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에 노래와 춤을 추며 흥겹게 놀이를 즐겼는데 이것을 가배
라 한다. 이 때에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회소 회소" 하고 탄식하며 노래를 부르는 데 그 노래의 소리가 참으로 애처롭고 아름다워서 후세 사람들이 그 소리로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이를 회소곡이라 이름지었다.
< 以上考證: 東國歲時記 八月 秋夕>.
百物成熟 中秋又稱佳節 故民間最重是日 雖窮鄕下戶 例皆釀稻爲
酒 殺鷄爲饌 又有果之品 侈然滿盤 爲之語曰 加也勿 減也勿, 但願長似嘉俳日.
추석 때가 되면 오곡백과가 모두 익어서 풍성함으로 중추 가절이 라 칭했다.
고로 민간에서는 이 날을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겨서 아무리 벽촌의 가난한 집에서라도 모두 쌀로 술을 빚고 닭을 잡아 반찬도 만들고, 또한 과일도 풍성하게 장만하였다.
그래서 말하기를 <加也勿 減也勿, 但願 長似嘉俳日>
"더도 말고,덜도말고 오래도록 한가위 날만 같아라." 라고 원하였다.
士大夫家以上 正朝寒食中秋冬至四名日 行墓祭 而正至或有不行者
惟寒食中秋爲盛 而寒食又不如中秋之盛 柳子厚所謂 隸傭皆得上父母丘墓者 此日爲然.
사대부가 이상의 집에서는 설날, 한식, 추석, 동지의 4명절에는 산소에서 제사지낸다.
혹시 설날과 동지에는 제사를 안 지내는 수도 있으나, 한식과 추석은 성대하게 지낸다. 또한 한식보다는 추석에 더욱 풍성하게 지낸다.
중국 당나라의 유자후가 병졸이나 노예, 고용인, 거지까지도 모
두 부모의 산소를 살피는 것이 이 날 뿐이라 한 것은 추석을 말한 것이다.
<以上考證 洌陽歲時記 八月 中秋>
茶禮 지내는 順序 <考證 : 家禮 卷一 5쪽 正至朔望則參 , 四禮 卷 8 祭 7쪽.>
= 參考=
@ 必히 햇 과일을 차려 올린다(꼳감이 아닌 紅枾, 마른 대추가 아닌 풋대추)
@ 햇곡식으로 송편을 빚는다.
@ 닭은 필히 머리가 있는 닭으로 鷄炙을 만드러 올린다.
@ 三炙(세가지 炙)을 한제기에 (合炙)포개어 올린다.
1. 봉주취위(奉主就位) : 主人은 남자(諸考位)의 神主를,
主婦는 여자(諸비位)의 신주를 모신다.
2. 강신(降神) : 주인이 향탁 앞에서 끓어 앉아, (三上香) 향을 세번 올리고
두번 절한다.
@ 조금 물러서 있으면-東 執事가 주전자를 들고 主人의 右측 앞
에서 西向하여 서 있고, 西執事는 강신 잔반을 들고 主人의 左측
앞에서 동향하여 서 있는다.
主人이 무릎 끓어 앉으면 東西 執事도 끓어 앉는다.
@ 主人이 주전자를 받아 강신잔에 술을 따르고, 주전자를 동집사에게
물리고, 강신잔반을 받아서 왼손은 잔대를 잡고 오른 손은 강신잔 을 잡고
모사기 위에 세 번에 나뉘어 전부 붓는다.
@ 主人은 일어나 再拜한다.
3. 참신(參神): 참석한 諸 子孫은 남자는 두 번 절하고, 여자는 四拜한다.
4. 전주(奠酒) : 主人이 주전자를 들고 서쪽의 웃 어른부터 차례대로
술을 따른다.
@ 개(뚜껑)을 열고 시저(匙著)를 올려놓고, 主人이 두 번 절한다.
@ 잠시 기다린다.
5. 사신(辭神) : 하시저(下匙著)수저를 내리고, 참사자 모두 절한다.
6. 납주(納主) : 神主를 사당에 모시고 紙榜은 불 사른다.
7. 철찬음복(徹饌飮福)
2014-8-31
(原任)成均館 典禮委員 & (社) 韓國 典禮院長
(善光) 金 錠 010-2238-9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