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활동가에게 듣는다 - (사)한국다문화센터 김성회 사무총장
다문화지원정책,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퍼주기식 인상 주면 곤란해 …”
98%인 국민 인식 개선 교육지원 늘리고, 내국인의 활동을 장려해야
(사)한국다문화센터는 다문화사회 홍보대사로 우뚝 선 레인보우 어린이합창단 활동 이외에도 지난 5년간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도해왔다.
제일 먼저 관심 둔 것은 다문화자녀를 위한 대학생 멘토링 사업이다. 다문화자녀의 학습부진을 돕고 학교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인 대학생과 자매결연을 맺어주어 한국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젊은 대학생들에게 다문화자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원봉사활동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
두 번째 사업은 다문화자녀의 이중언어 경진대회로 한국사회에서 한국어 묻혀 버린 ‘엄마의 말’을 배우는데 관심을 유도하고 긍정적인 성과를 보았다. 세 번째 역점을 둔 것은 다문화 자녀를 위한 대안학교 설립 주장에 반대 깃발을 들고 통합형 학교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중도입국자녀 예비학교를 통해 학교적응훈련을 시켜주는 것이다. 중도입국자녀란 부모 따라 한국에 온 미성년자들을 말한다.
▶다문화지원 거버넌스체제도 현장 활동가를 중심에 두어야
또한 한국다문화센터는 민간, 정부기관, 기업이 협력하여 만드는 다문화지원 거버넌스 체제를 만드는 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그 결과 현대정몽구재단이 재정지원을 하고, 서울시가 장소( 서울의료원 부속건물)를 제공해주어 서울온드림센터를 설립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지난 해 말 상호이해 부족으로 운영감독을 맡은 서울시가 현대재단의 지원예산을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교육’으로만 특화시켜 대폭 줄이는 바람에 어려움을 겪는 일도 생겼다. 어쩔 수 없이 직원을 정리해고해야 했고, 레인보우합창단도 별도의 연습실을 마련하라는 된서리를 맞게 된 것이다.
이런 일련의 활동과정을 겪게 된 한국다문화센터 운영위원장인 김성회 사무총장은 “다문화지원정책이 현장에서 일하는 활동가 중심이 아니라, 공무원은 성과주의, 기업은 홍보효과에만 역점 두게 되면 문제가 발생한다”고 경험담을 이야기했다.
지난 2월 26일 여성가족부가 2012년다문화가족지원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여과부는 2009년때보다 결혼이주여성과 귀화자가 한국어가 향상되고 취업자도 늘어 한국생활 적응에 진전을 보였다고 평가했지만, 김성회 총장 눈에 띈 것은 사회적 차별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2009년보다 더 높아졌다는데 초점을 두었다.
▶정부의 일방적인 다문화지원정책이 국민 정서를 망치고 있다
김성회 총장은“정부가 다문화가족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재정적 지원을 늘리면서 외부적으로는 떠들썩하게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처럼 보이지만, 활동가로서 현장에서 느낀 소회는 일반 국민의 다문화에 대한 반정서만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정부의 일방적인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이 오히려 일반국민들이 ‘퍼주기식’으로 바라보고 역차별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이것이 국민적 반감을 사고 있어 오히려 갈등만 커지고 있는 것같다”고 지적했다.
▶지난 이명박 정부때의 다문화지원정책은?
“다문화에 대한 인식강화와 제도적, 정책적 방향을 잡았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현장 활동가를 배제한 공무원 중심 지원정책이라는 한계가 있었고, 퍼주기식이라는 인상을 주어 갈등과 단절을 초래한 것같다”
▶박근혜정부는 어떻게 하길 바라나?
“이주민을 국회의원으로 세운 것으로 다문화정책을 잘 펼친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며 “오히려 이주민과 내국인과의 통합을 이룰려면 2%에 해당하는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이 아니라 98%에 해당하는 국민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지원에 더 많은 지원정책을 펼칠 필요성이 있다”
김성회 총장은“다문화정책을 사회통합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내국인 중에서 다문화를 잘 이해하는 사람을 중용해 정책을 펼쳐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인터뷰=김경록 기자
@동포세계신문 제288호 2013년 3월 12일 발행