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朴趾源) 수필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전일환
산중 내 집 문 앞에 큰 냇가가 있는데 매양 여름철에 큰비가 한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나서
항상 전차와 말달리는 소리, 북과 전차포 소리를 듣는 것 같은데 나중엔 이 물소리도 귀에 젖어 익숙해졌다.
강물은 두 산 사이로 흘러나와 돌과 부딪혀 싸우며 놀란 파도와 성난 물머리와 우는 여울과 노한 물결과
슬픈 곡조와 원망하는 소리가 한데 굽이쳐 돌면서 마치 우는 듯, 소리치는 듯, 바삐 호령하는 듯, 언제라도
장성(長城)을 무너뜨릴 형세다.
전차(戰車) 만승(萬乘)과 전기(戰騎) 만대(萬隊)나 전포(戰砲) 만가(萬架)와 전고(戰鼓) 만좌(萬座)로도
이처럼 무너뜨리고 내품는 강물소리와 충분히 대적할 수 없을 것이다. 모래 위에 우뚝 서 있는 커다란
바위는 홀연히 떨어져 있고, 강 언덕 버드나무는 어두컴컴하여 물 지킴이와 하수(河水)귀신이 다투어
나와서 사람을 놀리는 것 같고, 좌우의 교리(蛟螭)가 우리를 붙들려고 애쓰는 것 같았다. 혹 사람들은
여기가 옛 전장(戰場)터였기 때문에 강물이 저같이 우는 거라고 말하지만, 그런 것이 아니다.
강물 소리는 듣기에 따라 다르다.
나는 일찍이 문을 닫고 누워서 소리의 종류를 비교해 보았다.깊숙이 우거진 소나무가 퉁소소리를 내는
것은 듣는 이가 청아(淸雅)한 때문이요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분노한 까닭이다.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교만한 탓이요, 대피리가 수없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노(怒)한
까닭이며, 천둥과 우레가 급하고 무섭게 들리는 것은 듣는 이가 놀란 탓이다. 찻물이 끓듯이 문무(文武)를
겸한 것은 듣는 이가 그런 취미를 가진 때문이요, 거문고가 궁우(宮羽)에 맞는 것은 듣는 이가 슬픈 탓이다.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의심하는 까닭이니, 이는 모두가 바르게 듣지 못하고 특별히 가슴
속에 품은 생각을 가지고 귀에 들리는 대로 소리를 들었기 때문이다.
지금 나는 밤중에 강물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강물은 변방 밖으로부터 흘러나와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황화(黃花), 진천(鎭川) 등 여러 물과 합치면서 밀운성(密雲城) 밑을 거쳐 백하(白河)에 이른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이 하류였다. 내가 아직 요동에 들어오지 못했는데 때는 바야
흐로 한 여름이었다. 뜨거운 태양 아래 길을 걷노라니 홀연 큰 강이 가로 놓이는데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 끝을 볼 수 없으니 이것은 천리 밖에서 폭우가 왔기 때문일 것이다.
강물을 건널 때는 사람들이 머리를 쳐들고 하늘을 보는 것은 무서워서 기도하는 게 아니라, 나중에 알고
보니 물 건너는 사람들이 강물이 돌아 탕탕(蕩蕩)히 흐르는 것을 보면 자기 몸이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이 무섭고, 눈은 강물과 함께 따라 떠내려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증이 일어나 물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물을 피하여 보지 않으려 한 것이다. 그런데 어느 겨를에 잠깐 동안이라도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겠는가. 이와 같이 위험한 가운데 물소리도 듣지 못하면서 사람들은 ‘요동들은 평평하고 넓기 때문에
물소리가 크게 울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이것은 강물을 잘 알지 못한 까닭이다.
요하(遼河) 가 일찍이 울지 않는 것이 아니라, 특별히 밤에 요하를 건너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낮에는
눈으로 강물을 볼 수 있으니, 눈은 오로지 위험한 곳을 보느라 도리어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하는 판인데,
다시 들리는 소리가 있을 리 없다. 지금 나는 밤중에 강물을 건너는데도 위험한 것을 볼 수는 없지만
귀로 들으니 무서워서 견딜 수가 없다.
나는 이제서야 도(道)를 깨달았다. 마음이 어두운 자는 귀와 눈이 누(累)가 되지 않고, 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아져서 오히려 병이 된다. 이제 내 마부가 발을 말발굽에 밟혀서
뒤차에 타게 했으므로 나는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물에 배를 띄우고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다. 그러하니 한 번 떨어지면 강물을 땅을 삼고, 옷을 삼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강물로
몸을 삼고 성정(性情)을 삼아야 하니, 이제 한 번 떨어질 것이라 생각한 터이므로 귀에 들리는 강물
소리가 사라지고 무릇 강물을 아홉 번이나 건너는데도 마치 안방의 보료(褓料) 위에 누어있는 것처럼
아무렇지도 않았다.
옛날 우(禹)임금은 강을 건널 때 황룡이 배를 등으로 떠밀어서 아주 위험했지만, 삶과 죽음의 판단이
마음속에서 밝으니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크던 작던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소리와 빛은 외물(外物)
이므로 외물이 오히려 항상 눈과 귀에 누(累)가 되어 사람으로 하여금 똑바로 보고 들을 수 없게 하니,
하물며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위험하고 위태로운 것이 강물보다 심하며 보고 듣는 것이 오히려
병이 되는 것을 어쩌겠는가.
나는 또 내가 사는 산중으로 들어가 다시 한 번 집 앞 시냇물 소리를 들으며 그것을 시험해 보았다.
그리고 몸가짐을 교묘히 하고 스스로 총명하다고 자기 스스로 믿는 자에게 경고(警告)하는 것이다.
출처:통도사 반야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