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식」은 에우고와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가 극비리에 추진하는 "Z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시작MS이다. Z프로젝트는 에우고의 전략에 따라 "무중력공간에서부터 중력하까지 투입가능한 범용성 높은(가변)MS를 개발한다" 라는 것이었지만, 백식은 변형기구에 결함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가변MS로서의 개발은 중단되었다. 하지만 기체 자체의 포텐샬이 높았기 때문에, 비변형의 기체로 변경되어, 당시의 표준적인 양산형 MS와는 일획을 긋는 고성능의 기체가 되었다. 다리의 독립식 듀얼프로토아머나 등의 플렉시블 바인더 같은 것은 (본래 가변MS로 개발되었던) 흔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후에 이 기체의 기본설계를 답습한 바리에이션 기 등도 개발되어, 건담계의 기체 계보에 그 이름을 올리게 된다. 에우고에게 있어서 백식은 고속전투용 MS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개발모체가 되었던 것은, 릭 디아스 이후의 개발계획에 맞춰서 근접, 격투전투용 MS의 기초 프레임으로, 거기에 RX - 178의 탈취에 의해 입수한 무버블 프레임의 컨셉을 도입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또한 가변구조를 버리기로 결정된 후로는, 연구 중인 각종 장비의 운용시험에도 쓰이는 것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그 어비오닉스(avionics)는 복잡화되고, 기본적으로는 1회성(one off) 기체가 되었다. 특히 등의 플렉시블 바인더는 공력적으로도 우수했기 때문에, 중력하에서의 공중전 같은 경우에서도 유효하게 기능한다고 말할 수 있다. |
백식이 실전에 투입된 것은, 그리프스 전역이 본격화되던 시기임과 동시에, 부족함이 많은 에우고의 전력을 정비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Z프로젝트에 의한 주력기 "Z건담"은 아직 개발 중으로, 백식은 그 계획에서 부수적으로(spin off) 개발되었다고도 할 수 있는 기체이다. 이 기체를 주로 운용한 것은 에우고의 에이스 중 하나 크와트로 바지나 대위로, 그 정체는 과거 공국군에서 활약했던 "붉은 혜성" 샤아 아즈나블이었다. 그는 티탄즈, 에우고, 액시즈 간의 혼전이 되었던 콜로니레이져 공방전에 큐베레이, 지·O 등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뒤, 행방불명 되었다. 그 전투에서 기체는 큰 손상을 입었지만, 후에 네오지온과의 항쟁이 격화되었기 때문에 수리 후 다시 전선에 투입되어 Mk - Ⅱ, Z, ZZ와 함께 「건담팀」을 편성한다. 그리고 아가마 부대의, 더욱이 독립된 부대로서 제1차 네오지온 전쟁 종결까지 운용되었다. 덧붙여서, 백식은 개발 당시 릭 디아스 = γ(감마) 건담에 이은 4번째 기체라는 뜻으로 δ(델타) 건담이란 코드네임으로도 불렸던 듯 하다. "100" 이란 번호는 릭 디아스의 RMS - 099에 이은 것이라는 설도 있으나, 이 기체 코드는 연방군의 눈을 속이기 위한 것으로, 에우고 내부에서 릭 디아스의 개발 코드는 MSA - 009가 되었다는 자료도 존재하고 있다. 실제 백식의 형식번호는, 통상의 "MS" 에 주임개발자 M·나가노 박사의 이름이 코드넘버로서 채용되어, "MSN" 이 되었다. 그리고 박사에 의한 프로젝트의 1호기였기 때문에, MSN - 001로 예정되어있었지만, 박사의 강한 요망에 의해 100 = 백식으로 되었다고 말해진다. 일부에서는 MSN - 100이라 표기되는 경우도 있었다는 듯. |
나가노 박사가 "100(百)" 이란 숫자에 집착했던 것은「백년동안 쓸 수 있는 MS」가 되길 원한다라는 소원 때문이었던 듯 하다. 이것을 증명하려는 듯, 이 기체는 전신이 금색으로 코팅되어있다. 이것은 내(耐)빔 기능을 가진 도포제의 에멀션(emulsion)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는 꺼려하던 색상임에도 불구하고, 박사의 강한 요망과 탑승자(크와트로 대위)의 이해에 의해 채용되게 된 것이다. 성능적으로는 다른 도장과 큰 차이는 없는 듯 하나, 전선(前線)에서의 시인성(視認性)은 발군이었다고 한다(전투 시, 눈에 잘 띄인다는 뜻). 당시,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었고, 뒷날 스스로 나서서 밝혔던 크와트로 = 샤아가 타는 기체로서, 그 호화로움과 화려함에 있어서 이 정도로 잘 맞는 기체는 없을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주) MSN - 00100 백식은 U.C.0087년 3월 하순에 아가마에 배치되어, 그 후 U.C.0088년 2월 콜로니레이져 공방전 중 괴멸적인 손상을 입고, 전임 파일럿 크와트로 바지나 대위가 행방불명 된다. 후에 수리되어 아가마에 재배치, 제1차 네오지온 전쟁 종결까지 동대(同隊)에서 활약했다. |
HEAD UNIT |
|
ARM UNIT 백식의 팔 부분의 모듈은 기본적으로는 릭 디아스의 설계를 답습하고 있지만, 내부구조에는 Mk - Ⅱ에서 얻은 무버블 프레임의 기초구조가 녹아들어가 있다. ● 백식은 원래부터 고속전투용 MS로서 개발된, 어떤 의미로는 릭 디아스의 직계라고도 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설계모체가 된 릭 디아스 이후의 개발계획에 따른 격투전용 MS의 컨셉에다가 건담 Mk - Ⅱ의 구조를 도입한 기체라고 할 수 있는, 어떤 의미로 무버블 프레임과 에우고 제(製)(즉,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製) MS의 상성을 검증하는 기체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
|
즉, 무버블 프레임은 그 (MS의 의인화라는) 구상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하지만 MS는 병기이면서도 장갑을 필요로 하고, 그 장갑이 MS의 의인화나 운동성 향상에 오히려 장애물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백식은 프레임에서부터 최종장갑을 "들어올려서", 팔다리의 운동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성공했다. 물론 이것은 본래 Mk - Ⅱ에 의해 실현된 기능이지만, 장갑이동은 기본적으로 수동적(passive)이고, 구체의 가동에 반응해 장갑을 이동시키는 것이었다. 백식은 반대로 기체의 가동이나 피탄상황 등에 반응해 능동적(active)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것을 실전투입 하는 것에 의해 가동소프트의 개발에도 공헌을 해, 가변 MS의 형상변화응답성(response)을 대폭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가변 MS의 거대한 몸체를 거의 "한순간" 에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할 수 있다. |
BODY UNIT |
|
즉, 백식은 릭 디아스가 장갑의 내측면에 가지고 있는 가동구조의 대부분을 프레임 내에 압축시켜 내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구체 그 자체의 응답성이나 소비 에너지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각각의 부위에 발생하는 관성 모멘트가(우산을 회전시킬 때, 그 회전을 지속하려고 하는 것과 같은) 극소화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콕피트 유닛이 보디로 옮겨진 것에 의해, 메인 제네레이터의 용적률(容積率)은 감소했지만, 그 출력은 거의 변함없어 그것만 가지고도 백식은 단기로 메가바주카런쳐를 드라이브 가능한 여력까지 가지는 것이다. 이것은 기체를 가동시키는 것 자체에서 소비하는 에너지 자체가 생력화(省力化 - 힘이나 수고를 줄임)되기 때문이다. 이 여력이 기체의 파워 웨이트 레시오를 향상시켜, 백식을 고성능의 고속공격형 MS로 만든 것이다. |
WEAPON ○ 빔 샤벨 릭 디아스에 채용되어있는 것과 동등품. 단지 도장제는 본체와 같은 에멀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 빔 라이플 백식의 전용무장. 단, 베이스가 된 무장은 1년전쟁 당시, 일부 부대에 지급되었던 무장. 그 어비오닉스를 써서 출력이 강화 되어, 개발 당초의 수 배에 달하는 성능을 가진다. ○ 크레이 바주카 본래 크레이 바주카란 것은 적기의 격파보다도 내부파괴에 의한 가동 불량, 즉 "발을 묶어놓는다" 라고 하는 점착유탄같은 것을 사출시키는 무장이다. 에우고의 초기 전술에는 그런 류의 탄두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무장도 그렇게 쓰이고는 있으나, 실제로는 다른 탄두도 운용 가능하다. 덧붙여서 매거진은(탄창인 듯?) 더블 칼럼으로 장탄수는 보기보다 많은 7(+1)발이다.
|
출처 달롱넷 (http://www.dalong.net/)
첫댓글 아카데미 백인대장...144 스케일 만들어봤지요... 아카데미 칸담씨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