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새
(북한:울타리새)
Rufous-tailed Robin
シマゴマ
Luscinia sibilans (Swinhoe, 1863)
1. 가락지사이즈 020
2. 국내분포
3. 서식현황
3. 이동
-
4.생김새
1) 몸무게 : g
2) 부리길이 : 수컷 mm , 암컷 mm
3) 날개길이 : 수컷 mm , 암컷 mm
날개편길이 :
4) 부척 : 수컷 mm , 암컷 mm
5) 꼬리길이 :
*사진은 꼭 클릭하셔서 새창에서 큰 화면으로 보세요!^^*
울새- 2006년 10월 21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군 회기동 고황산
[M모드, 셀프타임, 셔터스피드 1/2.5초^^]
( Leica APO-Televid77 + 20배 + 경통고정식아답터 + Panasonic LUMIX DMC-LX1 )
울새- 2006년 10월 21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군 회기동 고황산
[M모드, 셀프타임, 셔터스피드 1/2.5초^^]
( Leica APO-Televid77 + 20배 + 경통고정식아답터 + Panasonic LUMIX DMC-LX1 )
울새 첫해 겨울깃 2005년 10월 15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황산
( Nikon ED MF 800mm F5.6 + 교환링+ Canon EOS 20D =>크롭편집 )
2. 생김새 및 특징 : 외형상의 특징으로는 암수를 거의 구분 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슴의 물고기 비늘무늬가 특징이다. 어린새는 눈주변이 뚜렷한 태두리 무늬가 있고, 아래부리가 시작되는 부분이 황백색을 띄며, 전체적으로 올리브갈색이지만 보다 어른새는 깃색깔이 어른새 보다 밝은 주황빛에 가깝고 부리전체가 검게 보인다.
울새 어른새- 2005년 4월 30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고황산
(Leica APO Televid77 망원경+Leica 20x(배)접안렌즈 + Nikon Coolpix8400)
울새 어른새 - 2005년 4월 30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고황산
(Leica APO Televid77 망원경+Leica 20x(배)접안렌즈 + Nikon Coolpix8400)
울새 어른새 - 2005년 4월 30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고황산
( Leica APO Televid77 망원경+Leica 20x(배)접안렌즈 + Nikon Coolpix8400 )
울새 어른새 [청호반새정다미회원님] 2005년 5월 3일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오도리
1.분포 및 현황 : 집참새는 유럽과 아시아대륙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새로, 약 50억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남극대륙과 섬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대륙에 분포하고 지금도 서식지역이 계속 확대 되고 있어 앞으로도 그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북아메리카에는 1850년에 유럽에서 온 정착민들이 집참새를 데려오면서 인위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남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역시 사람들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집참새가 도입되었다.
집참새(House Sparrow)는 참새(Tree Sparrow)보다 덩치가 조금 더 크고,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새들이나 참새들과 달리 사람들이 생활하는 집과 건물에 둥지를 만들고 도시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기 때문에 다른 어떤 새들보다 빠른속도로 서식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참새들이 서식하는 지역까지 집참새들이 진출하는 경우에는 참새들과 경쟁하여 참새들을 외곽지역으로 몰아내고 서식지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때문에 앞으로 집참새가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하게 될 경우, 참새와 섬참새의 서식지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섬참새는 앞으로 활발한 서식생태조사와 연구를 통한 서식지 보호가 절실하게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에서는 1990년에 이시리섬에서 수컷과 생후 3개월 정도의 어린새가 확인된 것이 첫번째 관찰기록이며, 홋가이도에서는 여러곳에서 관찰기록과 번식기록이 있었고, 이시카와 현에서는 1994년에 관찰된 기록이 있다고 한다. 일본이름인 'イエスズメ(이에스즈메)'도 역시 'イエ['이에'-집을 뜻하는 일본어의 가타가나식 표기]'와 참새를 뜻하는 'スズメ['스즈메'-참새를 뜻하는 일본어]'를 합성한 이름으로 영어이름을 일어식으로 그대로 번역하여 부르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6년 5월 18일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흑산도에서 김은정씨가 관찰한 것이 최초발견이며, 국립공원철새센터에서 근무하는 김성현씨가 사진을 촬영했다. 흑산도에서 발견된 집참새는 이틀정도 머물다가 더이상관찰되지 않아서 흑산도를 떠나 이동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Cool Facts
Male with reddish back and black bib, female brown with eyestripe.
White cheeks. Black throat and chest. Back of head chestnut, extending to eye. Gray cap. Bill black. Broad, white upper wingbar. Back feathers edged with chestnut. Underparts whitish gray. In winter, the black bib is hidden by pale tips to the breast feathers that eventually wear off and reveal the black.
Dingy brown all over. Unstriped gray brown chest and underparts. Large pale yellowish eyestripe. Black and straw-colored stripes on back. Bill yellowish. Eyes black. Crown plain gray brown.
Calls a slightly metallic "cheep, chirrup." Song a series of cheeps.
≫listen to songs of this species
Resident from northern British Columbia to Labrador, and across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southward into Mexico and Central America. Native to Eurasia. Introduced into Hawaii, South America, southern Africa, Australia, and New Zealand.
Found in human modified habitats: farms, residential, and urban areas.
Seeds, especially waste grain and livestock feed. Also weed seeds and insects.
Nest a ball of dried vegetation, feathers, string, and paper, with opening on side. Placed in cavity, on building, or in tree. Nests in small colonies.
Whitish with gray or brown spots around the large end.
Incubation period 11 days.
Usually 4-5 eggs. Range: 1-8.
Naked and helpless.
Chicks fledge in 14 days.
Moineau domestique (French)
Gorrion domestico, Gorrion comun (Spanish)
첫댓글 2005년 4월 27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고황산 에서 저녁무렵에 개천주변 숲을 돌아다니는 한마리를 관찰함
단정한 모습..가슴에 비늘무늬가 인상적이네요.
2005년 10월9일 울새가 죽은 것을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성에서 보았습니다. 황보연샘께 동정을 부탁드리고 드렸지요
http://en.wikipedia.org/wiki/Rufous-tailed_Robin
http://f40.aaa.livedoor.jp/~phyllon/image/otherplace/Rufous-tailedRobin.html
http://www.mangoverde.com/wbg/spec/spec142-133.html
http://www.orientalbirdimages.org/birdimages.php?action=birdspecies&Bird_ID=2573&Bird_Image_ID=5570&Bird_Family_ID=205&p=2
http://republika.pl/avestom/species/lussib.htm
http://www.surfbirds.com/sbirdsnews/archives/2006/04/rufoustailed_ro.html
첫해겨울깃 사진? http://www.avestom.republika.pl/species/lussib.htm
2014년 4월 18일 쇠 맑음 오늘은 세월호가 침몰한지 3일째 되는 날입니다. 구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서 많은 국민들이 몹시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저도 어떻게 하면 한사람이라도 더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을까 방송을 보면서 고민하다가 오전에 세월호 내부로 진입에 성공했다는 뉴스를 보고 12시 넘어서야 늦게 고황산을 둘러 보았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들을 수 없었던 울새 소리가 들리더군요. 오늘은 생존자를 구했다는 희소식을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오전에 세월호 진입에 성공했다는 뉴스는 다시 오후에 오보라고 정정보도 되었는데, 오후에는 성공 할 수 있기를 기도 합니다!
2016년 5월 1일 일요일 맑음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번지 학국교원대학교 황새사육장부근에서 오전에 울새가 노래하는 소리를 올해 처음으로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