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한류열풍 사랑
 
 
 
카페 게시글
ㆍ한국역사바로알기 신복룡 교수의 한국사 새로보기 - 첨성대의 실체
한류포스 추천 2 조회 327 12.10.20 18:43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10.20 20:09

    첫댓글 하늘을 관측하는것과 제천장소는 서로 연관이 있다고도 보입니다.
    그런데 의문인것은 왜 천원지방의 형태가 아닌 반대형태인가 하는점이겠네요. 강화도 마니산의 고조선시대 제천단도 제단이 위는 둥글고 아래는 사각형입니다. 제천장소면 이것이 표준인데, 첨성대는 그 반대이죠. 오히려 우물형태를 위로 뽑아올린것 같습니다. 네번째 견해처럼 천문관측과 기우제의 용도가 상당히 설득력이 있어보이네요. 천문관측 기후관측 달력이라는것도 농경을 위한 것이기도 하니까요. 농경에선 비만큼 중요한게 없겠지요. 신라에서 의미있는 나정을 상징화한건지도 모르겠습니다. 하늘에 제사는 이미 그 용도의 다른 건물들이 있었다고 봅니다. 신궁같은

  • 작성자 12.10.21 09:41

    그렇군요. 천원지방의 형태가 일반적인데 말이죠. ㅎ

  • 12.10.25 18:30

    첨성대는 별을 첨가하는 곳으로써
    화약을 이용하여 하늘의 뜻이라 폭약을 쏘아
    민심을 다스리기 위한 곳으로 생각되어집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