(鐘離昧)가 옛친구인 한신에게 몸을 의탁하고 있었다.
일찍이 전투에서 종리매에게 괴로움을 당했던 유방은 종리매를 미워하고 있었다. 그가 초나라에
있다는 것을 알자, 유방은 종리매를 체포하라고 명령을 내렸지만, 한신은 차마 옛친구를 배반할
수 없어 그 명령을 따르지 않고 도리어 그를 감싸고 있었다. 이 사실을 상소한 자가 있어 유방은
진평(陳平)에게 상의했다. 진평의 책략에 따라 유방을 운몽(雲夢)에 행차하고 제후들을 초나라 서쪽
경계인 진(陳)나라에 모이게 했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한신은 자신에게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생각
하여 자진해서 배알하려고 했다. 그러자 평소에 술수가 남다른 가신이 한신에게 속삭였다.
“종리매의 목을 가지고 배알하시면 천자도 기뻐하시리다.” 옳다고 생각한 한신은 그 말을 종리매
에게 했다. 그러자 종리매는 “유방이 초를 침범하지 못하는 것은 자네 밑에 내가 있기 때문이네.
그런데 자네가 나를 죽여 유방에게 바친다면 자네도 얼마 안 가서 당할 것일세. 자네의 생각이 그
정도라니 내가 정말 잘못 보았네. 자네는 남의 장(長)이 될 그릇은 아니군. 좋아, 내가 죽어주지.”
하고는 스스로 목을 쳐 죽었다.
한신은 자결한 종리매의 목을 가지고 가서 유방에게 바치지만, 유방은 한신을 포박하게 했다. 그래서
화가 난 한신은 이렇게 말했다. “과연 사람들의 말과 같도다. 교활한 토끼가 죽고 나면 사냥개도 잡
혀 삶아지며, 높이 날으는 새도 다 잡히고 나면 좋은 활도 광에 들어가며, 적국이 타파되면 모신도
망한다. 천하가 평정되었으니 나도 마땅히 팽당함이로다[果若人言 狡兎死良狗烹 飛鳥盡良弓藏 敵國
破謀臣亡 天下已定 我固當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