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치료 옵션이 다양한 이유: 총정리
유방암 치료는 암의 특성뿐만 아니라 미용적 고려, 생식능력, 연령, 환자 선호도 등의 요소까지 영향을 받습니다.
1. 암의 특성에 따른 치료 옵션 변화
암의 유형: 호르몬 수용체(ER/PR 양성 vs. 음성), HER2 양성 여부, 삼중음성 유방암(TNBC) 여부
암의 진행 단계: 초기(03기), 전이성(4기) 등 단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짐
전이 여부: 림프절, 뼈, 폐, 간, 뇌 등 전이 위치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다름
유전자 변이(BRCA1/2, TP53 등): 예방적 절제술, PARP 억제제 같은 표적 치료 적용 가능
---
2. 수술 방법의 선택 요소 (미용적 & 기능적 고려)
유방보존술(Partial Mastectomy) vs. 유방전절제술(Total Mastectomy)
종양 크기, 위치, 다발성 여부에 따라 선택
방사선 치료 가능 여부도 영향을 줌
유방 재건 수술 가능성
즉시 재건 vs. 지연 재건
보형물(실리콘) vs. 자가조직(복부, 등 근육 활용)
유두 및 피부 보존 수술 (Nipple-Sparing Mastectomy, NSM)
미용적 요소 고려하여 유두 보존 가능 여부 결정
---
3. 연령 및 생식능력 보존 관점
젊은 여성(가임기, 40세 이하)의 치료 고려사항
항암치료로 인한 조기 폐경 위험 (난소기능 저하)
생식능력 보존 필요 시 난자 동결, 배아 동결, 난소 보호 치료(호르몬 억제요법) 고려
호르몬 치료(타목시펜) 사용 시 임신 가능 여부 상담 필요
폐경 후 여성(50대 이상)의 치료 전략 차이
폐경 상태에 따라 호르몬 치료제(아로마타제 억제제 vs. 타목시펜) 선택 다름
생식능력 고려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치료 옵션이 단순화됨
4. 호르몬 및 표적치료 적용 가능성
호르몬 치료 적용 여부
ER/PR 양성 유방암: 항에스트로겐 치료(타목시펜, 아로마타제 억제제) 가능
삼중음성 유방암: 호르몬 치료 효과 없음 → 면역항암제, 항암요법 필요
표적 치료 및 면역치료 여부
HER2 양성: 허셉틴(Trastuzumab), 퍼투주맙 적용 가능
삼중음성: 면역항암제(키트루다) + 항암치료 조합
---
5. 환자의 다양한 선호도 (개인 맞춤 치료 요소)
미용적 요소: 유방 보존 vs. 전절제 후 재건 선택
치료 부작용 감내 정도: 항암치료의 부작용(탈모, 구토, 피로, 조기폐경 등)에 대한 개별적인 감내 정도
치료 기간 고려: 방사선 치료 필요 여부(유방보존술 후 방사선 5~6주) vs. 전절제 후 방사선 불필요 가능성
비용 및 보험 적용 여부: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 사용 시 치료비 부담 고려
출산 계획 여부: 젊은 여성의 경우 임신 계획에 따른 치료 조정 가능성
---
6. 재발 및 예방적 치료 고려 요소
국소 재발 위험 감소 전략
방사선 치료 적용 여부
항암치료 후 추가적인 호르몬 치료 지속 여부
예방적 유방절제술 고려 (BRCA 돌연변이 보유자)
건강한 유방까지 절제하여 미래 위험 감소 (Angelina Jolie 사례)
난소암 위험이 높아 예방적 난소절제술 고려
7. 치료 후 삶의 질 및 심리적 요소
유방 절제 후 심리적 충격
유방 재건 가능 여부 및 만족도
사회적, 심리적 지원 필요성
치료 후 운동 및 생활 습관 변화
림프부종 예방을 위한 물리치료 및 운동 고려
항암 후 영양 관리 및 피로 회복 프로그램 고려
결론
유방암 치료는 단순한 종양 제거가 아니라 암의 특성, 미용적 요소, 생식능력 보존, 나이, 재발 위험, 환자 선호도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합니다. 각 환자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수적이며,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