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요소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수확체감의 법칙은 규모에 대한 보수 감소를 의미한다."
이문장이 맞는 문장이라는데 납득이 안돼네요.
수확체감(MP체감) -> 한계비용이 체증(MC체증)한다는 건데,
한계비용이 체증하는 구간에서 평균비용은 증가뿐만 아니라, 감소도 가능한데,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경우는 규모에 대한 보수 증가잔아요
첫댓글 결론을 말하자면수확체감은 법칙은 결국은 수확이 체감한다라는 말이죠.. 단기에 가변요소만 증가시키면 처음에는 생산이 체증하자나요..근데 결국은 한계생산물이 체감합니다.근데도 여기서는 수확체감 법칙이 성립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은 수확체감의 법칙이 성립한다는 거죠 그래서 저기 말은 맞는 말이죠
답변은 감사하지만, 무슨 말이지 모르겠네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답변에 감사.조금 억지 해석이 아닌가요? ^^"일정단위를 넘어서면~"에서 일정단위는 변곡점을 뜻하는 거 같은데요.
수확체감과 규모수익 체감의 개념은단기와 장기죠 근데 생산요소가 하나밖에 없으면 고정요소가 없는 장기가 되어버리니까 수확체감이 곧 규모수익체감이 되는겁니다
첫댓글 결론을 말하자면수확체감은 법칙은 결국은 수확이 체감한다라는 말이죠.. 단기에 가변요소만 증가시키면 처음에는 생산이 체증하자나요..근데 결국은 한계생산물이 체감합니다.
근데도 여기서는 수확체감 법칙이 성립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은 수확체감의 법칙이 성립한다는 거죠
그래서 저기 말은 맞는 말이죠
답변은 감사하지만, 무슨 말이지 모르겠네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답변에 감사.
조금 억지 해석이 아닌가요? ^^
"일정단위를 넘어서면~"에서 일정단위는 변곡점을 뜻하는 거 같은데요.
수확체감과 규모수익 체감의 개념은
단기와 장기죠
근데 생산요소가 하나밖에 없으면
고정요소가 없는 장기가 되어버리니까
수확체감이 곧 규모수익체감이 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