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동문을 파문합니다.... 경북여자고등학교 총동창회 일동
5,60년대, 도시 농촌 가리지 않고 심야에 울려 퍼지는 꽹가리 굿판이 떠 오름니다.
사방에 촛불 밝히고 소매 긴 무의를 걸친, 신 내린 무녀의 눈에는 광기를 내 뿜고, 떨리는 두 손엔 살기 어린 칼날이 번득였습니다.
추동문은 90년대, 금녀의 벽을 깨고 이 나라 정치판에 등장해서 그동안 '추(잔)다크'란 명성에 걸맞게 범상치 않은 족적을 남겼습니다.
원래 보수의 본고장, 양반의 땅, 대구·경북에서 자란 우리 동문들은 그동안 이런 추 동문의 행보를 호기심 반, 부러움 반으로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비록 큰 힘이 되어 주지는 못했지만 그렇다고 부끄러워하지도 않았습니다.
우리 동문들은 언제, 어디에 가 살던지 항상 가슴에 품고 사는 자랑이 있습니다. 이 나라 역사를 이끌어온 자랑스런 대구·경북의 후예라는 점, 이를 내조해 온 백합의 가족이라는 점입니다. 가까이는 6.25 전란 중에도 이 나라를 지킨 마지막 보루가 대구·경북이며, 조국근대화의 주역을 길러낸 곳도 이 땅입니다.
그러기에 우리 동문들은 스스로 '명문 가운데 명문' 출신이라는 자부심과 함께 남다른 '애국·애족의 사명감', '정통 보수의 산실'이라는 긍지를 공유하며 살아 왔습니다. 이런 동문 한 사람 한 사람의 자부심, 사명감, 긍지에 추 동문은 이제 무녀의 칼로 난도질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동안, 추 동문의 정제되지 아니한 언동이 한 두 번이 아니지만 그저 개인적 일탈로 보아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추 동문이 장관이란 감투를 쓰자 말자 기다렸다는 듯, 독기 어린 언동으로 법치의 심장에 칼을 꽂고 연일 온 국민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줄 뿐 아니라, 우리 동문들에게도 개교이래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수치와 자괴감을 안겨 주고 있습니다.
추 동문은 이제 '마녀사냥 당한 잔다크가 아니라 검찰을 사냥하는 마녀'로 한국여성사에 가장 추한 이름으로 새겨지고 있습니다. 이에, 부득이 모교와 동창의 자부심과 긍지를 지키자는 목소리를 모아, 추 동문 (이후로는, '동문'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겠습니다,)을 파문하고, 동창의 이름에서 지우기로 하였습니다.
이것이 무녀의 칼춤을 막지는 못 하더라도 모교와 동창의 명예와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내린 가슴 아픈 결정이란 점을 온 국민이 함께 공감해 주시리라 믿어 의심치 아니합니다.
2020.2.
경북여자고등학교 총동창회 일동
첫댓글 경북여고 총동문회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라고 하네요.... 황태순TV에서
永久除名으로가야.
졸업대장은 어쩔수 없지만 동창회 명부엔 마땅히 파문되어야 되고...
김명수는 부산고 동창회에서 파문되었다고 하고...
문희상은 역시 경복고 동창회에서 파문되었다고 하지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