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정보 융·복합 혁신인재 양성 ’4년제 대학까지 확대 |
- 공간정보 특성화대학 8개교 신규 지정 - |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부처 협업형 인재 양성사업의 일환인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 사업」의 추진에 따라, 신청서를 제출한 16개 대학교에 대한 심사를 거쳐 공간정보 특성화대학교 8개교를 신규 지정한다고 밝혔다.
ㅇ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 사업은 미래 신산업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4년제 대학교 8개교를 공간정보 특성화대학교로 지정하여 3년간(‘22~’24) 총 45억여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국토부 사업 수행기관인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은 지난 3월 29일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특성화대학교를 공개모집한 결과 전국에서 총 16개 대학이 신청하였으며,
ㅇ 외부 평가위원(총8인)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의 엄격한 평가와 지역균형 발전 등을 고려하여 권역별 최고 평가순위 대학 우선 선정방식으로 최종 8개 특성화대학교*를 지정하였다.
* (수도권) 인하대, 서울시립대, 경희대, 안양대 / (충청권) 남서울대, 청주대 / (대구·경북·강원권) 경북대 / (호남·제주권) 전북대
ㅇ 지정된 특성화대학교는 공간정보 5개 혁신과제* 중에서 대학별 특성에 맞는 과제 선정 후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공간정보산업진흥원과 6월 중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7월부터 인재양성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 ①빅데이터 분석 및 AI 기술 구현, ②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구축, ③공간정보 품질 고도화를 위한 S/W 개발, ④드론 활용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등
□ 국토교통부 강주엽 국토정보정책관은, “그간 4차산업혁명 시대 핵심 산업인 공간정보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특성화교(고교·전문대학·대학원) 육성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왔으며”,
* 현재 총 18개 특성화교(고교 4개, 전문대 4개, 대학원 10개) 지정·운영 중, 그간 1,402명의 전문인력 배출(’14년 6월~’22년 2월)
ㅇ “이번 ‘혁신인재 양성사업’을 통해 공간정보 융복합 인력양성 사업을 4년제 대학까지 확대하고,
ㅇ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배출을 통해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하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미래를 선도할 유능한 공간정보 인재를 양성하는데 더욱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사업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사업 수행기관인 공간정보산업진흥원(031-606-2536, 031-606-2549)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 배대호 사무관(☎ 044-201-4864)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1 | | 부처협업형 공간정보 혁신인재양성 사업 개요 |
□ 추진배경 및 경위
ㅇ (경위) 공간정보 산업 현장에 필요한 기술인력(특성화고·전문대) 및 산업간 융·복합 역량을 갖춘 고급인력(특성화대학원) 양성 추진(’14~)
- (특성화교 지정) 공간정보 특성화 고교(’14~) 4개, 전문대(’17~) 4개, 대학원(’14~) 10개 학교 지정·운영 중(’22.2월 현재) 이며,
- (지원 현황) 고교·전문대에는 학교 운영비(실습 기자재 구입 등), 대학원에는 장학생 등록금 및 관리비 지원
* 고교 582명, 전문대 715명, 대학원 105명 등 1,402명 졸업생 배출(∼’22.2월)
ㅇ (혁신인재양성) 교육부의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신규)*」 예산을 신청하여 ’22년 정부예산안에 반영(420억 원 중 공간정보 분야 12.15억 원)
* 교육부 ‘대학혁신사업’에 포함된 사업으로서, 7개 부처 신기술 분야(미래차, 수소전지, 반도체, AI, 공간정보 등 14개) 인재양성 추진(’22∼’24년)
□ 사업내용
ㅇ (사업명)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사업
ㅇ (사업기간* / 사업비**) ’22년 ~ ’24년 / 1,215백만원(‘22년)
* 시행연도인 ‘22년은 사업 준비기관 등을 고려하여 7월부터 대학지원(8개월)
ㅇ (지원대상) 공간정보 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4년제 대학
ㅇ (지원규모) 4년제 대학 총 8개교(3년간 지원)
ㅇ (사업목표) 학교당 40명, 연간 320명의 공간정보 대졸인재 배출
ㅇ (지원내용) 공간정보 전공 교과목 특화 교육, 인프라 개선 지원
* 인건비, 장학금, 교원연수, 특성화 활동, 교재개발, 실습장비 구입비 등
□ 연도별 수혜인원
【기준 : 명】
사업년도 | 특성화고 | 특성화전문대 | 특성화대학원 | 합계 |
’14년 | 30 | - | 24 | 54 |
’15년 | 239 | - | 36 | 275 |
’16년 | 351 | - | 39 | 390 |
’17년 | 383 | - | 32 | 415 |
’18년 | 340 | 311 | 30 | 681 |
’19년 | 337 | 568 | 31 | 936 |
’20년 | 289 | 577 | 35 | 901 |
’21년 | 303 | 543 | 33 | 879 |
합계 | 2,272 | 1,999 | 260 | 4,531 |
□ 배출인원
【단위 : 명】
사업년도 | 특성화고 | 특성화전문대 | 특성화대학원 | 합계 |
’15년 | - | - | 21 | 21 |
’16년 | 82 | - | 15 | 97 |
’17년 | 116 | - | 13 | 129 |
’18년 | 112 | - | 16 | 128 |
’19년 | 110 | 243 | 10 | 363 |
’20년 | 77 | 235 | 19 | 331 |
’21년 | 85 | 237 | 11 | 333 |
합계 | 582 | 715 | 105 | 1,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