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국의 변호사 피터 베넨슨이 5월 28일자 영국 『The Observer』지에 '잊혀진 수인들'이란 기사를 실음. 앰네스티 활동의 효시인 "Amnesty 61" 활동 시작 |
 |
- 가나와 체코슬로바키아, 포르투갈에 조사단 파견 - 양심수와 가족 구호를 위한 양심수 기금 마련 - 7개국 70개 그룹이 210명의 양심수와 결연 -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벨기에, 그리스, 오스트레일리아, 아일랜드, 미국에서 앰네스티 그룹활동 시작 - 벨기에 회의에서 '국제앰네스티' 명칭 채택 |
 |
- 총 350개 그룹 결성 - 국제집행위원회를 구성하고, 런던에 국제사무국 설치 - 7개국 70개 그룹이 210명의 양심수와 결연 - 62년에 이어 총 770명의 양심수를 지원하고 그 중 140명이 석방됨 |
 |
- 당시 국제집행위원회 사무총장이었던 피터 베넨슨(Peter Benenson)을 공식 대표로 임명 - 전 세계 14개국 총 360개 그룹 결성 - 7개국 70개 그룹이 210명의 양심수와 결연 - 유엔이 국제앰네스티에 자문지위를 부여 |
 |
- 평화시 정치범에 대한 사형의 중단과 궁극적 폐지를 요구하는 유엔 결의안 지원 활동 - 국제앰네스티 첫 번째 보고서 발행 |
 |
- 피터 베넨슨 상근 활동 중단, 후임으로 에릭 베이커(Eric Baker) 임명 |
 |
- 전 세계 18개국 총 550개 그룹 결성 - 63개국 약 2,000명의 양심수를 지원하고 그 중 293명이 석방됨 |
 |
- 마틴 에널스(Martin Ennals)를 사무총장으로 임명 - 제1회 '앰네스티 주간-양심수 주간' 활동 시작 |
 |
- UNESCO가 앰네스티에 자문지위를 부여 - 모든 종류의 인종차별 폐지를 위한 국제협약 채택 |
 |
- 전 세계 270개국 총 850개 그룹 결성 - 앰네스티에 의해 이스라엘의 아랍계 수인 대상 가혹행위에 대한 국제적 논쟁이 촉발 |
 |
- 북아일랜드의 고문 조사를 위해 벨파스트에 3인 위원회 파견 |
 |
- 최초로 전세계적 차원의 고문철폐캠페인 시작 - 미주기구의 인권위원회가 앰네스티에 자문자격을 부여 |
 |
- 긴급구명활동 제1호 발행. (3월 19일 브라질에서 정치적 이유로 체포된 루이즈 바실리오 로시(Luiz Basilio Rossi) 교수 |
 |
- 국제집행위원장인 션 맥브라이드(Sean McBride)가 전 생애를 인권에 바친 것을 인정받아 노벨평화상 수상 - 칠레의 군사 쿠데타 후 조사단을 파견하고 9월 11일 쿠데타 1주년에 맞추어 칠레 인권보고서 발간 |
 |
- 유엔에서 만장일치로 고문반대선언문이 채택 - 회원 수 총 65개국 7만 여명에 이름 |
 |
- 11월 16개국 167명의 구금된 노조활동가 명단 발표 - 제1회 코메디 행사 Secret Policemans Ball 개최 (John Cleese와 Monty Python 등 출연), 후에 음악인 Peter Gabriel과 Duran Duran, Mark Knopfler 등이 참여하여 1977년, 1978년, 1987년까지 계속됨 |
 |
- 10월 자유와 정의, 세계 평화를 위한 공로로 노벨평화상 수상 |
 |
- 인권분야에서의 혁혁한 공로로 유엔인권상 수상 |
 |
- 아르헨티나 군사 쿠데타 중 "실종자" 2,665명에 대한 명단 발표 |
 |
- 스웨덴 출신의 토마스 함마버그(Thomas Hammarberg)를 국제사무총장에 임명 |
 |
- 창립 20주년을 맞아 런던에서 촛불 밝히기 행사 개최 - 제4회 Secret Policemans Ball 개최 (Bob Geldolf, Phil Collins, Eric Clapton, Victoria Wood 출연) |
 |
- 세계인권선언일에 양심수를 위한 전세계적 탄원 캠페인 시작 (100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83년 12월 유엔에 전달)
|
 |
- 정부의 정치적 살인에 대한 특별 보고서 발간 |
 |
- 제2차 고문반대 캠페인을 전개하고, 고문종식을 위한 12가지 계획을 제시 12월 10일 유엔 고문방지협약 채택 |
 |
- 첫 번째 인권교육 매뉴얼 발간 -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열린 국제대의원총회(8. 27∼9. 1)에서 난민보호활동을 포함하도록 규약 확장 |
 |
- 미국지부가 U2, Sting, Peter Gabriel, Bryan Adams, Lou Reed, Neville Brothers 등이 출연하는 록 콘서트 Conspiracy of Hope 개최 - 이안 마틴(Ian Martin)을 국제사무총장으로 임명 |
 |
- 임의적이고 인종차별에 기반한 미국의 사형제도에 관한 보고서 발간 |
 |
- 세계인권선언40주년을 기념하여 15개국 19개 도시에서 Sting과 Bruce Springteen 등이 출연한 세계 순회 콘서트 Human Rights Now! 개최 |
 |
- 사형제도에 관한 연구논문 'When the State Kills' 발간 |
 |
- 150국에 70만명의 회원과 70개국 6천여개 그룹 활동 |
 |
-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국제대의원총회(8. 31∼9. 7)에서 세계인권선언에 명시된 모든 권리의 증진을 위해 활동하고, (국가는 물론) 무장 반대집단에 의한 인권침해(인질납치 등)를 활동대상에 포함하고, 양심수의 개념에 성적 지향을 이유로 구금된 사람들도 포함하도록 더욱 확장된 새로운 수임사항 채택 |
 |
- 회원수가 백만명을 돌파하고, 70개 이상의 국가에 6천여개 지역 그룹 활동 - 세네갈 출신의 피에르 사네(Pierre Sane)를 국제사무총장에 임명 |
 |
- 비엔나 유엔 세계인권대회 활동 |
 |
- 여성권리에 관한 국제적인 캠페인 'Human Rights are womens rights' 전개 - "실종"과 정치적 살인에 반대하는 전세계적 캠페인 전개 |
 |
- 고문무역 중단을 위한 캠페인 전개 - 슬로베니아의 루브리아나에서 국제대의원총회(8. 12∼20) 개최 |
 |
- 상설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을 위한 캠페인 전개 - 1998년 7월 유엔 총회에서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안 채택 |
 |
- 난민의 인권보호를 위한 전세계적 캠페인 전개 |
 |
- 세계인권선언 50주년을 기념하는 Get Up, Sign Up! 캠페인으로 1,300만명으로부터 세계인권선언 지지 서명을 받음 - 세계인권선언일에 파리에서 기념 콘서트 개최 (Radiohead, Asian Dub Foundation, Bruce Springteen, Tracey Chapman, Youssou NDour, Peter Gabriel 등 출연. 달라이 라마와 국제적인 인권운동가들이 특별출연) - 10월 16일 런던에서 피노체트 체포. 연말까지 계속된 전직 국가 원수의 기소가능 여부를 둘러싼 법정 논쟁에 참여 - 미국의 인권실태에 대한 캠페인 Rights for All 전개 |
 |
- 영국 재판부가 피노체트의 본국(칠레) 인도 문제는 사법적 심의가 있어야 한다고 판결. 인권침해 사례에 있어 사법의 보편성을 인정하는 역사적 발걸음 - 포르투갈에서 열린 국제대의원총회에서 경제적 관계가 인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활동, 인권운동가 강화를 위한 활동, 면책에 대한 반대활동, 난민보호 활동 및 지역 기반 활동의 강화를 결의 |
 |
- 제3차 고문반대캠페인 시작 |
 |
- 아이린 칸(Irene Khan)을 사무총장으로 임명 - 고문캠페인을 위한 웹사이트 www.stoptorture.org로 Revolution Awards 2001 수상 - 영국지부가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코메디 행사를 개최 (Eddie Izzard and frien 출연) |
 |
- 무력 분쟁에 개입된 아동 권리를 위한 아동권리협약 선택 의정서 채택 - 로마규정의 60번째 인준 완료로 국제형사재판소(ICC)가 2002년 7월1일자로 설립됨 |
 |
- Oxfam, International Action Network on Small Arms와 함께 국제적인 무기 거래 통제 캠페인 실시 |
 |
- 여성에 대한 폭력 추방 캠페인 실시 |
 |
- <Make Some Noise>음반 제작 캠페인 착수 - John Lenon의 작품 저작권을 Yoko Ono로부터 기증 받음 - 테러와의 전쟁을 명목으로 인권 기준을 지키지 않는 국가들의 행위에 반대하는 보고서("Cruel. Inhuman. Degrades us all-Stop torture and ill-treatment in the war on terror")발간 |
 |
- 무기거래통제를 위한 백만인 얼굴 서명 캠페인 결과를 유엔 사무총장에게 전달, 이후 유엔은 무기거래조약 작업에 착수 |
 |
- 수단 정부를 대상으로 다르푸르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탄원 시작 - 30여명의 전 세계적 음악가들이 참여한 <Make Some Noise>앨범 출시 - 유엔 총회에서 토착민의 권리를 위한 선언 채택 - 사형 제도 반대를 위한 전세계적 연대 캠페인 실시, 유엔 총회에서 "전지구적 사형제도 유예 선언"채택 - 회원 수 전 세계 160여 국가, 220만명 |
첫댓글 동감합니다 우리나라 언론은 한계성이 있습니다 ㅠㅠ
외국 언론들이 비중있게 다뤄야 합니다.
네 국내언론은 제 기능을 하고 있지 못하니
국제언론의 힘을 빌려서라도 상식을 되잡아야겠습니다
문제가 넘많지만 일단 몇몇 굵직한 사안이라ㅍ도 정리해서
메일링해봐야겠어요
많은 이들에게 의견이 쏟아지면 해외서도 관심갖어주겠죠
가능한 모든 힘을 빌려봅시다
맞아요! 이젠 국내에서 아무리 외쳐도 소용이 없으니, 외신을 통해 호소해야할거 같아요..
안되는 영어로라도 한번 써봐야겠어요!
우리 모두 동참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